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언트문착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아목: | 반추아목 |
과: | 사슴과 |
아과: | 사슴아과 |
족: | 문착족 |
속: | 문착속 |
종: | 자이언트문착 (M. vuquangensis) |
학명 | |
Muntiacus vuquangensis | |
(Tuoc, Dung, Dawson, Arctander and Mackinnon, 1994) | |
학명이명 | |
Megamuntiacus vuquangensis (Tuoc et al., 1994) | |
자이언트문착의 분포 | |
![]() 자이언트문착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자이언트문착(Muntiacus vuquangensis)은 문착의 일종이다. 가장 큰 문착으로 1994년 베트남 하띤 성 부꽝 현과 라오스 중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라오스 캄무안 주에서 다목적사업을 위해 나카이 저수지에 물을 채우는 동안에 38마리의 자이언트문착을 생포하여, 연구하고 인근 나카이-남 툰 국립 보호 구역에 풀어주었다. 그리고 이어진 무선 추적 연구를 통해 이들 사슴의 이주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2] 캄보디아 동부의 일부 지역과 쭈옹손 산맥에서도 발견된다.[3]
자이언트문착은 주로 상록수 숲에서 발견되며, 몸무게는 30~50kg 정도이다.[4] 붉은 갈색 털을 갖고 있고, 우제류의 일종이다. 과도한 사냥과 화전 농업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때문에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포식자는 호랑이와 표범과 같은 동물이다. 근연종은 인도문착이다.
각주[편집]
- ↑ “Muntiacus vuquangens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4월 5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endangered.
- ↑ Stone, R. (2009). “Dam project reveals secret sanctuary of vanishing deer”. 《Science》 325 (5945): 1192–1192. doi:10.1126/science.325_1192b.
- ↑ “WWF: Giant muntjac (Muntiacus vuquangensis)”. 2010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Animal Info - Giant Muntj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