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꼬리친칠라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보전 상태 | ||||||||||||||||
---|---|---|---|---|---|---|---|---|---|---|---|---|---|---|---|---|
![]() 위기(EN),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hinchilla lanigera Bennett, 1829 | ||||||||||||||||
![]() 긴꼬리친칠라의 분포 지역 | ||||||||||||||||
이명 | ||||||||||||||||
Mus laniger Chinchilla velligera |
긴꼬리친칠라(Chinchilla lanigera)는 친칠라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칠레친칠라"와 "해안친칠라", "커먼친칠라", "작은친칠라"로도 불린다. [2] 긴꼬리친칠라의 야생 개체군은 칠레 제4주(코킴보 주) 이야펠 근처의 아우코의 친칠라 국립 보호 구역과 코킴보 북쪽 약 100km의 라이게라 지역에서 발견된다.[3] 칠레 탈카 지역부터 북쪽으로 페루까지 발견된 기록이 있으며,[4] 19세기 중반까지 칠레친칠라는 초아파 강 남쪽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알려진 화석종은 없다.
각주[편집]
- ↑ “Chinchilla laniger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5일에 확인함.
- ↑ Woods, C.A.; Kilpatrick, C.W. (2005). 〈Infraorder Hystricognathi〉 [호저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5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Jiménez, J.E. (1996), “The extirpation and current status of wild chinchillas (Chinchilla lanigera and C. brevicaudata)”, 《Biological Conservation》 77: 1–6, doi:10.1016/0006-3207(95)00116-6
- ↑ Bennett, E.T. (1835). “On the Chinchillidae, a family of herbivorous Rodentia, and on a new genus referrible [sic] to it”. 《Transaction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 35–64. doi:10.1111/j.1096-3642.1835.tb0060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