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신 (승려)
도신 (승려) | |
---|---|
![]() 왼쪽에 있는 사람이 도신이다. <선불기적> 제6권 도신대사의 판화. | |
출생 | 580년 |
입적 | 651년 |
속명 | 사마(司馬)씨 |
칭호 | 선종 4대 조사 |
도신(道信, 580년~651년)는 수나라와 당나라의 승려이며 선종(禪宗)의 제4대 조사이다.
이전 선종 선사들과는 달리 처음으로 500명 무리를 이루어서 집단수행을 하였다. 하나의 교단의 형태를 이룬 것으로, 중국 선종의 실질적 시조라고 볼 수 있다.[1]
생애[편집]
일곱 살 때 한 사람의 스승을 따라다니며 5년 동안 같이 생활했다. 그 후, 완공산에 나타난 승려 2명에게 10년간 선(禪)을 배웠다. 승려들은 나부산(羅浮山)으로 떠나버렸고, 도신은 길주(吉州)에 있는 사찰에 정식으로 출가하였다.[2]
사실 완공산에서 도신에게 10년 간 선을 가르친 승려는 3대 조사인 승찬이었다.[3]
어느 날, 도적떼가 길주의 읍내를 포위했는데, 도신이 사람들에게 반야(般若)를 염송하도록 했다. 그러자 도적을 물리칠 수 있었다고 한다. 그 후 남악(南嶽)으로 가려고 했지만 도중에 사람들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4]
그래서 여산(廬山)의 대림사(大林寺)에 들어가 10년 동안 지냈다. 그 후, 기주 황매현(黃梅縣)의 쌍봉사(雙峰寺)로 옮겨가 30년간 제자들을 지도하였다. 651년 72세로 입적했다.[5]
게송[편집]
꽃씨에 나는 성품 있어
땅을 인연하여 씨앗 꽃이 피나
앞의 인연이 화합하지 않으면
모든 것이 다 나지 않는도다.[6]
각주[편집]
- ↑ 광전스님, 광전스님 (2010년 4월 24일). “중국의 선④ 도신〈1〉”.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9월 21일에 확인함.
도신은 달마, 혜가, 승찬과는 달리 집단수행생활을 하였다. <속고승전>의 기록에 의하면 그를 따르는 무리가 500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도신에 이르러 하나의 교단의 형태를 이루어, 도신을 중국 선종의 실질적인 창시자라 해도 좋을 것이다.
- ↑ 광전스님, 광전스님 (2010년 4월 24일). “중국의 선④ 도신〈1〉”.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9월 21일에 확인함.
일곱 살 때 한 사람의 스승을 따라다니며 5년 동안 같이 생활했고, 그 후 어디에서 온지는 모르지만 완공산(公山)에 나타난 두 사람의 승려로부터 10년간 선(禪)을 배웠다. 두 사람은 이후 나부산(羅浮山)으로 떠났지만 도신은 함께 가지 못했다. 이후 정식으로 출가하여 길주(吉州)의 절에 승적을 두었다.
- ↑ 창원전문대 교수, 창원전문대 교수 (2003년 6월 18일). “중국 선종 제3조 승찬(僧璨)스님”.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9월 21일에 확인함.
어느 날 혜가스님은 승찬에게 옷과 법을 전한 뒤에 다시 말했다. “그대는 내 법을 받고는 깊은 산속에 들어앉아 얼른 교화에 나서지 말라. 머지않아 국난이 있으리라.” 승찬스님은 대법을 계승한 뒤 몸을 숨겨 서주(舒州)의 환공산(晥公山)에 들어가 깊이 은거했다. 승찬스님은 이후 도신스님(道信, 580∼651)을 만나 그의 그릇됨을 알아보고 옷과 법을 전해주고는 곧 나부산(羅浮山)으로 가서 은둔하다가는 다시 옛터로 돌아와서
- ↑ 광전스님, 광전스님 (2010년 4월 24일). “중국의 선④ 도신〈1〉”.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9월 21일에 확인함.
도적떼가 길주의 읍내를 포위했을 때, 도신이 사람들에게 반야(般若)를 염송하도록 해 도적을 물리쳤다고 한다. 그 후 남악(南嶽)으로 가려고 했지만 도중에 사람들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 ↑ 광전스님, 광전스님 (2010년 4월 24일). “중국의 선④ 도신〈1〉”.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9월 21일에 확인함.
천태지의(天台智)의 제자인 지개가 창건한 여산(廬山)의 대림사(大林寺)에 들어가 10년 동안 지냈다. 그 후 기주 황매현(黃梅縣)의 쌍봉사(雙峰寺)로 옮겨가 30년간 제자들을 지도하고 651년 72세로 입적했다고 한다.
- ↑ 혜능, 혜능. 《육조단경》. 29. 傳偈 - 게송을 전함.
전임 승찬 |
제4대 중국 선종의 조사 606년 ~ 651년 |
후임 홍인 |
![]() |
이 글은 불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