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인민군 여군들

여군(女軍, 문화어: 녀군)은 여성 군인 혹은 여성으로 조직된 군대를 뜻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나라에서 남성 군인과 남성으로 조직된 군대에 비하여 적은 비율이다. 여군은 대체로 18세기 이후에 창군되었다.

여성남성에 비해 신체 능력이 떨어지는 탓에 과거에는 거의 여군을 운용하지 않았으며 기껏해야 초한전쟁 시절 한고제기신을 지휘관으로 삼아 항우의 눈을 속이기 위해 구성된 소수의 여군 정도만 존재했다. 근대 이후까지 여군은 지극히 제한적인 병과(주로 간호, 취사, 기행병과 등)에서만 활약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 여군의 비중이 조금씩 상승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도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여군의 진급 상한선이 소장에 머물러 있어서 군단장급 이상은 여군이 진출할 수 없는 상태이다.

역사[편집]

나라별 역사[편집]

대한민국의 여군 역사[편집]

  • 1950년 9월 6일 6·25전쟁 기간 중 임시 수도 부산에서 여자의용군교육대가 정식 발족됨으로써 처음으로 여군이 군 조직 내에 등장하게 된다.
  • 1951년 11월에 여자의용군교육대가 해체된후 육군본부 고급부관실 여군과로 편입된다.
  • 1953년 2월 1일자에 육군보병학교에 여군교육대가 다시 창설되어 한국전쟁의 휴전 때까지 4기에 걸쳐 군사훈련과 병과기술훈련을 실시한다.
  • 1955년 7월에 여군훈련소가 설치되어 여군만의 훈련을 전담하게 된다.
  • 1959년 1월에 여군과가 육군본부 여군처로 개편된다.
  • 1967년 7월 14일에는 육군간호학교가 창설되어 간호장교 양성을 하게 된다.
  • 1970년 12월 여군단으로 승격한다.
  • 1974년 1월 개편된 여군계급제도에 따라 장교·부사관만으로 편성된다.
  • 1990년에 여군병과가 해체된후 2월에 여군학교가 창설되었다.
  • 1991년 1월 1일에 육군여군단이 해체되고 인사참모부 여군처로 승격한다.
  • 1997년에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에서 여성입교가 허용된다.
  • 1998년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에서 여성입교가 허용된다.
  • 1999년에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에서 여성입교가 허용된다.
  • 2002년에 육군에서 여군 소위 20명이 처음으로 소대장에 보직된다.

공군에서 첫 여군 조종사가 배출된다. 간호장교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여군 장군이 배출된다. 11월에 각 군별로 추진하던 여군 정책을 통합할 필요성에 따라 국방부 직할부대인 여군발전단이 창군된다.

  • 2003년에 여군 장교가 처음으로 전투함에 승선한다.
  • 2006년 1월 1일에 여군발전단이 국방부 인사복지본부 직할부서인 국방여성정책팀으로 전환된다.

2007년에 첫 여군 전투기 조종사를 배출된다.

7월에 국방부 인사기획관실 예하부서로 바뀐다.

  • 2008년 3월에는 국방부 인사기획관실이 국방여성정책과로 개칭된다.
  • 2010년에는 각 대학교에 여성 학생군사교육단(ROTC)이 창설된다.

간호병과가 아닌 전투병과에서 처음으로 여성 장군이 배출된다.

  • 2015년에 대한민국 육군3사관학교에서 여성입교가 허용된다.

대한민국의 여군[편집]

현재 아직까지는 기갑, 포병 등 12개 병과와 해군은 잠수함 탑승을 허가하지 않고 있으나, 2014년까지 진출이 허락되지 않은 병과에 배치할 예정이다.[1]

2022년 현재 대한민국 국군에서 여군의 진급 상한선은 소장이다.

지원 자격[편집]

항목 부사관 장교
학력 고등학교 졸업 또는 그 이상 학사 학위 취득 예정 또는 그 이상
연령 18 ~ 27세 20 ~ 27세
신장 (cm) 155 ~ 183 155 ~ 184
체중 (kg) 40 ~ 87 38 ~ 88

각주[편집]

  1. 김귀근 (2012년 11월 13일). “육군 3사관학교 여생도 뽑는다”. 연합뉴스. 2014년 10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