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군사)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대 단위 | |
---|---|
Ø 공격대 | 2 ~ 5 명 |
![]() |
8 ~ 15 명 |
![]() |
8 ~ 20 명 |
![]() |
20 ~ 55 명 |
![]() |
60 ~ 255 명 |
![]() |
300 ~ 1,000 명 |
![]() |
1,000 ~ 3,000 명 |
![]() |
2,000 ~ 5,000 명 |
![]() |
3,000 ~ 15,000 명 |
![]() |
20,000 ~ 80,000 명 |
![]() |
80,000 ~ 200,000 명 |
![]() |
400,000 ~ 1,500,000 명 |
전역 | 1,000,000 ~ 3,000,000 명 |
전구 | 3,000,000 ~ 10,000,000 명 |

NATO 병과기호 표준에 따른 아군 보병 연대 표시
연대(聯隊, 영어: regiment)는 육군의 부대 편성 단위 중의 하나이다. 근세부터 존재하던 부대 단위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연대의 인원은 약 3,000명 정도이다. 연대장으로는 보통 대령이 임명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령이 임명되기도 한다.
- 연대는 현재까지도 보병/포병/기갑/공병 등 1가지 병과로 편성되는 가장 큰 부대 단위이다. 그러나 연대 내에도 여러 병과가 혼합 편제되면서 이러한 개념은 희미해졌다.
- 현대 육군에서는 주로 여러 개의 개별적인 연대를 모아 사단을 편성, 사단의 주력인 보병과 기갑 연대들을 같은 사단 내의 다른 병과 부대들이 지원해 준다.
- 연대는 여단의 하급부대, 대대의 상급부대에 해당되지만, 사단 바로 아래에 연대를 두는 편제(미국 해병대, 러시아 육군, 러시아 낙하산군 등)나 연대의 바로 아래에 중대를 두는 편제(프랑스 육군, 일본 육상자위대 등)도 드물지 않다.
- 연대는 제대로 된 사령부를 둘 수 있는 최소 부대 단위이다. 때문에 갖춰야 할 직할대를 모두 갖추고 있다.
- 연대에는 같은 병과만 모여있어서 단독 작전이 힘들고 언제나 동료 보조 연대에게 지원을 받는다는 점 때문에, 현대 육군 편제에서는 병종이 다른 대대를 모은 사단 개념이 생겨났고, 따라서 예전에는 단일 병과를 모아 편성하던 여단 개념 역시 사단처럼 다수의 병과가 연합된 전투제대로 변화했다.
종류[편집]
- 보병연대, 포병연대, 전차연대, 공병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