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사탕수수쥐
![]() | |
---|---|
큰사탕수수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호저아목 |
과: | 사탕수수쥐과 |
속: | 사탕수수쥐속 |
종: | 큰사탕수수쥐 (T. swinderianus) |
학명 | |
'Thryonomys swinderianus' | |
(Temminck, 1827) | |
큰사탕수수쥐의 분포 | |
![]() 큰사탕수수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큰사탕수수쥐(Thryonomys swinderianus)는 사탕수수쥐과에 속하는 2종의 아프리카 호저아목 설치류의 하나이다.[2][3]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갈대밭과 강둑에서 서식한다. 큰사탕수수쥐는 거의 0.6m까지 자라며, 몸무게는 최대 8.6kg이다. 둥근 귀와 짧은 코 그리고 거칠고 억센 털을 갖고 있다. 앞발은 뒷발보다 작고 3개의 발가락이 있다. 그리고 수컷 한 마리가 이끄는 작은 집단 속에서 생활한다. 야행성 동물이고, 풀 속 또는 굴 아래에 둥지를 만든다. 수명은 4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두려워하면, 꿀꿀거리며 물 속으로 달려간다. 지금까지 보전 상태는 "낮은 위험"이다.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Thryonomys swinderia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13년 9월 8일에 확인함.
- ↑ Matthews, Jaman. "The Value of Grasscutters," World Ark, (January–February, 2008), pp. 23–24.
- ↑ Woods, C.A.; Kilpatrick, C.W. (2005). “Infraorder Hystricognathi” [호저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45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