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메리카붉은마자마사슴
![]() | ||||||||||||||||||||
![]() 중앙아메리카붉은마자마사슴 | ||||||||||||||||||||
보전 상태 | ||||||||||||||||||||
---|---|---|---|---|---|---|---|---|---|---|---|---|---|---|---|---|---|---|---|---|
![]() 정보부족(DD),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Mazama temama Kerr, 1792 | ||||||||||||||||||||
아종 | ||||||||||||||||||||
| ||||||||||||||||||||
![]() 중앙아메리카붉은마자마사슴의 분포 지역 |
중앙아메리카붉은마자마사슴(Mazama temama)은 멕시코 남부부터 중앙아메리카를 거쳐 콜롬비아 북부 지역까지 분포하는 마자마사슴의 일종이다.[2] 이전에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붉은마자마사슴의 아종으로 취급했지만, 중앙아메리카붉은마자마사슴의 핵형은 2n = 50인 반면에 붉은마자마사슴의 핵형은 처음에 2n = 68-70으로 알려졌다.[1] 그러나 좀더 최근에 밝혀진 붉은마자마사슴의 핵형 2n = 48~54이다.[3] 유카탄갈색마자마사슴과 분포 지역이 겹치는 동지역성(동소성)을 보인다. 열대 기후 지역의 일,이차림에서 발견되며, 사냥과 남벌때문에 멸종 위협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4]
각주[편집]
- ↑ 가 나 다 “Mazama temam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Grubb, P. (2005). 〈Order Artiodactyla〉 [우제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657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Mazama american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Louise Emmons (January 1997). 《Neotropical Rainforest Mammals: A Field Guide》 2판.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20721-6. OCLC 20296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