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목록
보이기
다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목록이다.
2019년,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이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되었다.
2023년 12월 기준 대한민국 육군은 13개 상비 보병사단, 3개 기계화/기동사단, 1개 신속대응사단, 12개 지역방위사단, 5개 동원사단 등 총 34개 사단 전력과 6개 군단 전력을 갖추고 있다.
참모총장
[편집]- 비서실[1]
- 공보정훈실[1]
- 감찰실[1]
- 법무실[1]
- 군사경찰실[1]
- 시설실[1]
- 의무실[1]
- 군종실[2]
- 육군개혁실[1]
참모차장
[편집]- 기획관리참모부[1]
- 인사참모부[1]
- 정보작전지원참모부[1]
- 군수참모부[1]
- 정보화기획실[1]
- 동원참모부[1]
직할부대
[편집]- 수도방위사령부 "방패"
- 육군특수전사령부 "사자"
- 육군항공사령부 "불사조"
- 육군군수사령부 "칠성대"
- 종합정비창
- 종합보급창
- 탄약지원사령부
- 육군교육사령부 "창조대"
- 육군동원전력사령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무극"
- 육군인사사령부
- 육군사관학교 "화랑대"
- 육군3사관학교 "충성대"
- 육군학생군사학교 "문무대"
- 기타부대
- 육군검찰단
- 육군수사단
-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육군군사연구소
- 육군시험평가단
- 육군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육군전투준비안전단
- 육군사이버작전센터
- 제2경비단
예하부대
[편집]직할부대
[편집]예하부대
[편집]- 직할부대
- 본부근무대
- 제700특공연대
- 제140정보대대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510방공대대
- 제10화생방대대
- 예하부대
- 직할부대
- 본부근무대
- 제701특공연대
- 제141정보대대
- 제101정보통신단
- 제11방공단
- 제301경비연대
- 제11화생방대대
- 예하부대
- 직할부대
- 본부근무대
- 제702특공연대
- 제142정보대대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연대
- 제1전차대대
- 제12화생방대대
- 제512방공대대
- 예하부대
- 직할부대
- 본부근무대
- 제703특공연대
- 제143정보대대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연대
- 제2전차대대
- 제13화생방대대
- 제513방공대대
- 예하부대
- 직할부대
- 예하부대
- 직할부대
- 예하부대
직할부대
[편집]- 본부근무대
- 제12정보통신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제19화생방대대
예하부대
[편집]- 제31보병사단 "충장"
- 제32보병사단 "백룡"
- 제35보병사단 "충경"
- 제37보병사단 "충용"
- 제39보병사단 "충무"
- 제50보병사단 "강철"
- 제53보병사단 "충렬"
- 제5군수지원사령부 "오성"
- 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해체된 부대
[편집]다음은 다른 부대에 병합되거나 해체되어 사라진 역사 상의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목록이다.
- 야전군
- 사령부
- 백야전사령부, 쥐잡기 작전을 위한 임시 사령부. 작전 종료 이후 제2군단으로 재편성.
- 시흥지구 전투 사령부, 북한군의 한강 도하를 막기 위한 임시 사령부. 작전 종료 이후 제1군단으로 재편성.
- 서울올림픽 지원 사령부, 서울올림픽을 지원하기 위한 임시 사령부. 작전 종료 이후 해체됨.
- 육군전투사령부; 1951년 5월 1일 ~ 1981년 ?월 ?일, 육군교육사령부와 통합되어 해체됨.
- 군수기지사령부; 1960년 1월 15일 ~ 1970년 12월 15일, 제2군관구사령부로 재편성.
- 울산경비사령부; 1968년 ?월 ?일 ~ 1982년 ?월 ?일, 제53보병사단 제127보병연대로 재편성.
- 동해안경비사령부; 1969년 1월 18일 ~ 1982년 8월 15일, 제7군단으로 재편성.
- 경인지역방어사령부; 1974년 3월 1일 ~ 1975년 8월 1일, 수도군단으로 재편성.
- 방공포병사령부; 1991년 7월 1일 ~ 2013년 6월 11일,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재편성.
- 육군유도탄사령부; 2006년 9월 22일 ~ 2014년 4월 1일, 육군미사일사령부로 재편성.
- 육군미사일사령부; 2014년 4월 1일 ~ 2022년 4월 1일,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로 재편성.
- 제2군수지원사령부; 1971년 1월 1일 ~ 2018년 12월 31일, 제5군수지원여단으로 재편성.
- 제3군수지원사령부; 1973년 3월 1일 ~ 2018년 12월 31일, 제1군수지원여단으로 재편성.
- 제1군관구사령부; 1951년 5월 1일 ~ 1981년 ?월 ?일, 육군교육사령부와 통합되어 해체됨.
- 제2군관구사령부; 1954년 12월 22일 ~ 1960년 1월 4일, 1974년 4월 1일 ~ 1982년 10월 15일, 육군군수사령부로 재편성.
- 제3군관구사령부; 1954년 12월 1일 ~ 1982년 ?월 ?일, 해체됨.
- 제5군관구사령부; 19??년 ?월 ?일 ~ 1982년 ?월 ?일, 제5군수지원사령부로 재편성.
- 제6군관구사령부; 1954년 ?월 ?일 ~ 1972년 2월 28일, 경인지역방어사령부로 재편성.
- 군단
- 사단
- 이라크 평화재건사단 "자이툰"; 2004년 2월 23일 ~ 2008년 12월 20일
- 제20기계화보병사단 "결전"; 1953년 2월 9일 ~ 2019년 12월 1일
- 제23보병사단 "철벽"; 1998년 12월 1일 ~ 2021년 11월 30일, 제23경비여단으로 재편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불무리"; 제8기계화보병사단에 통합됨.
- 제27보병사단 "이기자"; 1953년 9월 18일 ~ 2022년 11월 30일, 해체됨.
- 제29보병사단; 1953년 11월 18일 ~ 1959년 1월 1일, 제20사단에 통함됨.
- 제30기계화보병사단 "필승"; 1955년 2월 20일 ~ 2020년 11월 30일, 제30기갑여단으로 재편됨.
- 제51예비사단 "방파제"; 1966년 10월 27일 ~ 1973년 3월 21일, 베트남 파병 철수 이후 해체됨.
- 제57향토보병사단 "용마"; 1984년 1월 7일 ~ 2011년 12월 31일, 제56사단에 통합됨.
- 제61동원보병사단 "상승"; 1974년 4월 1일 ~ 2017년 11월 30일, 해체됨.
- 제65동원보병사단 "밀물"; 1974년 10월 1일 ~ 2017년 11월 30일
- 제62동원보병사단 "충룡"; 1976년 ~ 2008년 12월 1일에 제32사단에 통합됨.
- 제67동원보병사단 "용진"; 1976년 9월 10일 ~ 2005년 12월 1일, 제37사단에 통합됨.
- 제69동원보병사단 "태풍"; 위와 같음, 제39사단에 통합됨.
- 제70동원보병사단 "충효"; 위와 같음, 제50사단에 통합됨.
- 제71동원보병사단 "선승"; 1990년 6월 1일 ~ 2016년 11월 30일, 해체됨.
- 제76동원보병사단 "진격"; 2011년, 해체됨.
- 여단
- 단
- 연대
- 대대
- 그 외
참고 사항
[편집]4연대 예하 대대를 모태로 창설한 14연대에서 여수·순천 사건이 일어났고, 이 사건에 따른 대규모 숙군 작업 때 4연대에 좌익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1949년에 4여단 예하의 8연대의 월북 사건이 발생한 후로는, "4"는 부대 명칭에서 제외되었다. 또, 10과 18도 욕설을 연상시켜 사용하지 않는 숫자가 되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