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탈색털난쟁이호저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호저아목 |
과: | 아메리카호저과 |
속: | 잡는꼬리호저속 |
종: | 부분탈색털난쟁이호저 (C. pruinosus) |
학명 | |
'Coendou pruinosus' | |
(Thomas, 1905) | |
보전상태 | |
부분탈색털난쟁이호저(Coendou pruinosus)는 아메리카호저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콜롬비아부터 베네수엘라 북부와 동부 사이에서 발견된다. 이전에 한때는 난쟁이호저속(Sphiggurus)으로 분류했으나[2] 유전학 연구를 통해 다계통군으로 밝혀짐에 따라 더 이상 난쟁이호저속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3] 해발 50m와 2600m 사이의 저지대 열대 우림과 운무림에서 서식한다.[1] 핵형은 2n=42, FN=76이다.[2] 근연종은 갈색털난쟁이호저(Coendou vestitus)이다.[3]
각주[편집]
- ↑ 가 나 Delgado, C. (2016). “Coendou pruinos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136485A22213797. doi:10.2305/IUCN.UK.2016-2.RLTS.T136485A22213797.en. 2016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Woods, C.A.; Kilpatrick, C.W. (2005). “Infraorder Hystricognathi” [호저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4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Voss, R. S.; Hubbard, C.; Jansa, S. A. (February 2013).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ew World Porcupines (Rodentia, Erethizontidae): Implications for Taxonomy, Morphological Evolution, and Biogeography” (PDF). 《American Museum Novitates》 3769 (3769): 1–36. doi:10.1206/37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