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성서비평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경비평학에서 넘어옴)

성서비평학 또는 성경비평학은 성서에 대한 비평학적 접근, 즉 기독교에서 성서의 역사적 배경과 사실성, 양식과 문학적인 요소(문체 등), 저자가 사용한 자료, 자료의 편집구조, 저자가 사용한 수사학 등을 비평하는 학술적인 읽기 방법을 말한다.

성서비평학의 주요 학설

[편집]
  • 자료비평

자료비평은 성서저술에 사용한 집필자료를 분석하는 성서해석방법이다. 모세오경의 경우 야훼문서(J문서), 엘로힘문서(E문서), 제사장문서(P문서), 신명기문서(D문서) 등 다른 근원에서 비롯하였다. 구약 성서의 원 본문인 히브리어 성경을 보면, 하느님이 '야훼'('여호와'), '엘로힘'으로 다르게 지칭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서설은 다른 호칭을 쓴 구절은 각기 다른 자료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그 자료들을 창세기에 등장하는 하느님의 호칭을 발음 그대로 알파벳으로 옮겼을 때의 머리글자를 따서, J 문서(야훼문서), E 문서(엘로힘 문서), P문서(제사장 문서), D문서로 명명하였는데, 실제 성서학자 중에는 모세오경 저자들을 제사장 학파 등으로 구분하는 이들도 있다

성서 비평방법 중에서 양식 비평(Form Criticism)에서 유래한 것으로 중요한 성서비평학의 개념이다. 이 개념은 성서본문이 어떤 곳에서 유통된 것인지를 파악해야 한다는 신학적 견해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구약성서에서 시편은 고대 유대인의 찬송가이었는데, 양식 비평에 따르면 시편에 실린 시들은 각각 다른 삶의 정황에서 사용된 찬송가라는 것이다. 신약성서에서도 예수의 가르침은 구전되면서 기억하기 쉽게 특정한 운율과 문체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구절의 운율과 문체, 즉 양식을 분석하면 그 구절이 어떤 상황에서 유통되었는지를 규명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양식비평이다.

그외 성서비평학 분야

[편집]

그외 성서비평학 분야에는 성서사본을 비교함으로써 성서원문에 필사본의 내용이 얼마나 충실히 접근했는가를 비교하는 본문비평, 성서의 문학적인 특징을 비평하는 문학비평, 성서저자가 사용한 문서나 구전형태의 집필자료들을 비평하는 자료비평,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들이 성서에 수록되기 전까지 문서와 구전(口傳)자료로 전승되어온 경로를 비평하는 전승사 비평, 성서의 문학양식을 분석하는 양식비평, 교회를 통해 전승된 구전과 문서자료를 성서저자가 어떻게 자신의 신학에 따라 편집했는가를 비평하는 편집비평, 성서역사배경과 역사적 사실성을 비평하는 역사비평[1], 성서의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는 사회학적 비평이 있다. 한가지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마태복음서에 그리스도가 베드로에게 네 위에 교회를 세우겠다고 약속하신 내용이 나오는데, 그리스도의 활동기간에는 교회가 없었으므로[2] 마태가 교회라는 단어를 추가했다고 보는 해석이 성서비평학 또는 성서에 대한 비평학적 접근의 한 예이다.[3]

성서비평학에 대한 비판

[편집]
  • 자료비평에 대한 비판

자료비평학에 근거해 성경을 볼 경우, 성서 본문 자체의 맥락이 해체되어 버린다는 비판이 있다. 자료비평에 근거한 연구들은, 창세기를 비롯한 성서 본문은 최소한 4개 자료가 사용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일부 특정 구절은 학자에 따라 어떤 자료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 더욱이 성서의 내적인 맥락은 무시되고 어떤 구절의 출처만을 문제 삼게 됨으로써 성서의 메시지를 산산조각 내 버렸다는 지적이 있다. 성서에 대한 문학적 비평을 시도하는 문학비평학자 중 일부는, 자료비평에 따른 특정 구절의 출처보다 성서 내의 문학적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성서비평학 역사

[편집]

성서비평학은 근대 서구 신학계에서 등장했으며, 일본과 미국에서 유학했던 신학자들을 통해 단편적으로 소개되었다. 한국교회에서는 1934년 발행된 아빙돈 단권 주석성경으로 알려졌다. 이 주석의 성서 해석방법이 자유주의적이라고 하여 보수적 교단인 장로교에서 거센 거부반응을 일으켰다. 따라서 이 책에 대한 불매운동을 전개하였을 뿐만 아니라, 1935년 9월에 열렸던 제24회 장로교총회에서 이 주석서가 장로교의 교리에 위배되는 점이 많으므로 교회에서는 구독하지 않을 것이며, 또한 집필자에게는 공개적인 사과를 받기로 결의하기에 이르렀다.(조선예수교장로회 제24회의록)

이후 김재준은 송창근 김대현 등과 함께 ‘조선신학교’를 개교하고 성서비평학을 가르쳤다. 격렬한 신학논쟁이 일어났고 1953년 김재준은 파면당하고 그를 추종하는 사람은 한국기독교장로회라는 것을 만들었다. 그리고 한국신학교라는 곳에서 그의 신학이 이어지고 있다. 성경비평학은 자유주의 신학를 중심으로 가르치고 있고, 비평학의 일부 내용(본분비평과 자료비평)은 다른 신학교에서도 소개되어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글 성서번역 시 필사자들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든지 하는 목적으로 사본에 추가한 즉, 원본에 없는 문장을 빼고, 그 자리에 '절없음'표시와 '어떤 사본에는 이러한 내용이 있다.'라는 각주를 적거나, 괄호 처리하는 것이 그러한 예이다.[4] 보수적인 신복음주의 신학계에서도 일부의 학자들은 성서비평학이 성서를 올바르게 해석함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찾아가게 하는 건전한 성서읽기라고 이해하기도 한다.[5][6] 그러나 더 많은 경우 성경본문을 해체하고 인간의 이성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기적이나 난해구절의 해설 등)을 성급하게 첨가된 부분/후대 사람이 편집한 내용이라고 결론을 내려 성서비평학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이 더욱 많다.

알레고리 성경해석을 강조하는 천주교에서도 개신교에서 형성한 성서비평학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서, 이를 통해 성경을 읽어야 한다고 가르친다.[7]

참고

[편집]
  • 바트 D. 어만(Batt D. Ehrman, 《성경 왜곡의 역사》 (Misquoting Jesus: The Story Behind Who Changed the Bible and Why, 2005; 한국어판 ISBN 978-89-352-0649-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깨어지는 한국교회》(원제:깨어지는 한국개신교회)/이상성 지음/인물과 사상
  2. 전통적으로 교회에서는 교회를 성령강림으로 태어난 것으로 해석하고, 이를 성령강림주일로 기념한다.
  3. 본문의 성서비평방법론에 대한 설명은 장로교(예장통합) 신학자 이상성 박사의 설명에 뿌리를 두었다. 《추락하는 한국교회》(원제:추락하는 한국 개신교회)/이상성 지음/인물과 사상
  4. 민경식. 〈쉽게 풀어쓴 신약성서 사본이야기-왜 절(節)이 빠져 있는가?〉. 《기독교사상》. 대한기독교서회, 2006년 5월.
  5. 복음주의 신학자 김세윤 풀러 신학교 교수의 설명
  6. 성결교회 성직자인 오경준 목사도《우리가 아는 것들 성경에는 없다》(오경준 지음,홍성사)에서 학문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본다. 지금은 미국교회 청빙으로 문이 닫혔지만 저자는 성서학 토론을 위한 누리집에서 성서비평은 알레고리 성경해석등의 주관적 성서해석이 만연한 한국교회의 문제를 교정할 것으로 이해한다.
  7. 《성서사십주간 1권 모세오경》 개정판. 성서와 함께. 2007. 15쪽. ISBN 897635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