랴오양시
약자: 辽K | |
![]() | |
행정 단위 | 지급시 |
---|---|
청사소재지 | 바이타 구 |
면적 | 4,741km2 |
인구 (2007년) 인구밀도 |
1,830,000명 386명/km2 |
지역전화 | 0419 |
시차 | UTC+8 |
웹사이트: www.liaoyang.gov.cn |
랴오양(요양시, 중국어: 辽阳市, 遼陽市, 문화어: 료양시, 만주어: ᠶᠠᠩ
ᠯᡳᠶᠣᠣ Liyoo Yang)은 랴오닝성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요동의 중심지였으며, 군사상 중요도시이며 신흥 공업도시이다.
지리[편집]
성도 선양에서 차로 1시간 거리에 있으며 랴오허·타이쯔허에 면한다. 동쪽은 번시 시, 남쪽과 서쪽으로 안산 시와 접한다.
행정 구역[편집]

5개 구, 1개 현급시, 1개 현으로 구성된다.
- 덩타 시(灯塔市)
- 랴오양 현(辽阳县)
기후[편집]
Liaoyang (1981–2010 normals)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3.9 (25.0) |
0.5 (32.9) |
7.6 (45.7) |
17.4 (63.3) |
23.8 (74.8) |
27.9 (82.2) |
29.3 (84.7) |
28.8 (83.8) |
24.6 (76.3) |
16.9 (62.4) |
6.6 (43.9) |
−1.0 (30.2) |
14.9 (58.8) |
일 평균 기온 °C (°F) | −10.4 (13.3) |
−5.7 (21.7) |
1.9 (35.4) |
11.2 (52.2) |
17.9 (64.2) |
22.5 (72.5) |
24.7 (76.5) |
23.8 (74.8) |
18.0 (64.4) |
10.4 (50.7) |
0.8 (33.4) |
−6.9 (19.6) |
9.0 (48.2) |
평균 최저 기온 °C (°F) | −16.2 (2.8) |
−11.5 (11.3) |
−3.7 (25.3) |
4.8 (40.6) |
11.8 (53.2) |
17.0 (62.6) |
20.4 (68.7) |
19.2 (66.6) |
12.0 (53.6) |
4.4 (39.9) |
−4.4 (24.1) |
−12.2 (10.0) |
3.5 (38.2)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7.3 (0.29) |
9.3 (0.37) |
18.6 (0.73) |
36.3 (1.43) |
55.7 (2.19) |
94.2 (3.71) |
168.5 (6.63) |
180.3 (7.10) |
71.6 (2.82) |
41.2 (1.62) |
21.3 (0.84) |
10.0 (0.39) |
714.3 (28.12) |
평균 상대 습도 (%) | 62 | 56 | 52 | 50 | 54 | 65 | 78 | 79 | 73 | 66 | 63 | 63 | 63 |
출처: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1] |
역사[편집]
랴오양(遼陽)은 양평(襄平)으로 불렸고, 이 지방 일대를 중국이 지배하던 중 중심지가 되었다. 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요동부의 중심이 되었다. 진나라(秦)는 요동부의 군치(郡治)를 이곳에 두었고, 전한과 후한의 시대에는 영토가 동으로 확대하여 현토군(玄菟郡)에 속하였다.
고구려가 양평(襄平)을 차지한 후 요동성이란 이름으로 불렸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하고 설치한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는 후에 소재지를 평양에서 이곳 양평으로 옮겼다.
요나라 시대에 요양으로 개명하여 요의 부도(副都,陪都)동경 요양부(東京遼陽府)가 되었다. 금나라도 동경요양부(東京遼陽府)를 부도(副都)로 하였다. 이 시기 동경에 있었던 황족 烏禄은 제 4대 황제 해릉왕(海陵王)에 반항하는 세력에 의해 옹립되어 해릉왕을 멸하고 제5대 황제 금 세종으로 즉위하여 요양에 백탑(白塔)등을 건설하였다.
원나라는 요양 행중서성(遼陽行中書省)을 두었고, 명나라는 요동도사(遼東都司)를 이곳에 설치하였다. 후금은 1622년 요양으로 천도하였다가 요양의 교외에 동경성을 쌓았다. 3년후 봉천(奉天)으로 천도할 때 동경성의 목제와 석재가 봉천으로 운반되어 동경성은 폐허가 되었다. 요양은 그 후 요양주로 개칭하고 봉천을 본거지로한 성경장군(盛京将軍, 후의 봉천성 (奉天省))의 아래에 두었다.
러일전쟁 당시인 1904년 8월에서 9월에 벌어진 요양회전의 전장이 되었다.
주의할 점[편집]
- (청나라) 봉천성과 (중일전쟁시의) 봉천시를 구분하여야 한다.
- (옛 奉天省: 지금의 랴오닝성과 지린성의 동남부에 해당한다)
자매 우호협약 도시[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중국기상국. 2018년 11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