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포도
산포도(散布度 dispersion, scatter, spread)는 데이터가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퍼져있나를 나타내는 통계학 용어이다.
변산성을 보여주는 값으로는 범위, 사분위수 범위(interquartile range,IQR), 분산(variance,Var), 편차(deviation), 표준 편차(SD), 절대 편차(AD) 등이 있다. 이와 비교되는 개념으로는 중심경향치(Central tendency)가 있다.
산포도[편집]
산포도는 빈도분포(frequency distribution)의 모양을 조사할 때에, 변량의 흩어져 있는 정도를 가리키는 값을 가리킨다.
변산성[편집]
스키너 상자의 연구에서처럼 쥐가 먹이획득 과정에 도달하기까지 시행착오를 겪는 행동의 변산성은 데이터의 분산 뿐만아니라 중심경향치의 의미에서도 설명될수있음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변산성(variability)은 문제해결이라는 중심경향치를 가정할 때 해결책에서 멀어진 애매모호하거나 불안정해 보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다양하고 유연한 가능성에서 효과있는 결과를 만들수있는 근접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행동과학을 연구를 위한 기초통계학 ,최윤영,조경철 ,2019 도서출판 신정)http://book.interpark.com/product/BookDisplay.do?_method=detail&sc.shopNo=0000400000&sc.saNo=001&sc.prdNo=301799331
- KCI, 의미구조의 변산성에 미치는 사전맥락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권, 48-62. 이관용 1991
![]() |
이 글은 통계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