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선(接線, 문화어: 닿이선(--線), 영어: tangent)은 곡선L의 두점 A와 B로 정의되는 할선 AB에서 점 B가 곡선을 따라 점 A에 한없이 가까워 질때, 이 새로운 직선을 곡선L의 A에서 만나는 접선이라 한다.[1]
보통 접선은 미분을 이용해 찾는다.
접선과 원의 선분들[편집]
원에서 접선
는 직경 또는 중심을 지나는 현
의 연장선 상의 할선
와 한 점
에서 만날때,
반지름과 함께 삼각함수의 탄젠트를 구성한다.[2]
공통내접선[편집]
둘 이상의 원이나 곡선에서 공통적인 접선이 있고, 두 도형이 접선을 끼고 서로 반대 방향에 있을 경우, 그 접선을 공통내접선이라 한다.
- 원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원
의 기울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은 
- 타원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타원
의 기울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은 
- 쌍곡선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쌍곡선
의 기울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은 
- 2차원 유클리드 공간 내의 임의의 곡선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단,
는 곡선
의 점
에서의 미분계수)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