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사사슴
![]() | ||||||||||||||||||
![]() 루사사슴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2]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ervus timorensis (de Blainville, 1822) | ||||||||||||||||||
![]() 루사사슴의 분포 지역 | ||||||||||||||||||
이명 | ||||||||||||||||||
Rusa timorensis |
루사사슴 또는 자와루사(자바루사), 순다삼바(Philippine deer, 학명: Rusa timorensis)은 자와섬과 발리섬 그리고 티모르섬에서 발견되는 사슴의 일종이다. 인도네시아 파푸아바랏 주와 보르네오섬(칼리만탄), 소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술라웨시섬, 폰페이섬, 피지, 통가, 사모아, 바누아투, 솔로몬 제도, 크리스마스섬, 코코스 제도, 쿡 제도, 나우루, 오스트레일리아, 누벨칼레도니,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그리고 뉴아일랜드섬에 서식하는 종들은 도입종이다.[2][3]
큰 귀, 눈썹 위의 털, 몸 크기에 비해 큰 뿔이 특징이다. 약간 거칠게 보이는 회갈색의 피모를 가지고 있고, 다른 사슴과 달리 새끼 사슴들에게도 반점이 없다.
아종[편집]
7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1]
- 티모르루사사슴 (Rusa timorensis timorensis) - 티모르섬
- Rusa timorensis djonga - 무나섬 및 부톤섬
- 플로레스루사사슴 (Rusa timorensis floresiensis) - 플로레스섬 및 주변 제도
- 셀레베스루사사슴 (Rusa timorensis macassaricus) - 술라웨시섬
- 말루쿠루사사슴 (Rusa timorensis moluccensis) - 말루쿠 제도
- Rusa timorensis renschi - 발리섬
- 자와루사사슴 (Rusa timorensis russa) - 자와섬
각주[편집]
- ↑ 가 나 Grubb, P. (2005). “Rusa timorensis”.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67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Rusa timorens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4월 9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vulnerable.
- ↑ LONG JL 2003. Introduced Mammals of the World: Their History, Distribution and Influence (Cabi Publishing) by John L. Long (ISBN 978-0-85199-7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