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술보증기금 (技術保證基金)은 기술 혁신형 기업에 기술 보증 및 기술 평가를 중점지원하여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제고하고 나아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 창출의 일익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된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기술금융 전문지원기관)이다.[1]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33번지(문현금융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설립 근거 [ 편집 ]
1989년 04월 기술신용보증기금 설립
1994년 02월 기술우대보증제도 시행
1997년 03월 대한민국 최초로 기술평가센터 개소
1999년 02월 기술평가보증제도 시행
2002년 04월 벤처투자보증제도 시행
2005년 04월 중앙기술평가원 개원
2005년 09월 부산으로 본점 통합이전
2006년 06월 벤처기업 확인기관 선정
2008년 01월 전 지점을 기술평가센터로 전환
2011년 04월 문현국제금융단지 내 본사 입주
2012년 06월 보증연계투자 업무 법제화
2014년 06월 공공기관 최초 기술신용평가기관(TCB) 선정
2016년 03월 '기술신용보증기금'을 '기술보증기금'으로 명칭을 변경하는 법률이 국회에서 통과됨[3]
주요 업무 [ 편집 ]
기술보증
기술평가
보증연계투자
유동화회사보증(P-CBO)
기업에 대한 기술지도 및 경영지도
구상권 행사
신용보증제도의 조사ㆍ연구
이사장 [ 편집 ]
전무이사 [ 편집 ]
상임이사 [ 편집 ]
소속기관 [ 편집 ]
지역본부 [ 편집 ]
호남지역본부 [ 편집 ]
광주지점
광주지점 제주영업소
익산지점
군산영업소[56]
순천지점
목포지점
전주지점
광주서지점
광주기술융합센터
광주회생관리센터
같이 보기 [ 편집 ]
↑ 기술보증기금, ‘원조 기술금융’ 메카 만든다 《전자신문》2015년 3월 4일 길재식 기자
↑ 제12조(기금의 설립) ① 담보능력이 미약한 기업의 채무를 보증하게 하여 기업에 대한 자금 융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기술신용보증기금을 설립한다.
↑ 〈기보, 법률상 명칭 '기술보증기금'으로 변경〉 , 《아이뉴스24》, 2016년 3월 3일
↑ 서울특별시 서초구 매헌로 16 하이브랜드 11층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63빌딩 41층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63빌딩 41층 서울기술평가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28 동우빌딩5층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6길 111 JNK디지털타워 1801호~ 1807호
↑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35 IT벤처타워 동관 601호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 181 단우빌딩 4층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85 삼일빌딩22층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28 STX-V타워 19층 1906호
↑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송도센트로드 b동 10층
↑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송도센트로드 B동 10층
↑ 경기도 부천시 석천로 345 부천테크노파크 301동 1층 (102호)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283 우림라이온스밸리 A동 303호
↑ 인천광역시 남동구 예술로 152번길 30 기술신용보증기금 1층
↑ 경기도 시흥시 옥구공원로 361 KT&G 안산지사 3층
↑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4로 113 신한프라자 805호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307번길 19 국민연금공단 6층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349 2층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307번길 19 (인계동) 국민연금공단 수원회관 6층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884-3 가온미디어빌딩 6층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 182 건강보험빌딩 2층
↑ 경기도 평택시 평택1로 48 (비전동,비전프라자3층)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시청로 934-4 우리들유통타운 C동 2층
↑ 강원도 원주시 시청로 1 원주시청 2층
↑ 강원도 춘천시 금강로 45 중소기업은행 5층
↑ 강원도 강릉시 경강로 2110 동아빌딩 8층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서로 141 2층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서로 141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로 76 인템프라자 6층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광장로 215 충남경제종합지원센터 802호
↑ 충청북도 충주시 애향로 10 현대자동차 3층
↑ 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540 동양종합금융증권2층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배방로 25 장호빌딩3층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598 S큐브빌딩10층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598 S-큐브빌딩 10층
↑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로 141 그랜드M타워 12층
↑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로 130 한국토지주택공사빌딩 5층
↑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124 중소기업은행3층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369 중소기업은행 3층
↑ 경상북도 경산시 삼풍로 27 경북테크노파크 본부동 1층
↑ 부산 남구 문현금융로 33 기술신용보증기금 7층
↑ 부산시 남구 문현금융로 33 기술신용보증기금 3층 부산지점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271 하나은행2층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925 금정타워 10층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중앙로 336 시우스빌딩3층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 335로 20 하나외환은행 녹산공단지점 3층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용지로 38 중소기업은행 3층
↑ 울산광역시 북구 산업로 915 울산경제진흥원 2층
↑ 경상남도 진주시 대신로 310 중소기업은행 상평지점 4층
↑ 경상남도 김해시 내외중앙로 55 중소기업은행 중앙지점 4층
↑ 경상남도 양산시 중앙로 216 중소기업은행3층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안대로 323 중소기업은행 2층
↑ 전라북도 군산시 대학로 35 교보빌딩 2층
외부 링크 [ 편집 ]
본부 소속
산하 공공기관 소관기관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1급지, 그 외 지방청은 2급지이다.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의 설립·운영권한을 중소벤처기업부가 교육부 로부터 위탁받았다.[1]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정에 근거하여 지방중소기업청에 지방자치단체 등 수출지원기관의 직원이 합동으로 근무하는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를 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