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교통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5월) |
![]() Kimpo Bus Transportation Co., Ltd. | |
산업 분야 | 운수업 (시내버스) |
---|---|
창립 | 1970년 11월 4일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70 (방화동) |
핵심 인물 | 유기만, 유영준 (대표이사) |
자본금 | 1,500,000,000원 (2018.12) |
매출액 | 25,684,556,970원 (2018) |
영업이익 | 764,640,952원 (2018) |
순이익 | 429,874,955원 (2018) |
자산총액 | 19,302,955,605원 (2018.12) |
주요 주주 | 유기만: 90.48% 유영준: 9.52% |
종업원 | 346명 (2017.12) |
웹사이트 | http://www.kimpobus.co.kr |
김포교통 주식회사(金浦交通 株式會社)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개요[편집]
1970년 7월 2일 대륙교통(영등포구 양평동 소재, 1976년 폐업)에서 김포를 기점으로 하는 버스노선 및 차량 20대를 분리독립하여 설립한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이다. 과거에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에 별도의 영업소를 운영하였으나 불로동 재개발로 인해 매각되어 현재는 방화동 본사만 남아 있다. 현재 김포교통에서는 세 개의 간선버스 노선과 세 개의 지선버스 노선을 운영중이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때 김포교통은 다모아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고, 신촌교통에서 개편으로 인한 잉여차량을 인수받았다.
운행 노선[편집]
2017년 9월 30일 기준이다.[1]
운행구간 | 운행노선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651번 | 방화동 | ↔ | 서울대학교 | 5~15 | 27 | |
654번 | 방화동 | ↔ | 노들역 | 8~20 | 20 | 구 760번 좌석버스. 642번 변경 및 단축 |
672번 | 방화동 | ↔ | 이화여자대학교후문 | 10~18 | 15 | 구 130번 좌석버스. 9602번 단축 |
6629번 | 방화동 | ↔ | 영등포역 | 6~15 | 24 | 구 22번 |
6648번 | 방화동 | ↔ | 양천구청 | 10~18 | 13 | 구 6641번 변경 |
6712번 | 방화동 | ↔ | 서강대학교 | 8~18 | 18 | 구 130번 단축·변경 |
이전 보유 노선 (변경, 폐선, 개편)[편집]
운행구간 | 운행노선 | 비고 | ||
---|---|---|---|---|
642번 | 방화동 | ↔ | 논현역 | 구 760번 좌석버스. 2016년 7월 25일 노선 단축과 함께 654번으로 변경 |
6600번 | 강서공영차고지 | ↔ | 경인아라뱃길 김포터미널 | 공항버스, 다모아자동차, 오케이버스와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2011-10-29 ~ 2011-11-08 |
6641번 | 방화동 | ↔ | 불로동 | 구 230번 연장. 2016년 1월 1일부터 6648번으로 변경 |
8661번 | 방화동 | ↔ | 당산역 | 공항버스와 평일 출퇴근 시간대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2009년 7월 11일 폐선 |
8663번 | 가양역 | → | 여의도역 | 평일 출근 편도 노선. 2015년 2월 26일 운행 개시. 2016년 1월 1일부로 공동배차 철수 |
9602번 | 불로동 | ↔ | 세종문화회관 (광화문역) | 2010년 6월 1일 노선 단축과 함께 672번으로 형간전환 |
2004년 개편 전 운행 노선[편집]
- 9-1번: 방화역 - 양천향교역 - 등촌역 - 가양역 - 염창동 - 당산역 - 영등포구청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22번: 방화역 - 공항시장역 - 김포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화곡역 - 화곡시장 - 강서구청 - 그리스도신학대학 - 등촌역 - 통합병원 - 목동역 - 오목교역 - 양남사거리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현 6629번>
- 22-1번: 방화역 - 긴등마을 - 송정역 - 김포공항 - 송정중학교 - 강서면허시험장 - 신월5동 - 화곡역 - 화곡시장 - 강서구청 - 그리스도신학대학 - 가양역 - 염창동 - 용왕산 - 월촌초등학교, 월촌중학교 - 목동 한신, 청구아파트 (회차) <오케이버스 소속 현 6627번으로 노선이 일부 단축된 상황이고 회차 지점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이라고 나와있으나 실제 청구아파트가 회차 지점이다. 원래 노선은 긴등마을 미경유로, 영등포역까지 운행이 되었으나, 수차례의 단축 및 회차 지점 변경을 거쳤다.>
- 41번: 방화역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화곡역 - 화곡시장 - 강서구청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상 신촌역 - 신촌로터리 (회차) <기존에는 김포공항을 경유하였으며, 68번 좌석버스와 마찬가지로 미도파 (현 롯데 영플라자)까지 운행하다가 1996년에 김포공항 미경유 및 신촌로터리로 단축되었다.>
- 68번 (좌석버스): 방화역 - 공항시장역 - 김포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화곡역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상 신촌역 - 이대역 - 종근당그룹 - 서울역 - 시청역 - 미도파 (현 롯데 영플라자, 정류장 위치는 한진빌딩 앞) <현 다모아자동차 간선버스 601번 및 노선 일부 변경>
- 130번 (도시형버스): 김포시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김포공항 - 공항시장역 - 양천향교역 - 가양아파트단지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하 신촌역 - 연희 나들목 <현 6712번으로 합정역 경유로 변경. 방화역, 김포공항으로 단축되었다. 1970년대 초반 급행 130번으로 김포-제2한강교-중앙청, 김포-제2한강교-을지로6가, 김포-화곡동 3개의 노선으로 운행이 되다가 1973년 3월 을지로6가 노선을 42번으로 분리하였다. 1980년 7월 성산대교 개통과 함께 김포읍-성산대교-연세대-아현동-광화문으로 노선이 조정되었으며, 1990년 130번 좌석 노선이 신설되면서 신촌로터리-연희동회차로 단축이 되었다. 1992년 가양아파트 입주로 6~9단지는 청색 노선이, 1~9단지는 적색 노선이 운행을 하였으며, 이후 2000년 청색 노선이 대폭 변경되어 김포공항-송정역-발산역-양천향교역으로 운행을 하였으며, 한 달 후 회차지점이 송정역으로 단축되고, 기점이 불로동으로 연장이 되었고, 노선번호가 230번으로 분리 되었다.>
- 130번 (좌석버스): 김포시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 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개화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역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상 신촌역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광화문역) - 서울역사박물관 - 충정로역 - 아현역 - 이대역 - 지하 신촌역 <이하 역순> <개편후 광역버스 9602번으로 운행하다가, 현재는 672번으로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1990년 신설, 김포시 - 고촌 - 김포공항 - 공항시장 - 염창동 - 성산대교 - 연세대 - 신촌기차역 - 이대역 - 종근당 - 광화문 - 서대문으로 운행을 하였으며, 2001년 김포공항 경유에서 개화산역 경유로 변경하였고, 2003년 명물거리 회차를 신촌기차역 경유 - 봉원고가 회차로 임시 변경한 적이 있다.>
- 230번: 인천광역시 불로동 - 여우재고개 -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 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현 6641번으로 김포공항 경유 및 방화동까지 연장되었다. 2000년 130번 청색 노선이 분리되어 신설된 노선으로 2001년 김포공항 미경유로 변경하였다.>
- 1002번 (좌석버스): 인천광역시 오류동 - 풍무동 - 장릉입구 - 선수동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아파트단지 - 염창동 - 여의도 - 국회의사당역 - 마포대교 - 마포역 - 공덕역 - 애오개역 - 충정로역 - 서울역사박물관 - 광화문역 - 시청역 - 종근당그룹 <이하 역순> <1992년 신설된 직행좌석 노선으로 김포교통, 공항버스, 공항교통 (현 공항리무진)에서 각각 6대를 투입하여 김포공항 - 시청을 운행하였다. 이후 김포교통 단독운행으로 변경된 후, 2000년에 풍무동, 계양구 오류동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2002년 12월 경기도 김포운수로 양도하여 현재까지 노선조정 후 운행중이다.>
- 그 외에 9-2번, 22-2번, 22번 과해지선, 42번, 42-1번, 412번, 426번, 좌석버스 310번, 가양마을버스 1번 / 1-1번 / 2번 / 2-1번, 방화마을버스 7번 등을 운행하였다.
보유차량[편집]
사진[편집]
각주[편집]
- ↑ 2017년 9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서울교통정보과, 2017년 11월 7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