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의 국가

愛國歌 (나라를 사랑하는 뜻으로 온 국민이 부르는 노래) | |
---|---|
![]() 애국가 가사 | |
![]() | |
작사 | 민영환 또는 고종 |
작곡 | 프란츠 에케르트 (1896년 작곡) |
도입 | 1902년 |
폐지 | 1910년 |
독일 제국의 해군 소속 음악가였던 프란츠 에케르트가 한국 민요 "바람이 분다"의 선율에 의거하여[1] 작곡하였으며, 1902년에 국가가 되었다. 프란츠 에케르트는 국가를 작곡한 공로로 훈장을 수여받았다.
1910년 한일 병합으로 이 곡은 금지곡이 되었고, 기미가요가 공식 국가가 되었다. 기미가요도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하였다.
1945년 한국이 독립하고 194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각자 다른 노래를 대한민국의 국가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로 선정하여 대한제국 애국가는 더이상 부르지 않게 되었다.
가사[편집]
대한제국 애국가는 몇 차례의 가사 변화가 있었다.
첫 번째 가사[편집]
한문표기 | 원문표기 | 현대 한글 표기 |
---|---|---|
上帝保佑皇帝聖上 |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ᄉᆞ |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시어 |
이 가사는 을사조약(1905)과 한일신협약(1907) 이전인 1902년에 프란츠 에케르트에 의해 작곡되었다.
두 번째 가사[편집]
당시 한국어 | 현대 한국어 |
---|---|
상뎨(上帝)난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
세 번째 가사[편집]
당시 한국어 | 현대 한국어 |
---|---|
상뎨(上帝)여 우리나라를 도으쇼셔 |
상제여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
1925년 한미클럽악보가사[편집]
당시 한국어 | 현대 한국어 |
---|---|
상뎨(上帝)는 우리대한를 도으소셔 |
상제는 우리대한를 도우소서 |
이 노래는 1910년 한일병합조약 체결 이전에 하와이로 이주한 한국 사람들 중에서 악보나 멜로디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불렀던 노래이다.
1925년 호놀룰루에 있는 한미클럽에서 새로이 악보를 작성하였다.
각주[편집]
- ↑ 이경분, 헤르만 고체프스키 공저 (2012년 12월 1일). “프란츠 에케르트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역사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