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까치
![]() | |
---|---|
![]() | |
🔊 물까치의 소리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참새목 |
과: | 까마귀과 |
속: | 물까치속 |
종: | 물까치 |
학명 | |
Cyanopica cyana | |
Pallas, 1776[1] | |
향명 | |
물까치의 분포 | |
![]() | |
보전상태 | |
물까치(학명: Cyanopica Cyanus)는 참새목 까마귀과의 한 종으로, 한국에서는 텃새이다. 머리는 검은색이며, 등은 회색, 날개와 꼬리는 파란색을 띤다. 배는 흰색과 회색이 섞인 듯한 색을 띤다. 먹이는 까치가 먹는 것과 비슷하다.
분포[편집]
동아시아에 널리 퍼져 있는데 대한민국, 중국, 일본 전지역에 서식하고 몽골 북부와 시베리아 남부에서도 발견된다. 포르투갈 남부에 사는 이베리아 까치가 한때 동종으로 분류되었던 적이 있으나, 최근 유전자 분석 결과 서로 다른 종임이 밝혀졌다.[3][4]
생태학[편집]
물까치는 무리지어 먹이를 찾는데, 무려 70개체가 같이 움직이기도 한다. 번식기와 동절기에 무리의 크기가 커진다. 도토리와 잣이 주식이며 곤충 등 무척추동물과 부드러운 과일, 과자 부스러기 등도 먹는다.
다른 개체들과 가까운 곳에 둥지를 틀지만 나무 하나에 하나씩만 짓는다. 6~8개의 알을 낳으며 15일이면 부화한다. 알을 단발적으로 낳지 않기 때문에 부화한 날짜에 따라 유조간 크기차이가 있을 수 있다.[5]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가 나 국립생물자원관. “물까치”.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BirdLife International (2017). “Cyanopica cyan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7: e.T103721987A112291292. doi:10.2305/IUCN.UK.2017-1.RLTS.T103721987A112291292.en. 2021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Fok, Koon Wah; Wade, Christopher M.; Parkin, David T. (2002). “Inferring the phylogeny of disjunct populations of the azure-winged magpie Cyanopica cyanus from mitochondrial control region sequences”. 《Proc. Roy. Soc. Lond. B》 269 (1501): 1671–1678. doi:10.1098/rspb.2002.2057. PMC 1691084. PMID 12204127.
- ↑ Kyukov, Alexei; Iwasa, Masahiro A.; Kakizawa, Ryozo; Suzuki, Hitoshi; Pinsker, Wilhelm; Haring, Elisabeth (2004). “Synchronic east–west divergence in azure-winged magpies (Cyanopica cyanus) and magpies (Pica pica)”.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Research》 42 (4): 342–351. doi:10.1111/j.1439-0469.2004.00287.x. 2012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Da, Xin-Wei; Xian, Li-Li; Luo, Juan-Juan; Gao, Li-Fang; Du, Bo (2018). “Azure‐winged Magpies Cyanopica cyanus trade off reproductive success and parental care by establishing a size hierarchy among nestlings”. 《Ibis》 160 (4): 769–778. doi:10.1111/ibi.12575.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