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역
동작
(현충원) | |
---|---|
![]() 역명판(교체전) |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57 |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
역 번호 | 431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 |
진접 기점 40.8 km | |
|
동작
(현충원) | |
---|---|
![]() 급행 역명판 |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시메트로9호선[1] 서울9호선운영[2]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지하220 |
개업일 | 2009년 7월 24일 |
역 번호 | 920 |
승강장수 | 2면 4선(쌍섬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
개화 기점 22.5 km | |
|
동작(현충원)역(Dongjak (Seoul National Cemetery) station, 銅雀(顯忠院)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과 서초구 반포본동의 경계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역이다. 병기역명은 현충원으로[3], 인근에 국립서울현충원이 있다.[4]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이 역에만 지상 구간이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은 반포천 하저터널로 구반포역과 연결된다.
역사[편집]
- 1983년 9월 13일 : 동작역으로 역명 결정[5]
-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6]
- 2008년 9월 1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역명을 동작역으로 결정[7]
- 2009년 5월 28일 : 동작(현충원)역으로 변경[8]
- 2009년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 ~ 신논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역 구조[편집]
수도권 전철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서울 지하철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9호선의 경우 일반열차가 급행열차를 먼저 보낸다. 4호선의 경우 이촌역과 동작역 사이에 동작대교가 있으며 곡선승강장으로 인하여 승하차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발빠짐 주의해야 한다.
4호선 승강장[편집]
이촌 ↑ |
하 | | 상 |
↓ 총신대입구(이수) |
상행 | ● 수도권 전철 4호선 | 이촌 · 명동 · 동대문 · 창동 · 진접 방면 |
---|---|---|
하행 | 사당 · 과천 · 금정 · 안산 · 오이도 방면 |
9호선 승강장[편집]
흑석 ↑ |
| 상 | | 하 | |
↓ 구반포 |
하행 | ● 서울 지하철 9호선 | 일반 노량진 · 당산 · 염창 · 가양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개화 방면 |
---|---|---|
급행 노량진 · 당산 · 염창 · 가양 · 마곡나루 · 김포공항 방면 | ||
상행 | 급행 신논현 · 선정릉 · 종합운동장 · 중앙보훈병원 방면 | |
일반 신논현 · 선정릉 · 종합운동장 · 중앙보훈병원 방면 |
역 주변[편집]
동작구와 서초구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4호선 측 1번 출구는 서초구 반포본동에 설치되어 있다.
이용객 변동[편집]
9호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6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4호선 | 승차 | 4,446 | 4,204 | 4,212 | 4,115 | 3,992 | 3,478 | 3,434 | 3,479 | 3,363 | 3,598 | [9] |
하차 | 4,474 | 4,244 | 4,283 | 4,231 | 4,035 | 3,515 | 3,471 | 3,484 | 3,549 | 3,666 | ||
승하차 | 8,920 | 8,448 | 8,495 | 8,346 | 8,027 | 6,994 | 6,905 | 6,963 | 6,912 | 7,264 | ||
9호선 | 승차 | 미개통 | 10,996 | [10] | ||||||||
하차 | 10,159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4호선 | 승차 | 2,809 | 2,978 | 3,231 | 3,116 | 3,178 | 3,294 | 3,333 | 3,300 | 2,980 | ||
하차 | 2,865 | 3,099 | 3,455 | 3,372 | 3,458 | 3,641 | 3,702 | 3,648 | 3,314 | |||
승하차 | 5,674 | 6,077 | 6,686 | 6,488 | 6,636 | 6,935 | 7,035 | 6,948 | 6,294 | |||
9호선 | 승차 | 14,230 | 16,104 | 18,091 | 19,404 | 19,962 | 20,629 | 20,902 | 20,266 | 20,366 | ||
하차 | 14,117 | 15,795 | 17,680 | 18,735 | 19,382 | 20,268 | 20,447 | 19,970 | 20,152 |
사진[편집]
4호선 역명판 (2006년)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4호선 | ||
---|---|---|
430 이촌 진접 방면 |
● 수도권 전철 4호선 |
432 총신대입구 오이도 방면 |
서울 지하철 9호선 | ||
917 노량진 김포공항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 |
923 고속터미널 중앙보훈병원 방면 |
919 흑석 개화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일반 |
921 구반포 중앙보훈병원 방면 |
각주[편집]
- ↑ 건설/관리 및 열차 운행 업무
- ↑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 ↑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 ↑ http://www.metro9.co.kr/common/download.do?fileIndex=2847&orderNum=1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9호선 영업거리표
-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1983년 9월 13일.
-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 2008년 9월 18일.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11호 , 2009년 5월 28일.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서울시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2016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