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는꼬리호저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잡는꼬리호저속
브라질호저
브라질호저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호저아목
과: 아메리카호저과
속: 잡는꼬리호저속
(Coendou)
Lacépède, 1799
  • 본문 참조

잡는꼬리호저속 또는 멕시코산미치광이속(Coendou)은 아메리카호저과에 속하는 설치류 분류군이다.[1]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다.[2] 이전에는 2개의 신열대구 나무호저류 속, 아마존호저속(Echinoprocta)[3]과 난쟁이호저속(Sphiggurus)[4]을 별개의 속으로 인식했지만, 유전학적 계통 분석을 통해 이제는 잡는꼬리호저속(Coendou)으로 통합하여 분류하고 있다.[5]

특징[편집]

잡는꼬리호저류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시가 없는 잡는꼬리이다. 앞발과 뒷발도 움켜쥘 수 있도록 발달해 있다. 팔다리 모두 잘 기어오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나무 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6] 먹이는 식물의 잎과 싹, 과일, 나무껍질, 뿌리 그리고 새싹이다. 농장 작물에게는 해로운 동물일 수 있다.[6] 야생에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독특한 "아기같은" 소리를 내기도 한다. 새끼는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태어나며, 나이가 들면서 날카롭고 단단하게 변한다. 다 자라면 천천히 움직이고, 위협을 받으면 땅에서 공처럼 구른다. 수명은 27년이다.[7]

하위 종[편집]

1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5]

각주[편집]

  1. Woods, C.A.; Kilpatrick, C.W. (2005). “Infraorder Hystricognathi” [호저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38–159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Woods, C.A.; Kilpatrick, C.W. (2005). “Genus Coendou.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46–1547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3. Woods, C.A.; Kilpatrick, C.W. (2005). “Genus Echinoprocta.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47–154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4. Woods, C.A.; Kilpatrick, C.W. (2005). “Genus Sphiggurus.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48–155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5. Voss, R. S.; Hubbard, C.; Jansa, S. A. (February 2013).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ew World Porcupines (Rodentia, Erethizontidae): Implications for Taxonomy, Morphological Evolution, and Biogeography” (PDF). 《American Museum Novitates》 3769 (3769): 1–36. doi:10.1206/3769.2. 
  6. Gorbunova, V; Bozzella, MJ; Seluanov, A (September 2008). “Rodents for comparative aging studies: from mice to beavers”. 《Age (Dordr)》 30 (2–3): 111–119. doi:10.1007/s11357-008-9053-4. 
  7. Nowak, Ronald M (1999).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6판.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0-8018-5789-9. 
  8. Feijó, Anderson; Langguth, Alfredo (2013년 9월 12일). “A new species of porcupine from the Baturité range”. 《Revista Nordestina de Biologia》 22 (1/2): 124–126. 
  9. “New Discovery: Porcupine Species Identified in Brazil”. National Geographic. 2013년 12월 10일. 2013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10. “Coendou baturitensis: New Porcupine Discovered in Brazil”. Sci-News.com. 2013년 12월 2일. 201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11. Pontes, A.R.M.; Gadelha, J.R.; Melo, É.R.A.; SÁ, F.B.; Loss, A.C.; Caldara Jr, V.; Costa, L.P.; Leite, Y.L.R. (2013년 4월 5일). “A new species of porcupine, genus Coendou (Rodentia: Erethizontidae) from the Atlantic forest of northeastern Brazil” (PDF). 《Zootaxa》 3636 (3): 421–438. doi:10.11646/zootaxa.363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