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다른 이름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DLBCL 또는 DLBL
현미경 사진
진료과혈액학, 종양학, 피부과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은 항체 생성을 담당하는 림프구의 일종인 B세포이다. 미국과 영국에서 연간 100,000명당 7-8건의 발생률을 보이는 성인에서 가장 흔한 비호지킨 림프종의 형태이다.[1][2][3] 이 암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며 평균 진단 연령은 ~70세이지만[3] 젊은 성인과 드물게는 어린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4] 이 질환은 신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인에 따라 종종 매우 공격적인 악성 종양이다.[5] 이 질병의 첫 번째 징후는 일반적으로 전신 B증상(예: 발열, 체중 감소, 야간 발한)이 있다.[6]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병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은 정상 B세포에서 발생하지만 다른 유형의 림프종(특히 변연부 림프종)의 악성 변형[7] 또는 드물게 리히터 변형이라고 하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나타낼 수도 있다.[8] 근본적인 면역 결핍은 질병 발병의 중요한 위험 요소이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9][10]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11][12]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즉, HIV)[11]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테리아[7]에 의한 감염은 또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특정 아형 발병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 질병의 대부분의 경우는 특정 B세포 유형에서 발생하고 점진적으로 악성 행동을 촉진하는 유전자 돌연변이 및 유전자 발현의 변화의 증가하는 설명할 수 없는 단계적 획득과 관련이 있다.[13]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진단은 생검을 통해 종양의 일부를 제거한 다음 현미경을 사용하여 이 조직을 검사하여 이루어진다. 보통 혈액병리학자가 이 진단을 내린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수많은 하위 유형은 임상 양상, 생검 소견, 공격적 특징, 예후 및 권장 치료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14] 그러나 대부분의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아형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법은 질병의 암성 B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 약물(일반적으로 리툭시맙)과 결합된 화학요법이다. 이러한 치료를 통해 전체 DLBCL 환자의 절반 이상이 완치될 수 있다.[15] 노인의 전체 치료율은 이보다 낮지만 5년 생존율은 약 58%였다.[16]

출처[편집]

각주[편집]

  1. “A clinical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Lymphoma Study Group classification of non-Hodgkin's lymphoma. The Non-Hodgkin's Lymphoma Classification Project”. 《Blood》 89 (11): 3909–3918. June 1997. doi:10.1182/blood.V89.11.3909. PMID 9166827. 
  2. Morton LM, Wang SS, Devesa SS, Hartge P, Weisenburger DD, Linet MS (January 2006). “Lymphoma incidence patterns by WHO subtype in the United States, 1992-2001”. 《Blood》 107 (1): 265–276. doi:10.1182/blood-2005-06-2508. PMC 1895348. PMID 16150940. 
  3. Smith A, Howell D, Patmore R, Jack A, Roman E (November 2011). “Incidence of haematological malignancy by sub-type: a report from the Haematological Malignancy Research Network”. 《British Journal of Cancer》 105 (11): 1684–1692. doi:10.1038/bjc.2011.450. PMC 3242607. PMID 22045184. 
  4. Smith A, Roman E, Howell D, Jones R, Patmore R, Jack A (March 2010). “The Haematological Malignancy Research Network (HMRN): a new information strategy for population based epidemiology and health service research”.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148 (5): 739–753. doi:10.1111/j.1365-2141.2009.08010.x. PMC 3066245. PMID 19958356. 
  5. Kumar V, Abbas AK, Fausto N, Aster JC (2009년 5월 28일). 《Robbins &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Health Sciences. 607쪽. ISBN 978-1-4377-2015-0. 
  6. Freeman AS, Aster JS (2012).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pathologic features, and diagnosis of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Basow DS. 《UpToDate》. Waltham, MA: UpToDate. 
  7. Casulo C, Friedberg J (2017). “Transformation of marginal zone lymphoma (and association with other lymphoma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Haematology》 30 (1–2): 131–138. doi:10.1016/j.beha.2016.08.029. PMID 28288708. 
  8. Abuelgasim KA, Rehan H, Alsubaie M, Al Atwi N, Al Balwi M, Alshieban S, Almughairi A (March 2018). “Coexistence of chronic myeloid leukemia and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with antecedent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edical Case Reports》 12 (1): 64. doi:10.1186/s13256-018-1612-4. PMC 5845776. PMID 29524963. 
  9. Castillo JJ, Beltran BE, Miranda RN, Young KH, Chavez JC, Sotomayor EM (July 2018). “EBV-positive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not otherwise specified: 2018 update on diagnosis, risk-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American Journal of Hematology》 93 (7): 953–962. doi:10.1002/ajh.25112. PMID 29984868. 
  10. Nicolae A, Pittaluga S, Abdullah S, Steinberg SM, Pham TA, Davies-Hill T, Xi L, Raffeld M, Jaffe ES (August 2015). “EBV-positive large B-cell lymphomas in young patients: a nodal lymphoma with evidence for a tolerogenic immune environment”. 《Blood》 126 (7): 863–72. doi:10.1182/blood-2015-02-630632. PMC 4536540. PMID 25999451. 
  11. Sukswai N, Lyapichev K, Khoury JD, Medeiros LJ (November 2019).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variants: an update”. 《Pathology》 52 (1): 53–67. doi:10.1016/j.pathol.2019.08.013. PMID 31735345. S2CID 208142227. 
  12. Shimada K, Hayakawa F, Kiyoi H (November 2018). “Biology and management of primary effusion lymphoma”. 《Blood》 132 (18): 1879–1888. doi:10.1182/blood-2018-03-791426. PMID 30154110. 
  13. Liu Y, Barta SK (May 2019).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2019 update on diagnosis, risk stratification, and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Hematology》 94 (5): 604–616. doi:10.1002/ajh.25460. PMID 30859597. 
  14. Swerdlow SH, Campo E, Pileri SA, Harris NL, Stein H, Siebert R, Advani R, Ghielmini M, Salles GA, Zelenetz AD, Jaffe ES (May 2016). “The 2016 revi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lymphoid neoplasms”. 《Blood》 127 (20): 2375–90. doi:10.1182/blood-2016-01-643569. PMC 4874220. PMID 26980727. 
  15. Akyurek N, Uner A, Benekli M, Barista I (September 2012). “Prognostic significance of MYC, BCL2, and BCL6 rearrangements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reated with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plus rituximab”. 《Cancer》 118 (17): 4173–4183. doi:10.1002/cncr.27396. PMID 22213394. S2CID 19134744. 
  16. Feugier P, Van Hoof A, Sebban C, Solal-Celigny P, Bouabdallah R, Fermé C, 외. (June 2005). “Long-term results of the R-CHOP study in the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 study by the Groupe d'Etude des Lymphomes de l'Adult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18): 4117–4126. doi:10.1200/JCO.2005.09.131. PMID 15867204. S2CID 23556248.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