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역명판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 115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역 번호 | 638 |
승강장 구조 | 1면 2선 |
노선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응암 기점 27.0 km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
![]() 역명판 |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우이신설경전철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 15 |
개업일 | 2017년 9월 2일 |
역 번호 | S121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
노선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
북한산우이기점 10.0 km |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
|
보문역(普門驛)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1가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지하철역이다. 인근에 성북구청이 있다. 2017년 9월 2일에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역사[편집]
-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7년 9월 2일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호선 승강장[편집]
창신↑ |
| 하 상 | |
↓ 안암 |
상행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창신 · 동묘앞 · 삼각지 · 디지털미디어시티 · 응암 방면 |
---|---|---|
하행 | 안암 · 고려대 · 석계 · 태릉입구 · 봉화산 방면 |
우이신설선 승강장[편집]
반대편으로의 횡단이 불가하여 반대편으로 횡단이 필요 시 성신여대입구역이나 신설동역에서 갈아타야 한다.
성신여대입구(돈암) ↑ |
하 | | 상 |
↓ 신설동 |
상행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성신여대입구 · 가오리 · 북한산우이 방면 |
---|---|---|
하행 | 신설동 방면 |
역 주변[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2,230 | 4,199 | 5,478 | 6,036 | 6,900 | 7,347 | 7,669 | 7,629 | 7,796 | 7,850 | [1] |
하차 | 1,874 | 4,018 | 5,140 | 5,698 | 6,333 | 6,728 | 7,016 | 6,916 | 7,086 | 7,137 | ||
승하차 | 4,105 | 8,217 | 10,618 | 11,734 | 13,233 | 14,075 | 14,685 | 14,545 | 14,881 | 14,987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6호선 | 승차 | 7,883 | 7,909 | 7,986 | 8,199 | 8,501 | 8,558 | 8,665 | 8,316 | |||
하차 | 7,142 | 7,097 | 7,144 | 7,270 | 7,438 | 7,559 | 7,662 | 7,500 | ||||
승하차 | 15,025 | 15,006 | 15,130 | 15,469 | 15,939 | 16,117 | 16,327 | 15,816 |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 | ||
---|---|---|
637 창신 응암 순환 |
■ 서울 지하철 6호선 | 639 안암 봉화산 방면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
S120 성신여대입구(돈암) 북한산우이 방면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S122 신설동 신설동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