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환대수학과 대수기하학에서 크룰 차원(Krull次元, 영어: Krull dimension)은 가환환에 대한 차원의 일종이다. 소 아이디얼로 이루어진 진부분집합들의 사슬들의 크기의 상한이다.
위상 공간
의 기약 집합(영어: irreducible set)은 기약 공간이며 공집합이 아닌 닫힌집합이다.[1]:3 (이는 아핀 스킴의 경우 소 아이디얼에 대응한다.)
의 크룰 차원은
의 기약 집합들의 사슬

의 길이들의 상한
이다.[1]:5 만약 기약 집합이 아예 존재하지 않을 경우 (즉, 공간이 공집합인 경우), 크룰 차원은
이다.
보통, 스킴의 차원이란 이 크룰 차원을 말한다. 이 정의에 따라 자명환의 스펙트럼의 크룰 차원은
이다.
위상 공간
의 열린 덮개
가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가환환
위의 가군
의 크룰 차원은 다음과 같다.[2]:226

여기서
은
의 소멸자이며,
은 환의 스펙트럼이다. 대수기하학적으로, 이는
을
위의 가군층으로 여겼을 때, 그 지지 집합의 차원에 해당한다.
가환환
의 소 아이디얼
의 높이(영어: height)
는 다음과 같은 소 아이디얼의 사슬의 최대 길이
이다.

이는 국소화
의 크룰 차원과 같다.

가환환
의 아이디얼
의 높이(영어: height)
는
를 포함하는 소 아이디얼들의 높이의 하한이다.

(초른 보조정리에 따라,
를 포함하는 극대 아이디얼이 항상 존재하며, 극대 아이디얼은 소 아이디얼이므로 이는 항상 공집합이 아니다.)
대수기하학적으로, 이는
의 여차원과 같다.

가 (1을 갖춘) 가환환이라고 하자. 만약
의 소 아이디얼들
가 다음과 같은 진부분집합의 사슬

을 이룰 때, 음이 아닌 정수
을 집합
의 원소로 정의하자. 그렇다면 가환환
의 크룰 차원은
의 상한이다.[1]:6 즉,
자명환의 경우, 크룰 차원은
이다.
그렇다면, 다음 세 개의 차원들이 서로 같다.
의 환으로서의 크룰 차원
- 스펙트럼
의 크룰 차원
를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 여겼을 때,
의 가군 크룰 차원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2]:227, Corollary 9.1[3]:90, Theorem 8.5
일반적인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dim R+1\leq \dim R[x]\leq 2\dim R+1}](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a839c229cee1e25fde9203ba36de1d826d24c52)
만약
가 뇌터 환이라면, 다음이 성립한다.[2]:Corollary 10.13
![{\displaystyle \dim R[x]=1+\dim R}](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f103adde8bf94497ff712d6d99261521bd90ace)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다양체의 크룰 차원은 유한하며, 쌍유리 변환 아래 불변량이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에 대한 아핀 대수다양체
(
는 소 아이디얼)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3]:124–125
의 크룰 차원이
이다.
의 임의의 비특이점에서의 뇌터 국소환의 크룰 차원이
이다.
의 유리 함수체
의
에 대한 초월 차수가
이다.
의 힐베르트 다항식이
차 다항식이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에 대한 사영 대수다양체
(
는 동차 소 아이디얼)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의 크룰 차원이
이다.
의 임의의 비특이점에서의 국소환의 크룰 차원이
이다.
의
에 대한 초월 차수가
이다.
뇌터 국소환
의 차원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3]:119 이들은 모두 같으며, 항상 유한하다.
의 크룰 차원 
에서,
가 자명환이 아닌 아르틴 환이 되는 아이디얼
의 생성원들의 최소 크기 
가 임의의
-으뜸 아이디얼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형식적 멱급수![{\displaystyle P(t)=\sum _{n=0}^{\infty }\ell ({\mathfrak {q}}^{n}/{\mathfrak {q}}^{n+1}))t^{n}\in \mathbb {Z} [[t]]}](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5a4780e5e6d59d74b67dbde8d10e532d3a5771e)
를 정의할 수 있다 (
,
은 가군의 길이). 이는 항상 유리 함수이며,
의
에서의 극점의 차수를
라고 하자. 이 값은
의 선택에 관계없다.
이렇게 정의하면, 항상

이다.
정칙 국소환
의 차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정의들은 모두 같다.[3]:123, Theorem 11.22
- 뇌터 국소환으로서의 차원
(모든 정칙 국소환은 뇌터 국소환이다.)
. 여기서
은 체
위의 벡터 공간의 차원이다.
의 최소 생성 집합의 크기
일 때,
. 여기서
이다.
크룰 차원이
인 유일한 가환환은 자명환이다.
체의 소 아이디얼은 (0)뿐이다. 따라서 모든 체는 크룰 차원이 0이다. 주 아이디얼 정역의 경우, 모든 0이 아닌 소 아이디얼은 극대 아이디얼이다. 따라서 체가 아닌 주 아이디얼 정역의 크룰 차원은 1이다.
가 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므로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다.[1]:6
자연수
에 대하여, 가환환
의 크룰 차원은 다음과 같다.

위상 공간의 크룰 차원은 자리스키 위상과는 잘 호환되지만, 하우스도르프 위상과는 호환되지 않는다.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경우, 기약 집합은 한원소 집합이며, 따라서 공집합이 아닌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차원은 항상 0이다.
시에르핀스키 공간
,
의 기약 집합은
및
이므로, 시에르핀스키 공간의 크룰 차원은 1이다.
체
위의 벡터 공간
의 가군으로서의 크룰 차원은 항상 0이다. 이 경우
이며,
는 항상 한원소 공간으로서 크룰 차원이 0차원이다. 즉, 가군의 크룰 차원은 벡터 공간의 차원과 관계가 없다.
체
에 대하여, 무한 개의 변수의 다항식환
![{\displaystyle R=K[x_{1},x_{2},x_{3},\dots ]}](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9ff393b08fa3ece661ec2712a4dd1c32233a4d0)
를 생각하자. 임의의 증가 정수열

가 주어졌을 때, 소 아이디얼들의 열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를
![{\displaystyle S=K[x_{1},x_{2},x_{3},\dots ]\setminus \bigcup _{i=1}^{\infty }{\mathfrak {p}}_{i}}](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24cc29cd85e5cf4f02fabb4bca3f1975bb35508)
에 국소화하면,
는 뇌터 환이며, 그 크룰 차원은

이다. 만약
라면, 이는 무한 크룰 차원의 뇌터 환이 된다. 이 예는 나가타 마사요시가 제시하였다.[4]:Appendix, Example E1[2]:229, Exercise 9.6
볼프강 크룰이 1928년 크룰 높이 정리를 증명하면서 그 기본 개념을 도입하였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