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27보병사단 | |||
---|---|---|---|
第二十七步兵師團 | |||
![]() 제27보병사단 본부 정문 | |||
| |||
국가 | ![]() | ||
소속 | ![]() | ||
규모 | 사단 | ||
명령 체계 | 제2군단 | ||
본부 | 강원도 화천군 | ||
별명 | 이기자부대 | ||
표어 | "中部戰線의 守護者, 祖國統一의 先奉將" | ||
색 | 적색 · 백색 | ||
군가 | 27사단가 | ||
훈장 | 대통령 부대표창 7회 등 | ||
지휘관 | |||
지휘관 | ![]() | ||
주요 지휘관 | 제3대 김계원 준장 제34대 전인범 소장 |
제27보병사단(第二十七步兵師團, ROK Army 27th Infantry Division, 별명: 이기자부대)은 휴전선 동부 전선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이다.
개괄[편집]
전군 최초 우리말로 된 부대 명칭으로 사용된 이기자부대는 초대 사단장인 이형석 소장이 부대명칭을 만들었다.
'무적필승/선승구전'이란 표어로 이겨놓고 싸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역사[편집]
사단은 육군본부 일반명령 제202호에 의거 1953년 6월 18일 전라남도 광주에서 육군본부 직할로 창설되었다.(창설 기념일은 9월 18일로 하고있다.) 동년 9월 18일 육군본부 교부 제 1183호에 의거하여 각 부대로 부터 기간요원을 차출하여 강원도 양양에서 집결, 부대를 편성하였다. 동년 10월 1일 이형석 소장이 초대사단장으로 부임한다.
임무[편집]
주된 임무는 화천 전방지역 일대를 수색 및 경계하며 남침에 대비한다.
특징[편집]
경례 구호가 대한민국 국군 최초의 순수 한국어 구호이자 3음절인 "이기자"이다.
예하 부대[편집]
- 제77보병연대 "용호"
- 신병교육대 (3대대)
- 제78보병연대 "상승독수리"
- 제79보병연대 "쌍독수리"
- 포병연대 "최무선" (제7, 15사단 지원)
- 제239포병대대
- 제251포병대대
- 제259포병대대 (15사단 담당구역내에 있으며 15사단을 지원한다)
- 제99포병대대 (전군 최초 창설 포병대대 6곳 중 하나, 아직도 견인포다)
- 직할대대
- 본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보급수송대대
- 화생방지원대
- 수색대대
- 의무대대
- 정보통신대대
- 군사경찰대
- 보충중대
- 방공중대
- 전차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