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적 순환
대수기하학에서 대수적 순환(代數的循環, 영어: algebraic cycle)은 어떤 대수다양체 V의 부분 다양체들의 선형 결합으로 나타내어지는 호몰로지류이다. 이를 이용하여, 대수적 위상수학과 대수기하학을 연관시킬 수 있다.
정의
[편집]스킴 위의 대수적 순환들의 아벨 군 는 의 기약 축소 닫힌 부분 스킴들로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이다. 이는 부분 스킴의 크룰 차원으로 인하여 등급을 갖는다.
타당한 동치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 위의 두 대수적 순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와 가 서로 제대로 교차(영어: properly intersect)한다고 한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 위의 대수적 순환들의 타당한 동치(妥當한 同値, 영어: adequate equivalence relation)는 위에 정의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치 관계 이다.
- (선형성) 임의의 , 에 대하여, 만약 , 이라면 이다.
- (저우 이동 보조 정리) 임의의 에 대하여, 와 동치이며 와 제대로 교차하는 가 존재한다.
- (밂) 임의의 및 에 대하여, 만약 와 가 제대로 교차하며, 또한 이라면, 이다. 여기서 는 사영 사상이다.
대수적 순환의 유리 동치는 타당한 동치를 이룬다. 이 밖에도 흔히 쓰이는 타당한 동치로는 다음 네 가지가 있다.
- 유리 동치(有理同値, 영어: rational equivalence)
- 대수적 동치(代數的同値, 영어: algebraic equivalence)
- 호몰로지 동치(homology同値, 영어: homological equivalence)
- 수치 동치(數値同値, 영어: numerical equivalence)
이들은 더 엉성해지는 순서로 나열하였다. 즉, 예를 들어 서로 유리 동치인 두 대수적 순환은 항상 대수적 동치이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대수적 동치와 호몰로지 동치는 여차원 1(인자)인 경우 서로 일치하지만, 더 큰 여차원에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으며, 그 차이는 그리피스 군(영어: Griffiths group)으로 측정된다.
유리 동치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 위의 부분 다양체 에 대하여, 만약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수적 순환 이 존재한다면, 와 가 서로 유리 동치라고 한다.
- 사영 사상 는 평탄 사상이다.
대수적 동치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 위의 부분 다양체 에 대하여, 만약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 대수 곡선
- 속의 두 닫힌 점
- 속의 대수적 순환
가 존재한다면, 와 가 서로 대수적 동치라고 한다.
- 사영 사상 는 평탄 사상이다.
호몰로지 동치
[편집]복소수체 위의 대수다양체의 경우, 특이 호몰로지를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대수적 순환에서 특이 호몰로지로 가는 사상
이 존재한다. 만약 두 대수적 순환이 같은 특이 호몰로지류에 대응한다면, 이들을 서로 호몰로지 동치라고 한다.
복소수체가 아닌 체의 경우, 다른 베유 호몰로지 이론을 사용하여 호몰로지 동치를 정의할 수 있다.
수치 동치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 위의 부분 다양체 에 대하여, 만약 임의의 차원 대수적 순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면, 와 가 서로 수치 동치라고 한다.
저우 환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사영 대수다양체 위의 대수적 순환들의 자유 아벨 군에 유리 동치에 대한 몫군을 취하여 얻는 군을 라고 쓰자. 이는 여차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등급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 위에 다음과 같이 교차곱을 정의하자.
이 때, 동치류의 대표원 , 는 저우 이동 보조 정리를 사용하여 서로 제대로 교차하게 고른다. 위 정의는 대표원의 선택에 상관없음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여차원에 대하여 가법적이다.
이에 따라 은 등급환을 이루며, 이를 의 저우 환([周]環, 영어: Chow ring)이라고 한다. 이는 일종의 코호몰로지 환이다.
만약 가 복소수체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라면, 저우 환에서 (해석적 위상에 대한) 정수 계수 특이 코호몰로지로 가는 환 준동형이 존재하며, 그 상은 모두 짝수 차수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이 준동형은 단사 함수도, (짝수 차수에 국한하여도) 전사 함수도 아니다.
예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기약 대수다양체 의 여차원 0의 대수적 순환은 자체밖에 없다. 즉, 이로부터 생성되는 군은 와 동형이며, 유리 동치 · 대수적 동치 · 호몰로지 동치 · 수치적 동치가 일치한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다양체 의 여차원 1의 대수적 순환의 군은 카르티에 인자의 군
에 해당된다. 이 경우, 여차원 1의 저우 군(=유리 동치에 대한 몫군)은 피카르 군이다.
이 경우 대수적 동치와 (정수 계수) 호몰로지 동치는 일치하며, 이에 대한 몫군은 네롱-세베리 군이다.
수치 동치와 (유리수 계수) 호몰로지 동치는 일치하며, 이에 대한 몫군은 네롱-세베리 군의 꼬임 부분군에 대한 몫군이다.
역사
[편집]이 용어는 1950년~60년대 몇가지 근본적인 추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대수적 순환은 대수기하학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문제의 본질은 매우 설명하기 쉬워 대수적 순환의 존재를 예측하긴 쉽지만, 현재 그것들을 구성하는 게 무엇인지는 불확실하다. 이러한 대수적 순환의 주요 추측으로는 호지 추측 및 테이트 추측이 있다. 또한, 대수적 순환은 대수적 K이론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유리 동치에 대한 저우 움직임 정리와 저우 환의 존재는 저우웨이량이 1956년에 증명하였다.[1] 타당한 동치 관계의 개념은 피에르 사뮈엘(프랑스어: Pierre Samuel)이 1958년에 정의하였다.[2]
각주
[편집]- ↑ Chow, Wei-Liang (1956년 11월). “On equivalence classes of cycles in an algebraic variety”.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64 (3): 450–479. doi:10.2307/1969596. ISSN 0003-486X. JSTOR 1969596.
- ↑ Samuel, Pierre (1960). “Relations d’équivalence en géométrie algébrique”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14–21 August 1958》 (프랑스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0–487. 2017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일에 확인함.
- Fulton, William (1998). 《Intersection theory》.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3. Folge (영어) 2 2판. Springer. doi:10.1007/978-1-4612-1700-8. ISBN 978-0-387-98549-7. MR 1644323. Zbl 0885.14002.
- B. Brent Gordon, James D. Lewis, Stefan Müller-Stach, Shuji Saito, Noriko Yui, 편집. (2000). 《The arithmetic and geometry of algebraic cycles. Proceedings of the CRM summer school, June 7–19, 1998, Banff, Alberta, Canada》 (영어). Providence, R.I.: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1954-8.
외부 링크
[편집]- “Algebraic cycl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Chow ring”.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Chow ring”.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Algebraic cycle”. 《nLab》 (영어).
- “Chow group”. 《nLab》 (영어).
- “Arithmetic Chow group”. 《nLab》 (영어).
- “Adequate equivalence relation”. 《nLab》 (영어).
- DeLand, Matt (2009년 3월 22일). “The Chow Ring and Chern Classes”. 《Rigorous Trivialities》 (영어).
- “Difference between equivalence relations on algebraic cycles” (영어). Math Overflow.
- “For which varieties is the natural map from the Chow ring to integral cohomology an isomorphism?” (영어). Math Overflow.
- “For which varieties is the natural map from the Chow ring to integral cohomology an injection?” (영어). Stack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