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라스투코투코
![]() | ||
---|---|---|
![]() 탈라스투코투코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아목: | 호저아목 | |
과: | 투코투코과 | |
속: | 투코투코속 | |
종: | 탈라스투코투코 (C. talarum) | |
학명 | ||
Ctenomys talarum | ||
Thomas, 1898 | ||
아종 | ||
| ||
보전상태 | ||
|
탈라스투코투코(Ctenomys talarum)는 투코투코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아르헨티나의 토착종이다.[1]
특징[편집]
탈라스투코투코는 대형 설치류의 일종이며, 몸길이가 212~254mm로 생쥐의 거의 두 배이다. 꼬리 길이는 56~76mm로 다양하고, 몸무게는 약 118g이다.[3] 눈에 띠는 성적 이형성을 보여 준다.[4] 기본적으로 탈라스투코투코는 원통형의 몸을 갖고 있지만, 머리와 어깨 부분이 크다. 짧고 섬세한 털을 갖고 있으며, 등 쪽은 보통 적갈색과 회색 그리고 붉은 색이 섞여 있으며 하체는 희다. 귀 아랫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머리 양쪽 모두 독특한 흰 얼룩 반점이 나 있다. 눈과 귀는 머리에 비해 작고, 네 발 모두 아주 길고 구부러진 발톱을 갖고 있다.[5]
아종[편집]
- C. t. antonii Thomas, 1910
- C. t. occidentalis Justo, 1992
- C. t. recessus Thomas, 1912
- C. t. talarum Thomas, 1898
각주[편집]
- ↑ 가 나 “Ctenomys talarum”.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5일에 확인함.
- ↑ Woods, C.A.; Kilpatrick, C.W. (2005). “Infraorder Hystricognathi” [호저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38–160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Cutrera, A. P.; Antinuchi, C. D.; Mora, M. S.; Vassallo, A. I. (2006). “Home-Range and Activity Patterns of the South American Subterranean Rodent Ctenomys Talarum”. 《Journal of Mammalogy》 87 (6): 1183. doi:10.1644/05-MAMM-A-386R1.1.
- ↑ Becerra, F.; Echeverría, A.; Vassallo, A. I. N.; Casinos, A. (2011). “Bite force and jaw biomechanics in the subterranean rodent Talas tuco-tuco (Ctenomys talarum) (Caviomorpha: Octodontidae)”. 《Canadian Journal of Zoology》 89 (4): 334. doi:10.1139/z11-007.
- ↑ Justo, E.R.; 외. (2003). “Ctenomys talarum”. 《Mammalian Species》 730: Number 730: pp 1–5. doi:10.1644/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