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자유한국당: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012년 2월 16일 (목) 10:45‎ PuzzletChung 버전으로 되돌림.
7번째 줄: 7번째 줄:
|중앙 당사=[[서울특별시|서울]] [[영등포구]]<br /> [[여의도동]] 14-31 한양빌딩
|중앙 당사=[[서울특별시|서울]] [[영등포구]]<br /> [[여의도동]] 14-31 한양빌딩
|이념= [[보수주의]]적 [[자유주의]], [[보수주의]]
|이념= [[보수주의]]적 [[자유주의]], [[보수주의]]
|창당=[[1990년]] [[2월 9일]]<br /><small>([[민주자유당]] 창당)</small> <br />[[1995년]] [[12월 6일]]<br /><small>([[신한국당]] 창당)</small> <br />[[1997년]] [[11월 21일]]<br /><small>(한나라당 창당)</small> <br />[[2012년]] [[2월 13일]]<br /><small>(새누리당으로 개명)</small>
|창당=[[1997년]] [[11월 21일]]<br /><small>(한나라당)</small>
|해산=
|대표=[[박근혜]]<small>(비상대책위원장)</small>
|대표=[[박근혜]]<small>(비상대책위원장)</small>
|최고위원=
|최고위원=
30번째 줄: 31번째 줄:
[[파일:Political parties of south korea.svg|섬네일|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파일:Political parties of south korea.svg|섬네일|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새누리당'''({{lang|en|Saenuri Party}})은 [[1997년]] [[11월 21일]]에 [[신한국당]]과 [[통합민주당 (1995년)|민주당]]이 신설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창당 후 [[2012년]] [[2월 13일]]까지는 '''한나라당'''({{lang|en|Grand National Party}})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발전적 보수와 합리적 개혁을 추구<ref name="정강">[http://www.hannara.or.kr/ohannara/hannara/hannara_02.jsp 한나라당 소개>정강.정책 - 강령]</ref>하였다가, [[이명박 정부]] 이후 '중도실용주의 노선'을 강조한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09051814105967981&outlink=1 닮아가는 與野…'실용주의 전성시대'<!-- 봇이 따온 제목 -->]</ref> 2012년 1월 26일, 비상대책위원회는 14년 2개월된 한나라당의 이름을 개정하기로 했으며, 새누리당으로 합의를 보고, 비상대책위원회, 의원총회,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를 거쳐 당명개정안이 확정되었다.<ref name="새누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10203 새누리, 당명ㆍ정강정책 확정..`박근혜당' 완성]</ref>
'''새누리당'''({{lang|en|Saenuri Party}})은 [[1997년]] [[11월 21일]]에 [[신한국당]]과 [[통합민주당 (1995년)|통합민주당]]이 신설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창당 후 [[2012년]] [[2월 13일]]까지는 '''한나라당'''({{lang|en|Grand National Party}})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발전적 보수와 합리적 개혁을 추구<ref name="정강">[http://www.hannara.or.kr/ohannara/hannara/hannara_02.jsp 한나라당 소개>정강.정책 - 강령]</ref>하였다가, [[이명박 정부]] 이후 '중도실용주의 노선'을 강조한다.<ref>[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09051814105967981&outlink=1 닮아가는 與野…'실용주의 전성시대'<!-- 봇이 따온 제목 -->]</ref> 2012년 1월 26일, 비상대책위원회는 14년 2개월된 한나라당의 이름을 개정하기로 했으며, 새누리당으로 합의를 보고, 비상대책위원회, 의원총회,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를 거쳐 당명개정안이 확정되었다.<ref name="새누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10203 새누리, 당명ㆍ정강정책 확정..`박근혜당' 완성]</ref>


== 역사 ==
== 역사 ==
{{본문|새누리당의 역사}}
{{본문|새누리당의 역사}}
{{참고|대한민국의 보수정당|민주자유당|신한국당}}
{{참고|대한민국의 보수정당|신한국당}}


* [[1997년]] [[11월 21일]] [[신한국당]]과 [[통합민주당 (1995년)|민주당]] 합당하여 '''한나라당''' 출범하였다.
* [[1997년]] [[11월 21일]] 3당합당과 새정치국민회의에 반대한 [[통합민주당 (1995년)|통합민주당]]과 신한국당이 합당하여 '''한나라당''' 창당. (일부는 [[새정치국민회의]] 입당)
* [[1997년]] [[12월 18일]]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 후보 낙선하여 야당이 됨. ([[김영삼 정부]]의 IMF위기와 친인척비리사건이 원인이 되어 당시 자유민주연합과 새천년국민회의의 단일화 후보 김대중에게 390,557표 차이로 패배)
* [[1997년]] [[12월 18일]]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 후보 낙선하여 야당이 됨. ([[김영삼 정부]]의 IMF위기와 친인척비리사건으로 한나라당이 당시 자유민주연합과 새천년국민회의의 단일화 후보 김대중에게 참패)
* [[2002년]] [[12월 19일]]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 후보 두 번째 낙선.
* [[2002년]] [[12월 19일]]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 후보 두 번째 낙선.
* [[2003년]] 한나라당내 개혁파 성향의 당원들이 탈당. ([[열린우리당]]으로 이동)
* [[2003년]] 한나라당내 개혁파 성향의 당원들이 탈당. ([[열린우리당]]으로 이동)
51번째 줄: 52번째 줄:
== 역대 지도부 ==
== 역대 지도부 ==


=== 당 대표 ===
=== 당대표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대수||역대 당대표||직함||임기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
|-
|-
| 1 || [[박근혜]] || 비상대책위원장 || 2012년 2월 13일 -
| 1 || [[조순]] || 총재 || 1997년 11월 21일 - 1998년 8월 5일
|-
| (임시) || [[이기택]] || 총재권한대행 || 1998년 8월 5일 - 1998년 8월 31일
|-
| 2 || [[이회창]] || 총재 || 1998년 8월 31일 - 2000년 5월 23일
|-
| (임시) || [[강창성]] || 총재권한대행 || 2000년 5월 23일 - 2000년 5월 31일
|-
| 3 || 이회창 || 총재 || 2000년 5월 31일 - 2002년 4월 2일
|-
| (임시) || [[박관용]] || 총재권한대행 || 2002년 4월 2일 - 2002년 5월 14일
|-
| 4 || [[서청원]] || 대표최고위원 || 2002년 5월 14일 - 2003년 1월 30일
|-
| (임시) || [[박희태]] || 대표권한대행 || 2003년 1월 30일 - 2003년 5월 13일
|-
| 5 || 박희태 || 대표 || 2003년 5월 13일 - 2003년 6월 26일
|-
| 6 || [[최병렬 (1938년)|최병렬]] || 대표 || 2003년 6월 26일 - 2004년 3월 23일
|-
| 7 || [[박근혜]] || 대표 || 2004년 3월 23일 - 2004년 7월 5일
|-
| (임시) || [[김덕룡]] || 대표권한대행|| 2004년 7월 5일 - 2004년 7월 19일
|-
| 8 || [[박근혜]] || 대표최고위원 || 2004년 7월 19일 - 2006년 6월 16일
|-
| 9 || [[김영선 (1960년)|김영선]] || 대표최고위원 || 2006년 6월 16일 - 2006년 7월 11일
|-
| 10 || [[강재섭]] || 대표최고위원 || 2006년 7월 11일 - 2008년 7월 3일
|-
| 11 || [[박희태]] || 대표최고위원 || 2008년 7월 3일 - 2009년 9월 7일
|-
| 12 || [[정몽준]] || 대표최고위원 || 2009년 9월 7일 - 2010년 6월 3일
|-
| (임시) || [[김무성]] || 비상대책위원장 || 2010년 6월 4일 - 2010년 7월 14일
|-
| 13 || [[안상수 (1946년 2월)|안상수]] || 대표최고위원 || 2010년 7월 14일 - 2011년 5월 8일
|-
| (임시) || [[황우여]] || 대표권한대행 || 2011년 5월 9일 - 2011년 7월 4일
|-
| 14 || [[홍준표 (1954년)|홍준표]]|| 대표최고위원|| 2011년 7월 4일 - 2011년 12월 9일
|-
| (임시) || [[박근혜]] || 비상대책위원장 || 2011년 12월 19일 - 2012년 2월 13일
|-
|-
|}
|}
66번째 줄: 109번째 줄:
|-
|-
!대수||역대 원내대표||임기
!대수||역대 원내대표||임기
|-
| || [[홍사덕]] ||
|-
| || [[김덕룡]] ||
|-
| || [[강재섭]] ||
|-
| || [[이재오]] ||
|-
| || [[김형오]] ||
|-
| || [[안상수 (1946년 2월)|안상수]] ||
|-
| || [[홍준표 (1954년)|홍준표]] ||
|-
| || [[안상수 (1946년 2월)|안상수]] ||
|-
| || [[김무성]] ||
|-
|-
| || [[황우여]] ||
| || [[황우여]] ||
|}
|}

=== 최고위원 ===
한나라당은 집단 지도체제의 성격을 가진 지도체제를 가지고 있다. 2008년 7월 3일 한나라당 전당대회를 통해 대표최고위원으로 [[박희태]], 최고위원으로 [[정몽준]]·[[허태열]]·[[공성진]]·[[박순자]] 의원이 선출되었으며 임명직 최고위원으로 [[송광호]] 의원, [[박재순]]을 최고위원으로 임명했다. 박희태 대표는 2009년 10.28 재보선 출마를 위해 9월 사퇴했고 전당대회에서 2위로 표를 득표한 [[정몽준]] 최고위원이 대표직을 승계하게 되었다.

2010년 지방선거가 한나라당의 패배로 끝나자 정몽준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 전원이 6월 3일 사퇴했다.

이후 2010년 7월 14일 제11차 전당대회를 통해 대표최고위원으로 [[안상수]], 최고위원으로 [[홍준표 (1954년)|홍준표]]·[[나경원]]·[[정두언]]·[[서병수]] 의원이 선출되었으나
2011년 4.27 재보궐 선거가 한나라당 패배로 끝나면서 대표최고위원을 비롯한 최고위원 전원이 2011년 5월 8일 총사퇴하였고 약 2개월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한나라당이 운영되었다.

이후, 2011년 7월 4일 제12차 전당대회를 통해 대표최고위원으로 전직 지도부 중 1명인 [[홍준표 (1954년)|홍준표]] 의원을 선출하였고 최고위원으로 [[유승민]]·[[나경원]]·[[원희룡]]·[[남경필]] 의원이 선출되었다.
최고위원 당선자 4명 중 [[나경원]]·[[원희룡]] 의원 역시 전직 지도부 중 1명이다.

=== 의원 총회 ===

한나라당 의원 총회는 한나라당의 원내단체로 두 개의 산하 위원회를 두고 있다. 원내대책위원회는 원내대표가 책임을 맡고 있으며 현재 [[황우여]]의원이다. 정책위원회는 당 강령 및 전국규모 선거의 정책공약 등 주요정책을 수립한다. 2011년 현재 [[이주영]]의원이 정책위의장을 맡고 있다.

=== 사무처 ===

최고위원회의의 하부 기구로 사무처는 당무집행기구, 원내대책위원회 및 정책위원회의 지원의 업무를 수행한다. 사무총장이 관할하는 중앙사무처는 당의 조직관리, 재정, 행정지원, 인사를 총괄하며, 시,도당 사무처를 관장한다. 현재 [[원희룡]]의원이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사무처에는 대표최고위원이 통솔하는 [[전략기획본부]]가 있어 주요정치현안 및 전략을 관장한다. [[홍보기획본부]]는 당의 이념과 정강, 정책 및 당 활동 등의 홍보를 관장한다.

중앙당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4-31번지 한양빌딩에 있다.

== 주요 계파 ==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 한나라당은 크게 이명박계(친이계), 박근혜계(친박계)로 나뉘기도 하였다. 공천파동으로 일부 친박계는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친박연대]](현 미래희망연대)를 구성하기도 했다. 최근 [[이명박 정부]]말기에 들어서는 親(친)박근혜계, 反(반)박근혜계,非(비)박근혜계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고 한다.

== 주요 활동 ==
* [[4대 개혁 입법|열린우리당 4대 입법]] 반대
* [[미디어법]]
* [[세종시]] 특별법
* [[4대강 정비 사업]]

== 기타 ==
=== 야당 시절 ===
한나라당은 [[문민정부]] 이후 계속된 [[이회창]] 후보의 낙선으로 야당으로 전락하였으며, [[최병렬 (1938년)|최병렬]] 대표가 [[2003년]] 6·26 전당대회에서 원내 과반 야당인 한나라당 ‘포스트 이회창’의 첫 대표로 선출돼 전성기를 맞았으나 '차떼기'논란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탄핵 역풍]]을 이겨내지 못하고 퇴임했다. 한나라당이 궤멸위기에 처했으나 신임 [[박근혜]] 대표의 활약으로 121석을 확보해 한나라당이 다시 거대당의 영향력을 회복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 mid=sec&sid1=001&oid=022&aid=0000071934&]</ref> 박근혜 대표는 16대 대선 이후 불거진 이회창 후보 진영의 800억원대 차떼기 오명을 씻기 위해 천막당사를 세우고 당을 일대 쇄신하는 ‘청소부’ 역할을 맡았다.<ref>[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82934 '글로벌 석간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봇이 따온 제목 -->]</ref>[[2005년]] [[7월 28일]] 불법대선자금과 관련해서 당이 공식적으로 천안연수원을 국가에 헌납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 mid=tv&oid=055&aid=0000050358 한나라당, 천안 연수원 국가 헌납]</ref>이후 [[참여정부]]의 4대 법안을 반대하는 대표적인 보수야당의 역할을 하였고,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제안한 [[대연정]]에 거부했다. 2003년 11월 30일 [[최병렬 (1938년)|최병렬]] 대표는 '신행정수도 이전' 통과를 약속했고 당론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박근혜 대표는 [[2004년]] 6월 지자체 재보선 승리 뒤, 충청권의원의 반발하는 가운데 [[행정수도 이전]]에 반대하는데 당론으로 뒤집고, 여당이 강력반발했지만 [[세종시]]로 합의했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9326 운명의 이력서 : Save Internet 뉴데일리<!-- 봇이 따온 제목 -->]</ref>

=== 좌파 전향 ===
한나라당에는 [[김문수]], [[이재오]], [[차명진]] 등 좌파 운동권 정당인 [[민중당]] 출신 인사와 [[평등파]] [[신지호 (정치인)|신지호]] 의원 등이 있다.

=== 친이, 친박계 갈등 ===
한나라당 경선중 박근혜측에서 [[BBK]]의혹을 제기하면서부터 친이진영과 친박진영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박근혜측은 결과에 승복해 갈등은 사라지는 듯하다가, 본격적으로 갈등이 심화되어 집단탈당사태가 일어난건 공천파동에서였다. 이후 [[친박연대]]가 창당되면서 [[미디어법]] 등 몇 가지 정책들에서 친이계와 친박계의 미묘한 의견 차이는 있어왔으나, 2010년 1월 이 대통령이 세종시 사수안을 번복하고 제안한 [[세종시]] 수정안 방침에 대해 친박연대를 비롯한 한나라당의 주요 친박계 의원들이 반발하면서 그 갈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박근혜는 원안 추진을 재차 강조하고 있어 화합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심지어 분당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 = 한나라, '두나라 분당' 수순 밟나|url =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10012214390937074&linkid=20&newssetid=455&from=rank|출판사 = 프론티어타임스|저자 = 이민기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1-22|확인일자 = 2010-01-22}}</ref> 이전에 [[홍준표 (1954년)|홍준표]]는 박근혜의 세종시 원안 추진론 발언에 대해 '탈당' 이야기까지 나온 상황이며,<ref>{{뉴스 인용|제목 = 홍준표, 박근혜 겨냥 "탈당하고 당 만들어야"|url = http://www.vop.co.kr/A00000279111.html|출판사 = 민중의소리|저자 = 김동현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1-19|확인일자 = 2010-01-22}}</ref> [[정몽준]]이 당론을 변경해야 한다는 말에 박근혜가 "국민의 신뢰를 잃은 것에 대해 책임지실 문제"라며 정몽준 책임론을 들고나왔으며, [[정운찬]]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고위직 관계자들까지 박근혜를 압박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 = 박근혜, “당론 바꿔 신뢰 잃은 건 鄭대표 책임”|url = http://www.fnn.co.kr/content.asp?aid=145fe9da923c412ebdce72d40e74aeba|출판사 = 포커스신문|저자 = 박영순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1-19|확인일자 = 2010-01-22}}</ref><ref>{{뉴스 인용|제목 = 박근혜 비판 자제하던 정운찬 “공격 앞으로”|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058456|출판사 = 중앙일보|저자 = 정효식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2-05|확인일자 = 2010-02-05}}</ref> 이러한 갈등 속에서 야당들이 추진했던 정운찬 총리 해임안을 여당 내 친박계 의원들이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자 친이계 의원들은 "총리 해임안에 찬성하는 것은 분당하자는 것" 이라며 계파간의 대립이 극화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정운찬, 박근혜 공격 파장‥총리 인책론 확산|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132656|출판사 = MBC|저자 = 김수진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2-05|확인일자 = 2010-02-05}}</ref>
[[6월 29일]] [[세종시]]와 관련해서 친박계 의원들을 비롯하여 야당의원들이 반대하는 가운데 수정안이 부결되었다. 이 때문에 친이, 친박간의 갈등이 당분간 해소되기 어렵다는 관측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2010년]] [[8월]],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가 전격 회동하면서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양측은 우호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다가
2011년 들어서면서 친이명박계가 급속히 몰락하면서 당 중심이 친박근혜계로 이동하였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주요 선거 기록 ==

=== 역대 대선 결과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00%; text-align: center;"
|-
!대수||후보자||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 [[199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15대]] || [[이회창]]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9}} 38.7% || 9,935,718표 || 2위 ||낙선
|-
| [[200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16대]] || [[이회창]]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4|7}} 46.6% || 11,443,297표 || 2위 ||낙선
|-
||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17대]] || [[이명박]]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4|9}} 48.7% || 11,492,389표 || 1위 || 당선
|}

=== 역대 총선 결과 ===

{| class="prettytable" style="font-size: 100%; text-align: center;"
!실시년도||선거||국회정원||당선자 현황<br />(지역구/전국구)||득표율
|-
| [[2000년]] || [[대한민국 제16대 총선|16대 총선]] || 273(227/46) || 133 (112/21)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9}} 39.0%
|-
| [[2004년]] || [[대한민국 제17대 총선|17대 총선]] || 299(243/56) || 121(100/21)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6}} 35.7%
|-
| [[2008년]] || [[대한민국 제18대 총선|18대 총선]] || 299(245/54) || 153(131/22)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8}} 37.5%
|}

=== 역대 지방선거 결과 ===

{| class="prettytable" style="font-size: 100%; text-align: center;"
!rowspan=2|실시년도||rowspan=2|선거||colspan=2|광역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colspan=2|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
|| [[1998년]] ||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2회]] || '''6'''/16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8}} 37.5% || '''74'''/232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2}} 31.9%
|-
| [[2002년]] ||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3회]] || '''11'''/16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6|9}} 68.8% || '''140'''/232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6|0}} 60.3%
|-
| [[2006년]]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4회]] || '''12'''/16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7|5}} 75.0% || '''155'''/230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6|7}} 67.4%
|-
| [[2010년]]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5회]] || '''6'''/16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8}} 37.5% || '''82'''/228 ||style="text-align: left;"| {{막대|한|3|6}} 36.0%
|}

== 비판과 논란 ==

* '''이념·정체성 논란''' : 중도실용주의가 포퓰리즘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ref>[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404630 중도실용주의 포퓰리즘 변질 경계해야][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51766 한나라당의 진짜 대선 징크스]</ref> 한나라당은 무상급식을 야당의 포퓰리즘적 정책이라며 비난해 왔으나 2010년 6월 2일에 치러질 지방선거를 앞두고 무상급식 확대 방침을 밝혀 포퓰리즘 논란이 일고 있다. 2010년부터 서울시를 중심으로 제기된 [[서울시의 무상급식 정책 논란|무상급식 논란]]에 대해서 한나라당은 오세훈이 추진하는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를 공식 지원하기로 하였으나<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200282 한나라, 무상급식 주민투표 독려운동 본격화] 한나라당 2011년 8월</ref> 2011년 8월 0세 무상보육 정책을 들고 나오면서 민주당의 복지정책과 무상급식에는 반대하면서 다른 무상정책은 추진하는 정책적 모순점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ref>[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view.html?cateid=1020&newsid=20110808103625387&p=ned 무상보육 한다면서 무상급식은 왜 반대?” 딜레마 빠진 한나라당] 헤럴드경제 2011년 8월</ref><ref>{{웹 인용 |url=http://news.joins.com/article/430/4109430.html?ctg=20 |제목= 〈사설〉돈이 하늘에서 떨어지나 … 한심한 선거판 선심 경쟁 (중앙)|확인일자=2010-04-20 |형식= |작품명= }}</ref>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3조원이 필요한 4세까지의 영유아 보육에 대한 무상보육은 세금폭탄이 아니고, 서울시에서 부담해야하는 700억원의 초중학교 무상급식 비용은 세금폭탄으로 돌아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733 한나라 ‘무상보육’, 아기들 밥은 돈 내고 먹어라?] 미디어오늘 2011년 8월</ref> 또한 민주당이 내놓은 [[반값 등록금]] 정책에 대해서 그동안 반대해왔던 한나라당은 황우여가 원내대표에 당선된 이후로 긍정적인 쪽으로 급격히 정책을 선회한것도 보수주의자들의 비판의 대상이 되고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3&aid=0000014501 보수층 절반 이상 한나라당에 등 돌렸다] 조선일보 2011년 7월</ref> [[2009년]] [[7월 21일]]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한나라당의 [[대한민국 미디어 관련법 개정 논란|미디어법 수정안 내용]]과 관련, “한나라당은 정책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ref>{{뉴스 인용 |제목 = 이회창 한나라당 정체성 분명히 해야 |url =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09/07/21/0502000000AKR20090721051900001.HTML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고일환 기자 |쪽 = |작성일자 = 2009-07-21 |확인일자 = 2009-07-24}}</ref> 또한 친이명박계가 [[좌파]] 출신 운동권 중심이고, 대북정책이 좌파적이라는 [[보수주의자]]들의 비판이 있다. <ref>[http://www.cbs.co.kr/Nocut/Show.asp?IDX=574377 한나라당의 反 헌법 · 좌파적 新 대북정책 폐기하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503788 한나라당은 신 대북정책 폐지하라]</Ref>

* '''뇌물 수수''' :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16대 대선]] 당시 [[이회창]] 후보가 150여억 원가량의 정치자금을 트럭째 받은 것을 비롯, 총 823억 원의 불법대선자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그 때문에 한나라당에는 '차떼기정당'이라는 명칭이 씌워졌다. 2006년 지방선거에는 공천 후보들을 대상으로 한 공천헌금 파문으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11020189 donga.com[뉴스&#93;-昌측 823억-盧측 120억 불법모금… ‘차떼기’ 떠들썩<!-- 봇이 따온 제목 -->]</ref> [[2004년]] [[2월 4일]] [[최병렬 (1938년)|최병렬]] 한나라당 대표는 "불법대선자금에 대해서는 한나라당 당사와 천안 연수원 등 당의 재산을 팔아서 국민여러분께 돌려드리겠습니다."라며 사과했다. [[2004년]] 10월 26일에는 국무총리였던 [[이해찬]]이 국회에서 "한나라당은 차떼기당"이라는 발언을 해 국회 파행이 빚어지기도 하였다.<ref>[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101&num=83009 시사1번지 폴리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10년 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 공천을 둘러싼 시비는 끊이지 않고 있다. <ref>{{뉴스 인용|제목 = 검찰, 거제 '돈공천 의혹' 관련자 계좌추적
|url =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0/05/25/0505000000AKR20100525031100052.HTML?template=2088|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임형섭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5-25|확인일자 = 2010-05-26}}</ref>

* '''여론조작 당원 공천''' : [[2010년]] 2월 [[울산매일신문]]과 추진했던 울산지역에 대한 여론조사 과정에서 뇌물을 수수하며 한나라당에 유리하도록 여론조사를 조작하다 적발되었으며 그중 한나라당과 관계된 사람은 9명으로 이들은 모두 현역 단체장으로서 [[2010년]] 6월 지방선거에도 출마할 예정이었다.<ref name=autogenerated1>{{뉴스 인용|제목 = MJ의 울산, '한나라 여론조사 조작' 파문에 휘청|url =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100309165232133e4&newssetid=1352|출판사 = 뷰스앤뉴스|저자 = 김동현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3-09|확인일자 = 2010-04-20}}</ref> 이전에 [[이명박]]은 지방선거에서 부정부패를 척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비리 사실이 폭로된 단체장들을 공천해서 더욱 강한 비판들이 제기되었고,<ref>{{뉴스 인용|제목 = 한나라당, 금품여론조작 후보 공천 '비난 후폭풍'|출판사 =울산CBS|저자 =조선영 기자|작성일자 = 2010-04-20|확인일자 = 2010-04-21 |url = http://news.msn.co.kr/article/read.html?cate_code=1200&article_id=201004211027131006}}</ref> 민주당은 '울산 전지역 공천을 포기하라'고 공세를 펼쳤다.<ref name=autogenerated1 />

* '''댓글 알바 논란''' : 2007년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한나라당 경선에서 대학생을 고용해 특정 후보에 유리한 댓글을 작성하도록 한 한나라당 당원<ref>{{뉴스 인용|제목 = '알바' 고용 조직적 댓글 與당원 법정구속|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1976595|출판사 = 머니투데이|저자 = 정영일 기자|쪽 = |작성일자 = 2008-04-27|확인일자 = 2009-12-30}}</ref>이 실형을 선고받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대학생 고용해 대량 댓글 선거운동원 실형 |url = http://world.kbs.co.kr/korean/news/news_Po_detail.htm?No=94696&font_size=13&id=Po |출판사 = KBS |작성일자 = 2008-04-28 |확인일자 = 2009-09-16}}</ref>

: 한나라당 측에서 [[댓글 알바]]를 고용해 여론을 유리한 쪽으로 조작하려 한다는 비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이석현]] 의원은 "아고라의 일부 IP를 조사해 보니 한나라당이 위촉한 국민소통위원이었다."라고 주장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이석현, "아고라에 여당 '알바' 침투"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2&aid=0000237953& |출판사 = YTN |작성일자 = 2009-02-12 |확인일자 = 2009-09-16}}</ref><ref>{{뉴스 인용|제목 = 이석현 "한나라, 아고라에 수백명의 '알바' 투입"|url =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46462|출판사 = 뷰스앤뉴스|저자 = 이준기 기자|쪽 = |작성일자 = 2009-02-11|확인일자 = 2009-12-28}}</ref> 이들은 아고라에서 욕설댓글을 집단적으로 작성하여 여론을 조작하려 한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정부여당 토론의 꽃밭에 재 뿌리고 있다”|url = 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97690&section=sc1|출판사 = 브레이크뉴스|저자 = 손주영 기자|쪽 = |작성일자 = 2009-03-04|확인일자 = 2009-12-31}}</ref>한나라당과 국민소통위는 "돈을 받고 고용된 것이 아니고 자발적으로 활동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알바라고 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정두언 "돈 안 받는 알바가 어딨나"|url =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41002|출판사 = 데일리안|저자 = 김현 기자|쪽 = |작성일자 = 2009-01-06|확인일자 = 2009-12-31}}</ref><ref>[http://newsiswire.co.kr/news/read.php?camera=1&db=news2007&code1=30201&uid=10553 국민소통위 '알바'관련 성명서 보도자료] </ref>

* '''판결 불복, 교원단체명단 공개''' : [[2010년]] 4월, 법원이 '교원단체의 명단을 공개하지 말 것'이라고 판결했지만, [[조전혁]]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교총]], [[전교조]], [[자유교원노조]]의 명단을 공개하자 전교조가 반발하여 논란이 일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233103 전교조 명단공개 놓고 교육계 안팎서 논쟁 확산] 연합뉴스 2010-04-20</ref> 법원은 조전혁의 불법 명단 공개에 대해 '전교조에 하루당 3천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하였다. 하지만 한나라당 소속 의원 수십명은 법원의 판결에 집단적으로 반발하며 [[정두언]], [[정태근]], [[김용갑]], [[진수희]], [[차명진]] 등 10여 명의 한나라당 의원들도 교원단체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정치권, 전교조 명단공개 '후폭풍'|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77&aid=0002367556|출판사 = 아시아경제|저자 = 지연진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5-01|확인일자 = 2010-05-01}}</ref> 이는 입법부가 사법부의 권한을 정면으로 불복하는 것이며, 삼권 분립의 헌법정신에도 어긋나는 행위지만,<ref>{{뉴스 인용|제목 = 3권분립 흔드는 ‘판결 불복’ 선거쟁점 부상|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063242|출판사 = 경향신문|저자 = 이인숙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3-30|확인일자 = 2010-05-03}}</ref>국민의 알권리 보장이라는 공익적 측면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ref>[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202081&sc=naver&kind=menu_code&keys=3 전교조, 존경받길 원하면 알권리부터 지켜라]데일리안 2010-05-03</ref> 민주당 [[정세균]]의원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제 정신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조 의원이 법에 없는 짓을 해서 법원이 '잘못됐다. 중단하라'고 명령했는데 거기에 정면대응해 법원과 맞짱을 뜨고 있다. 여당이길 포기했을 뿐 아니라 국회의원이기까지 포기한 것 아니냐"라고 비판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전교조 명단공개' 여야 확전 … 지방선거 쟁점화 조짐|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2&aid=0000253872|출판사 = 부산일보|저자 = 박석호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5-01|확인일자 = 2010-05-01}}</ref><ref>{{뉴스 인용|제목 = 한나라당 법원 비판 도넘었다|url = http://news.nate.com/view/20100429n00053|출판사 = 세계일보|저자 = |쪽 = |작성일자 = 2010-04-29|확인일자 = 2010-05-01}}</ref> 또한 [[중앙일보]]도 사설에서 "'조폭 판결' '판사의 무모한 도발에 대한 결연한 대응' 운운하며 법원 판결에 집단 불복하는 건 결코 바람직한 행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조 의원은 승복하고, 전교조는 명단 자진공개를|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5&aid=0002073470|출판사 = 중앙일보|저자 = |쪽 = |작성일자 = 2010-05-01|확인일자 = 2010-05-01}}</ref> 반면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명단 공개를 금지한 법원에 문제가 있다" 며 학부모들은 자식들이 어떤 교사에게 가르침을 받는지 알아야 한다"고 논평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28/2010042802587.html 시민 배심원이라면 전교조 명단 공개 금지했을까]조선일보 </ref>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는 "전교조가 비밀결사조직체도 아닌 법적 단체이고 그 자체가 공개된 노동조합인데 조합원의 명단 공개가 왜 불법인가"라면서도, "법원의 결정이 잘못되고 못마땅해도 법으로 대응해야지 실력으로 대응하는 것은 국회의원들이 할 일이 아니다"라며 양측 모두에 잘못이 있다고 주장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257240 이회창 "전교조 명단공개 금지, 잘못"]연합뉴스 2010-05-03</ref>이렇게 한나라당과 사법부의 갈등이 극화되자 [[김형오]] 국회의장은 "사법부의 판단은 일단 존중하는 것이 입법부의 도리"라며 명단 공개에 동참한 의원들 모두에게 명단을 내리도록 간곡히 요청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김형오 "의원들, 전교조 명단 모두 내려달라"|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258238|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쪽 = |작성일자 = 2010-05-03|확인일자 = 2010-05-03}}</ref> 한편 리얼미터가 실시한 교원단체 명단공개에 대한 여론조사는 찬성이 46%, 반대 34%로 나타났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5/02/2010050200551.html 전교조 명단공개…찬성 46% vs 반대 34%]조선일보 2010-05-02</ref>[[선관위]]는 전교조 명단 공개로 하루 삼천만원씩의 이행강제금 결정을 받은 한나라당 조전혁과 관련, "후원금 및 모금으로 이행금을 납부할 수 없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답변서에서 "법원결정을 이행하지 않아 납부하는 국회의원의 이행강제금을 후원금 등으로 내는 것은 정치자금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전혁은 지난 4일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이행강제금의 한계'를 언급하며 명단을 공개한 나흘째, 명단 공개를 철회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00508_0005132923&cID=10301&pID=10300 선관위 "조전혁 이행강제금, 후원금·모금 납부 안 돼"]</ref>

* '''미국소 수입과 촛불집회에 대한 태도 변화''' : [[2008년 촛불집회]] 당시 한나라당은 국민의 민심을 수용한다며 반성한다던 모습들과 달리 2010년에는 태도를 바꿔 대국민 사기극으로 규정하였다. 이에대한 언론들과 누리꾼들의 비판이 거세게 일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촛불민심 수용” “국정 쇄신” 외쳤던 한나라 …|ur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5121813495&code=910402|출판사 = 경향신문|저자 = 김광호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5-13|확인일자 = 2010-05-13}}</ref> 미디어오늘은 "한나라당이 역풍을 자초하였다"고 보도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청와대-조선일보 '촛불 반성', 역풍 자초|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6&aid=0000044907|출판사 = 미디어오늘|저자 = 김상만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5-13|확인일자 = 2010-05-13}}</ref> [[노영민]] 민주당 대변인은 "당시 대통령이 사과하고 정부가 재협정의 가능성을 열어놓음으로써 정부 또한 촛불시위의 정당성을 인정해놓고 이제 와서 딴소리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비판했다.<ref>{{뉴스 인용|제목 = “2년 전엔 사과하더니” MB ‘촛불 반성’ 발언 파문 확산|url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pol&arcid=0003696613&code=41111111|출판사 = 쿠키뉴스|저자 = 조현우 기자|쪽 = |작성일자 = 2010-05-11|확인일자 = 2010-05-13}}</ref>

:[[2007년]] [[8월 3일]], 한나라당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표하였다.

{{인용문|미국산 수입 쇠고기 검역과정에서 광우병 특정 위험물질인 SRM 등 뼈조각이 검출된것은 한국시장을 가볍게 보는 미국업계의 안일함과 우리 당국의 무성의가 빚어낸 결과이다. 아무리 한미FTA가 중요하다고 해도 국민들의 생명이 걸려있는 문제를 볼모로 해서 무작정 한미FTA를 체결할 수는 없는 일이다. 농림부는 더 이상 국민을 불안하게 하지 말고 문제가 있으면 미국에 시정요구를 하고 필요하면 검역중단 등의 미온적인 조치가 아닌 금수 조치를 바로 내리는 등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ref>{{뉴스 인용|제목 = 미국산 수입 쇠고기, 금수조치 내려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조치 취해야|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23&oid=156&aid=0000002888|출판사 = 한나라당 인터넷뉴스팀|저자 = 한나라당|쪽 = |작성일자 = 2007-08-03|확인일자 = 2010-05-14}}</ref>}}

:한나라당의 당시 발표한 이 글은 2010년의 입장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한나라당의 모순된 언행을 한눈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종 언론들에 인용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 = 조중동, 정권 바뀌니 '광우병'이 안전해졌나?|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47&aid=0001941286|출판사 = 오마이뉴스|저자 = |쪽 = |작성일자 = 2008-05-02|확인일자 = 2010-05-14}}</ref><ref>{{뉴스 인용|제목 = "전 국민을 '좀비'로 만들 작정인가?"|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1940440|출판사 = 프레시안|저자 = 진중권|쪽 = |작성일자 = 2008-05-02|확인일자 = 2010-05-14}}</ref>

:그러나 일부 보수 언론들과 보수 단체들은 "당시 한나라당의 입장은 쇠고기 협상 과정에서의 미숙함에 대해 사과를 한 것일 뿐 당시의 광우병괴담 등 각종 과장 및 허위 사실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부분을 지적한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라고 주장한다.<ref>{{뉴스 인용|제목 = 진수희 “2년 전 '촛불'은 광란, 진실에 대한 테러” |url =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471280|출판사 = 노컷뉴스|저자 = 노컷뉴스|쪽 = |작성일자 = 2010-05-13|확인일자 = 2010-05-13}}</ref><ref>[http://www.ajnews.co.kr/uhtml/read.jsp?idxno=201005240849195240692 (쇠고기 2년의 명과 암) 난무하던 광우병 괴담...‘실체 없었다’] </ref>

* '''성추행 논란''' : 2006년 12월 17일 한나라당 충남 당진군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서울특별시 강남에서 강간미수 혐의로 구속되었다.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81&aid=0000114714 성폭행 미수 한나라당 간부 구속]</ref> 사건 직후 한나라당에서‘원외 위원장의 강간 미수에 대해 사과 논평 않겠다' 는 발언이 나와 논란이 일었다.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0&aid=0000009882 한나라당, ‘원외위원장 강간 미수에 대해 사과 논평 않겠다’] </ref> 한나라당 소속의 의원들은 성희롱이나 성추행을 한 경우도 있었다. 대표적인 사건으로 [[2007년]] 1월,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중앙일간지의 원색적인 연재소설 주인공인 '조철봉'을 언급하며 "조철봉이 요즘 왜 안 해? 하루에 세 번 하더니 한 번은 해 줘야지. 너무 안 하면 철봉이 아니라 낙지야 낙지"라고 한 발언도 논란이 된 바 있으며,<ref>[http://news.joins.com/article/771/4325771.html 강용석 파문, `性나라당` 오명 벗으려면] 중앙일보 2010년 7월 20일</ref> [[최연희]]의 여기자 성추행 사건, [[이명박]]의 '마사지걸' 발언, [[박계동]]의 술집 여종업원 성추행,<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732 선일보가 전한 강용석 '성희롱 의혹' 실체] 미디어오늘 2010년 7월 21일</ref>[[2010년]] 7월에는 대학생들과의 뒤풀이 모임에서 벌어진 [[강용석]]의 성희롱 발언 등 성추행 파문이 끊이지 않았다. 이 사건들은 개인 의원들의 실수이지만, 한나라당에서 이러한 사건이 자꾸 터지면서 '성나라당', '성희롱당'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언급되며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ref>[http://www.vop.co.kr/A00000307400.html MB '마사지걸' 발언부터 강용석 "너만 쳐다보더라"..."역시 성나라당"] 민중의 소리 2010년 7월 20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32&aid=0002075280 한나라당을 괜히 ‘성희롱 정당’이라 하겠는가] 경향신문 2010년 7월 20일</ref>

* '''날치기 논란''' : 한나라당은 [[대한민국 제18대 총선|2008년 총선]] 이후로 원내 과반석을 차지했다. 원내 과반수의 찬성이 있으면 통과될 수 있는 법안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한나라당은 이를 이용해 각종 법안들을 야당과 협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처리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날치기는 주로 새해 예산안 처리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예산안의 날치기 처리는 정상적인 검토, 심사가 되지 않기 때문에 부실 예산안이라는 비판도 뒤따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162713 국회 예산안 심사, 3년째 부실 졸속 처리] mbc 2010년 12월 8일</ref> 새해 예산안은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로 3년 연속 한나라당이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민주당과의 합의 없이 통과되었고 [[미디어법]] 관련 법안과, 4대강 관련 예산안 등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되었다. 이에 대해 민주당과 일부 언론들은 한나라당이 날치기로 처리했다고 비판한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7212252595&code=990101 미디어법 날치기 1년, 재입법이 근본처방이다] 경향신문 2010년 7월 21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2247209 민주 "'4대강예산' 날치기처리, 원천무효"] 머니투데이 2009년 12월 8일</ref> 2011년 예산안은 [[박희태]] 국회의장이 [[질서유지권]]을 발동하여 국회 경호원들의 호위 속에 처리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098361 박희태 국회의장, 국회 질서유지권 발동] 경향신문 2010년 12월 8일</ref> 날치기는 물리적 충돌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민들이 국회 전반에 대해 불신을 갖게하는 계기라는 지적도 제기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5&aid=0000194695 예산안 여당 단독처리…날치기 통과에 '몸싸움'] sbs 2010년 12월 9일</ref> 결국 예산안 처리에서 한나라당이 약속했던 것과 다르게 처리된것이 있었으며 이에 대해 [[고흥길]] 정책위의장이 사퇴하고, 한나라당이 사과하기도 했다.<Ref>[http://news.nate.com/view/20101213n02298 사과, 사과, 사퇴…' 고개숙인 한나라당] 노컷뉴스 2010년 12월 13일</ref>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고, 12월 28일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야당들은 집회를 갖고 날치기 7적을 규정하며 사퇴를 요구했다.<ref>[http://news.nate.com/view/20101229n00773 서민예산 몽땅 도둑질...날치기 7적 물러나라] 오마이뉴스 2010년 12월 29일</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91번째 줄: 270번째 줄:
{{대한민국의 정당}}
{{대한민국의 정당}}


[[분류:새누리당]]
[[분류:한나라당| ]]
[[분류:2012년 설립]]
[[분류:1997년 설립]]


[[de:Hannara Dang]]
[[de:Hannara Dang]]

2012년 2월 16일 (목) 18:46 판

새누리당
이념 보수주의자유주의, 보수주의
당원(2010) 2,090,976명
293,470명(당비 납부)
국가 재정지원
(2010)
28,980백만 원
당직자
대표 박근혜(비상대책위원장)
원내대표 황우여
역사
창당 1997년 11월 21일
(한나라당)
내부 조직
중앙당사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14-31 한양빌딩
의석
의회
174 / 295
2009년 한나라당 당시의 중앙당사 모습
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새누리당(Saenuri Party)은 1997년 11월 21일신한국당통합민주당이 신설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창당 후 2012년 2월 13일까지는 한나라당(Grand National Party)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발전적 보수와 합리적 개혁을 추구[1]하였다가, 이명박 정부 이후 '중도실용주의 노선'을 강조한다.[2] 2012년 1월 26일, 비상대책위원회는 14년 2개월된 한나라당의 이름을 개정하기로 했으며, 새누리당으로 합의를 보고, 비상대책위원회, 의원총회,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를 거쳐 당명개정안이 확정되었다.[3]

역사

역대 지도부

당대표

대수 역대 대표 직함 임기
1 조순 총재 1997년 11월 21일 - 1998년 8월 5일
(임시) 이기택 총재권한대행 1998년 8월 5일 - 1998년 8월 31일
2 이회창 총재 1998년 8월 31일 - 2000년 5월 23일
(임시) 강창성 총재권한대행 2000년 5월 23일 - 2000년 5월 31일
3 이회창 총재 2000년 5월 31일 - 2002년 4월 2일
(임시) 박관용 총재권한대행 2002년 4월 2일 - 2002년 5월 14일
4 서청원 대표최고위원 2002년 5월 14일 - 2003년 1월 30일
(임시) 박희태 대표권한대행 2003년 1월 30일 - 2003년 5월 13일
5 박희태 대표 2003년 5월 13일 - 2003년 6월 26일
6 최병렬 대표 2003년 6월 26일 - 2004년 3월 23일
7 박근혜 대표 2004년 3월 23일 - 2004년 7월 5일
(임시) 김덕룡 대표권한대행 2004년 7월 5일 - 2004년 7월 19일
8 박근혜 대표최고위원 2004년 7월 19일 - 2006년 6월 16일
9 김영선 대표최고위원 2006년 6월 16일 - 2006년 7월 11일
10 강재섭 대표최고위원 2006년 7월 11일 - 2008년 7월 3일
11 박희태 대표최고위원 2008년 7월 3일 - 2009년 9월 7일
12 정몽준 대표최고위원 2009년 9월 7일 - 2010년 6월 3일
(임시) 김무성 비상대책위원장 2010년 6월 4일 - 2010년 7월 14일
13 안상수 대표최고위원 2010년 7월 14일 - 2011년 5월 8일
(임시) 황우여 대표권한대행 2011년 5월 9일 - 2011년 7월 4일
14 홍준표 대표최고위원 2011년 7월 4일 - 2011년 12월 9일
(임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2011년 12월 19일 - 2012년 2월 13일

원내대표

대수 역대 원내대표 임기
홍사덕
김덕룡
강재섭
이재오
김형오
안상수
홍준표
안상수
김무성
황우여

최고위원

한나라당은 집단 지도체제의 성격을 가진 지도체제를 가지고 있다. 2008년 7월 3일 한나라당 전당대회를 통해 대표최고위원으로 박희태, 최고위원으로 정몽준·허태열·공성진·박순자 의원이 선출되었으며 임명직 최고위원으로 송광호 의원, 박재순을 최고위원으로 임명했다. 박희태 대표는 2009년 10.28 재보선 출마를 위해 9월 사퇴했고 전당대회에서 2위로 표를 득표한 정몽준 최고위원이 대표직을 승계하게 되었다.

2010년 지방선거가 한나라당의 패배로 끝나자 정몽준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 전원이 6월 3일 사퇴했다.

이후 2010년 7월 14일 제11차 전당대회를 통해 대표최고위원으로 안상수, 최고위원으로 홍준표·나경원·정두언·서병수 의원이 선출되었으나 2011년 4.27 재보궐 선거가 한나라당 패배로 끝나면서 대표최고위원을 비롯한 최고위원 전원이 2011년 5월 8일 총사퇴하였고 약 2개월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한나라당이 운영되었다.

이후, 2011년 7월 4일 제12차 전당대회를 통해 대표최고위원으로 전직 지도부 중 1명인 홍준표 의원을 선출하였고 최고위원으로 유승민·나경원·원희룡·남경필 의원이 선출되었다. 최고위원 당선자 4명 중 나경원·원희룡 의원 역시 전직 지도부 중 1명이다.

의원 총회

한나라당 의원 총회는 한나라당의 원내단체로 두 개의 산하 위원회를 두고 있다. 원내대책위원회는 원내대표가 책임을 맡고 있으며 현재 황우여의원이다. 정책위원회는 당 강령 및 전국규모 선거의 정책공약 등 주요정책을 수립한다. 2011년 현재 이주영의원이 정책위의장을 맡고 있다.

사무처

최고위원회의의 하부 기구로 사무처는 당무집행기구, 원내대책위원회 및 정책위원회의 지원의 업무를 수행한다. 사무총장이 관할하는 중앙사무처는 당의 조직관리, 재정, 행정지원, 인사를 총괄하며, 시,도당 사무처를 관장한다. 현재 원희룡의원이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사무처에는 대표최고위원이 통솔하는 전략기획본부가 있어 주요정치현안 및 전략을 관장한다. 홍보기획본부는 당의 이념과 정강, 정책 및 당 활동 등의 홍보를 관장한다.

중앙당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4-31번지 한양빌딩에 있다.

주요 계파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 한나라당은 크게 이명박계(친이계), 박근혜계(친박계)로 나뉘기도 하였다. 공천파동으로 일부 친박계는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친박연대(현 미래희망연대)를 구성하기도 했다. 최근 이명박 정부말기에 들어서는 親(친)박근혜계, 反(반)박근혜계,非(비)박근혜계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고 한다.

주요 활동

기타

야당 시절

한나라당은 문민정부 이후 계속된 이회창 후보의 낙선으로 야당으로 전락하였으며, 최병렬 대표가 2003년 6·26 전당대회에서 원내 과반 야당인 한나라당 ‘포스트 이회창’의 첫 대표로 선출돼 전성기를 맞았으나 '차떼기'논란과 탄핵 역풍을 이겨내지 못하고 퇴임했다. 한나라당이 궤멸위기에 처했으나 신임 박근혜 대표의 활약으로 121석을 확보해 한나라당이 다시 거대당의 영향력을 회복하였다.[4] 박근혜 대표는 16대 대선 이후 불거진 이회창 후보 진영의 800억원대 차떼기 오명을 씻기 위해 천막당사를 세우고 당을 일대 쇄신하는 ‘청소부’ 역할을 맡았다.[5]2005년 7월 28일 불법대선자금과 관련해서 당이 공식적으로 천안연수원을 국가에 헌납했다.[6]이후 참여정부의 4대 법안을 반대하는 대표적인 보수야당의 역할을 하였고,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제안한 대연정에 거부했다. 2003년 11월 30일 최병렬 대표는 '신행정수도 이전' 통과를 약속했고 당론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박근혜 대표는 2004년 6월 지자체 재보선 승리 뒤, 충청권의원의 반발하는 가운데 행정수도 이전에 반대하는데 당론으로 뒤집고, 여당이 강력반발했지만 세종시로 합의했다.[7]

좌파 전향

한나라당에는 김문수, 이재오, 차명진 등 좌파 운동권 정당인 민중당 출신 인사와 평등파 신지호 의원 등이 있다.

친이, 친박계 갈등

한나라당 경선중 박근혜측에서 BBK의혹을 제기하면서부터 친이진영과 친박진영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박근혜측은 결과에 승복해 갈등은 사라지는 듯하다가, 본격적으로 갈등이 심화되어 집단탈당사태가 일어난건 공천파동에서였다. 이후 친박연대가 창당되면서 미디어법 등 몇 가지 정책들에서 친이계와 친박계의 미묘한 의견 차이는 있어왔으나, 2010년 1월 이 대통령이 세종시 사수안을 번복하고 제안한 세종시 수정안 방침에 대해 친박연대를 비롯한 한나라당의 주요 친박계 의원들이 반발하면서 그 갈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박근혜는 원안 추진을 재차 강조하고 있어 화합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심지어 분당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8] 이전에 홍준표는 박근혜의 세종시 원안 추진론 발언에 대해 '탈당' 이야기까지 나온 상황이며,[9] 정몽준이 당론을 변경해야 한다는 말에 박근혜가 "국민의 신뢰를 잃은 것에 대해 책임지실 문제"라며 정몽준 책임론을 들고나왔으며, 정운찬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고위직 관계자들까지 박근혜를 압박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10][11] 이러한 갈등 속에서 야당들이 추진했던 정운찬 총리 해임안을 여당 내 친박계 의원들이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자 친이계 의원들은 "총리 해임안에 찬성하는 것은 분당하자는 것" 이라며 계파간의 대립이 극화되었다.[12] 6월 29일 세종시와 관련해서 친박계 의원들을 비롯하여 야당의원들이 반대하는 가운데 수정안이 부결되었다. 이 때문에 친이, 친박간의 갈등이 당분간 해소되기 어렵다는 관측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2010년 8월,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가 전격 회동하면서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양측은 우호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다가 2011년 들어서면서 친이명박계가 급속히 몰락하면서 당 중심이 친박근혜계로 이동하였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주요 선거 기록

역대 대선 결과

대수 후보자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5대 이회창 38.7% 9,935,718표 2위 낙선
16대 이회창 46.6% 11,443,297표 2위 낙선
17대 이명박 48.7% 11,492,389표 1위 당선

역대 총선 결과

실시년도 선거 국회정원 당선자 현황
(지역구/전국구)
득표율
2000년 16대 총선 273(227/46) 133 (112/21) 39.0%
2004년 17대 총선 299(243/56) 121(100/21) 35.7%
2008년 18대 총선 299(245/54) 153(131/22) 37.5%

역대 지방선거 결과

실시년도 선거 광역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1998년 2회 6/16 37.5% 74/232 31.9%
2002년 3회 11/16 68.8% 140/232 60.3%
2006년 4회 12/16 75.0% 155/230 67.4%
2010년 5회 6/16 37.5% 82/228 36.0%

비판과 논란

  • 이념·정체성 논란 : 중도실용주의가 포퓰리즘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13] 한나라당은 무상급식을 야당의 포퓰리즘적 정책이라며 비난해 왔으나 2010년 6월 2일에 치러질 지방선거를 앞두고 무상급식 확대 방침을 밝혀 포퓰리즘 논란이 일고 있다. 2010년부터 서울시를 중심으로 제기된 무상급식 논란에 대해서 한나라당은 오세훈이 추진하는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를 공식 지원하기로 하였으나[14] 2011년 8월 0세 무상보육 정책을 들고 나오면서 민주당의 복지정책과 무상급식에는 반대하면서 다른 무상정책은 추진하는 정책적 모순점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15][16]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3조원이 필요한 4세까지의 영유아 보육에 대한 무상보육은 세금폭탄이 아니고, 서울시에서 부담해야하는 700억원의 초중학교 무상급식 비용은 세금폭탄으로 돌아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17] 또한 민주당이 내놓은 반값 등록금 정책에 대해서 그동안 반대해왔던 한나라당은 황우여가 원내대표에 당선된 이후로 긍정적인 쪽으로 급격히 정책을 선회한것도 보수주의자들의 비판의 대상이 되고있다.[18] 2009년 7월 21일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수정안 내용과 관련, “한나라당은 정책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19] 또한 친이명박계가 좌파 출신 운동권 중심이고, 대북정책이 좌파적이라는 보수주의자들의 비판이 있다. [20]
  • 뇌물 수수 : 2002년 16대 대선 당시 이회창 후보가 150여억 원가량의 정치자금을 트럭째 받은 것을 비롯, 총 823억 원의 불법대선자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그 때문에 한나라당에는 '차떼기정당'이라는 명칭이 씌워졌다. 2006년 지방선거에는 공천 후보들을 대상으로 한 공천헌금 파문으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21] 2004년 2월 4일 최병렬 한나라당 대표는 "불법대선자금에 대해서는 한나라당 당사와 천안 연수원 등 당의 재산을 팔아서 국민여러분께 돌려드리겠습니다."라며 사과했다. 2004년 10월 26일에는 국무총리였던 이해찬이 국회에서 "한나라당은 차떼기당"이라는 발언을 해 국회 파행이 빚어지기도 하였다.[22] 2010년 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 공천을 둘러싼 시비는 끊이지 않고 있다. [23]
  • 여론조작 당원 공천 : 2010년 2월 울산매일신문과 추진했던 울산지역에 대한 여론조사 과정에서 뇌물을 수수하며 한나라당에 유리하도록 여론조사를 조작하다 적발되었으며 그중 한나라당과 관계된 사람은 9명으로 이들은 모두 현역 단체장으로서 2010년 6월 지방선거에도 출마할 예정이었다.[24] 이전에 이명박은 지방선거에서 부정부패를 척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비리 사실이 폭로된 단체장들을 공천해서 더욱 강한 비판들이 제기되었고,[25] 민주당은 '울산 전지역 공천을 포기하라'고 공세를 펼쳤다.[24]
  • 댓글 알바 논란 : 2007년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한나라당 경선에서 대학생을 고용해 특정 후보에 유리한 댓글을 작성하도록 한 한나라당 당원[26]이 실형을 선고받기도 하였다.[27]
한나라당 측에서 댓글 알바를 고용해 여론을 유리한 쪽으로 조작하려 한다는 비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이석현 의원은 "아고라의 일부 IP를 조사해 보니 한나라당이 위촉한 국민소통위원이었다."라고 주장하였다.[28][29] 이들은 아고라에서 욕설댓글을 집단적으로 작성하여 여론을 조작하려 한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30]한나라당과 국민소통위는 "돈을 받고 고용된 것이 아니고 자발적으로 활동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알바라고 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였다.[31][32]
  • 판결 불복, 교원단체명단 공개 : 2010년 4월, 법원이 '교원단체의 명단을 공개하지 말 것'이라고 판결했지만, 조전혁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교총, 전교조, 자유교원노조의 명단을 공개하자 전교조가 반발하여 논란이 일었다.[33] 법원은 조전혁의 불법 명단 공개에 대해 '전교조에 하루당 3천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하였다. 하지만 한나라당 소속 의원 수십명은 법원의 판결에 집단적으로 반발하며 정두언, 정태근, 김용갑, 진수희, 차명진 등 10여 명의 한나라당 의원들도 교원단체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하였다.[34] 이는 입법부가 사법부의 권한을 정면으로 불복하는 것이며, 삼권 분립의 헌법정신에도 어긋나는 행위지만,[35]국민의 알권리 보장이라는 공익적 측면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36] 민주당 정세균의원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제 정신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조 의원이 법에 없는 짓을 해서 법원이 '잘못됐다. 중단하라'고 명령했는데 거기에 정면대응해 법원과 맞짱을 뜨고 있다. 여당이길 포기했을 뿐 아니라 국회의원이기까지 포기한 것 아니냐"라고 비판하였다.[37][38] 또한 중앙일보도 사설에서 "'조폭 판결' '판사의 무모한 도발에 대한 결연한 대응' 운운하며 법원 판결에 집단 불복하는 건 결코 바람직한 행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39] 반면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명단 공개를 금지한 법원에 문제가 있다" 며 학부모들은 자식들이 어떤 교사에게 가르침을 받는지 알아야 한다"고 논평했다.[40]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는 "전교조가 비밀결사조직체도 아닌 법적 단체이고 그 자체가 공개된 노동조합인데 조합원의 명단 공개가 왜 불법인가"라면서도, "법원의 결정이 잘못되고 못마땅해도 법으로 대응해야지 실력으로 대응하는 것은 국회의원들이 할 일이 아니다"라며 양측 모두에 잘못이 있다고 주장했다.[41]이렇게 한나라당과 사법부의 갈등이 극화되자 김형오 국회의장은 "사법부의 판단은 일단 존중하는 것이 입법부의 도리"라며 명단 공개에 동참한 의원들 모두에게 명단을 내리도록 간곡히 요청했다.[42] 한편 리얼미터가 실시한 교원단체 명단공개에 대한 여론조사는 찬성이 46%, 반대 34%로 나타났다.[43]선관위는 전교조 명단 공개로 하루 삼천만원씩의 이행강제금 결정을 받은 한나라당 조전혁과 관련, "후원금 및 모금으로 이행금을 납부할 수 없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답변서에서 "법원결정을 이행하지 않아 납부하는 국회의원의 이행강제금을 후원금 등으로 내는 것은 정치자금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전혁은 지난 4일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이행강제금의 한계'를 언급하며 명단을 공개한 나흘째, 명단 공개를 철회했다.[44]
  • 미국소 수입과 촛불집회에 대한 태도 변화 : 2008년 촛불집회 당시 한나라당은 국민의 민심을 수용한다며 반성한다던 모습들과 달리 2010년에는 태도를 바꿔 대국민 사기극으로 규정하였다. 이에대한 언론들과 누리꾼들의 비판이 거세게 일기도 하였다.[45] 미디어오늘은 "한나라당이 역풍을 자초하였다"고 보도하였다.[46] 노영민 민주당 대변인은 "당시 대통령이 사과하고 정부가 재협정의 가능성을 열어놓음으로써 정부 또한 촛불시위의 정당성을 인정해놓고 이제 와서 딴소리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비판했다.[47]
2007년 8월 3일, 한나라당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표하였다.

미국산 수입 쇠고기 검역과정에서 광우병 특정 위험물질인 SRM 등 뼈조각이 검출된것은 한국시장을 가볍게 보는 미국업계의 안일함과 우리 당국의 무성의가 빚어낸 결과이다. 아무리 한미FTA가 중요하다고 해도 국민들의 생명이 걸려있는 문제를 볼모로 해서 무작정 한미FTA를 체결할 수는 없는 일이다. 농림부는 더 이상 국민을 불안하게 하지 말고 문제가 있으면 미국에 시정요구를 하고 필요하면 검역중단 등의 미온적인 조치가 아닌 금수 조치를 바로 내리는 등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48]

한나라당의 당시 발표한 이 글은 2010년의 입장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한나라당의 모순된 언행을 한눈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종 언론들에 인용되고 있다.[49][50]
그러나 일부 보수 언론들과 보수 단체들은 "당시 한나라당의 입장은 쇠고기 협상 과정에서의 미숙함에 대해 사과를 한 것일 뿐 당시의 광우병괴담 등 각종 과장 및 허위 사실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부분을 지적한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라고 주장한다.[51][52]
  • 성추행 논란 : 2006년 12월 17일 한나라당 충남 당진군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서울특별시 강남에서 강간미수 혐의로 구속되었다. [53] 사건 직후 한나라당에서‘원외 위원장의 강간 미수에 대해 사과 논평 않겠다' 는 발언이 나와 논란이 일었다. [54] 한나라당 소속의 의원들은 성희롱이나 성추행을 한 경우도 있었다. 대표적인 사건으로 2007년 1월,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중앙일간지의 원색적인 연재소설 주인공인 '조철봉'을 언급하며 "조철봉이 요즘 왜 안 해? 하루에 세 번 하더니 한 번은 해 줘야지. 너무 안 하면 철봉이 아니라 낙지야 낙지"라고 한 발언도 논란이 된 바 있으며,[55] 최연희의 여기자 성추행 사건, 이명박의 '마사지걸' 발언, 박계동의 술집 여종업원 성추행,[56]2010년 7월에는 대학생들과의 뒤풀이 모임에서 벌어진 강용석의 성희롱 발언 등 성추행 파문이 끊이지 않았다. 이 사건들은 개인 의원들의 실수이지만, 한나라당에서 이러한 사건이 자꾸 터지면서 '성나라당', '성희롱당'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언급되며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57][58]
  • 날치기 논란 : 한나라당은 2008년 총선 이후로 원내 과반석을 차지했다. 원내 과반수의 찬성이 있으면 통과될 수 있는 법안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한나라당은 이를 이용해 각종 법안들을 야당과 협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처리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날치기는 주로 새해 예산안 처리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예산안의 날치기 처리는 정상적인 검토, 심사가 되지 않기 때문에 부실 예산안이라는 비판도 뒤따른다.[59] 새해 예산안은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로 3년 연속 한나라당이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민주당과의 합의 없이 통과되었고 미디어법 관련 법안과, 4대강 관련 예산안 등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되었다. 이에 대해 민주당과 일부 언론들은 한나라당이 날치기로 처리했다고 비판한다.[60][61] 2011년 예산안은 박희태 국회의장이 질서유지권을 발동하여 국회 경호원들의 호위 속에 처리되었다.[62] 날치기는 물리적 충돌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민들이 국회 전반에 대해 불신을 갖게하는 계기라는 지적도 제기된다.[63] 결국 예산안 처리에서 한나라당이 약속했던 것과 다르게 처리된것이 있었으며 이에 대해 고흥길 정책위의장이 사퇴하고, 한나라당이 사과하기도 했다.[64]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고, 12월 28일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야당들은 집회를 갖고 날치기 7적을 규정하며 사퇴를 요구했다.[65]

같이 보기

주석

  1. 한나라당 소개>정강.정책 - 강령
  2. 닮아가는 與野…'실용주의 전성시대'
  3. 새누리, 당명ㆍ정강정책 확정..`박근혜당' 완성
  4. mid=sec&sid1=001&oid=022&aid=0000071934&
  5. '글로벌 석간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6. mid=tv&oid=055&aid=0000050358 한나라당, 천안 연수원 국가 헌납
  7. 운명의 이력서 : Save Internet 뉴데일리
  8. 이민기 기자. “한나라, '두나라 분당' 수순 밟나”. 프론티어타임스. 2010년 1월 22일에 확인함. 
  9. 김동현 기자. “홍준표, 박근혜 겨냥 "탈당하고 당 만들어야". 민중의소리. 201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0. 박영순 기자. “박근혜, “당론 바꿔 신뢰 잃은 건 鄭대표 책임””. 포커스신문. 201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1. 정효식 기자. “박근혜 비판 자제하던 정운찬 “공격 앞으로””. 중앙일보. 2010년 2월 5일에 확인함. 
  12. 김수진 기자. “정운찬, 박근혜 공격 파장‥총리 인책론 확산”. MBC. 2010년 2월 5일에 확인함. 
  13. 중도실용주의 포퓰리즘 변질 경계해야한나라당의 진짜 대선 징크스
  14. 한나라, 무상급식 주민투표 독려운동 본격화 한나라당 2011년 8월
  15. 무상보육 한다면서 무상급식은 왜 반대?” 딜레마 빠진 한나라당 헤럴드경제 2011년 8월
  16. “〈사설〉돈이 하늘에서 떨어지나 … 한심한 선거판 선심 경쟁 (중앙)”. 2010년 4월 20일에 확인함. 
  17. 한나라 ‘무상보육’, 아기들 밥은 돈 내고 먹어라? 미디어오늘 2011년 8월
  18. 보수층 절반 이상 한나라당에 등 돌렸다 조선일보 2011년 7월
  19. 고일환 기자. “이회창 한나라당 정체성 분명히 해야”. 연합뉴스. 2009년 7월 24일에 확인함. 
  20. 한나라당의 反 헌법 · 좌파적 新 대북정책 폐기하라! 한나라당은 신 대북정책 폐지하라
  21. donga.com[뉴스]-昌측 823억-盧측 120억 불법모금… ‘차떼기’ 떠들썩
  22. 시사1번지 폴리뉴스
  23. 임형섭 기자. “검찰, 거제 '돈공천 의혹' 관련자 계좌추적”. 연합뉴스.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24. 김동현 기자. “MJ의 울산, '한나라 여론조사 조작' 파문에 휘청”. 뷰스앤뉴스. 2010년 4월 20일에 확인함. 
  25. 조선영 기자. “한나라당, 금품여론조작 후보 공천 '비난 후폭풍'. 울산CBS. 2010년 4월 21일에 확인함. 
  26. 정영일 기자. '알바' 고용 조직적 댓글 與당원 법정구속”. 머니투데이.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27. “대학생 고용해 대량 댓글 선거운동원 실형”. KBS. 2009년 9월 16일에 확인함. 
  28. “이석현, "아고라에 여당 '알바' 침투". YTN. 2009년 9월 16일에 확인함. 
  29. 이준기 기자. “이석현 "한나라, 아고라에 수백명의 '알바' 투입". 뷰스앤뉴스. 200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30. 손주영 기자. ““정부여당 토론의 꽃밭에 재 뿌리고 있다””. 브레이크뉴스. 2009년 12월 31일에 확인함. 
  31. 김현 기자. “정두언 "돈 안 받는 알바가 어딨나". 데일리안. 2009년 12월 31일에 확인함. 
  32. 국민소통위 '알바'관련 성명서 보도자료
  33. 전교조 명단공개 놓고 교육계 안팎서 논쟁 확산 연합뉴스 2010-04-20
  34. 지연진 기자. “정치권, 전교조 명단공개 '후폭풍'. 아시아경제. 2010년 5월 1일에 확인함. 
  35. 이인숙 기자. “3권분립 흔드는 ‘판결 불복’ 선거쟁점 부상”. 경향신문.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36. 전교조, 존경받길 원하면 알권리부터 지켜라데일리안 2010-05-03
  37. 박석호 기자. '전교조 명단공개' 여야 확전 … 지방선거 쟁점화 조짐”. 부산일보. 2010년 5월 1일에 확인함. 
  38. “한나라당 법원 비판 도넘었다”. 세계일보. 2010년 5월 1일에 확인함. 
  39. “조 의원은 승복하고, 전교조는 명단 자진공개를”. 중앙일보. 2010년 5월 1일에 확인함. 
  40. 시민 배심원이라면 전교조 명단 공개 금지했을까조선일보
  41. 이회창 "전교조 명단공개 금지, 잘못"연합뉴스 2010-05-03
  42. “김형오 "의원들, 전교조 명단 모두 내려달라". 연합뉴스.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43. 전교조 명단공개…찬성 46% vs 반대 34%조선일보 2010-05-02
  44. 선관위 "조전혁 이행강제금, 후원금·모금 납부 안 돼"
  45. 김광호 기자. ““촛불민심 수용” “국정 쇄신” 외쳤던 한나라 …”. 경향신문. 2010년 5월 13일에 확인함. 
  46. 김상만 기자. “청와대-조선일보 '촛불 반성', 역풍 자초”. 미디어오늘. 2010년 5월 13일에 확인함. 
  47. 조현우 기자. ““2년 전엔 사과하더니” MB ‘촛불 반성’ 발언 파문 확산”. 쿠키뉴스. 2010년 5월 13일에 확인함. 
  48. 한나라당. “미국산 수입 쇠고기, 금수조치 내려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조치 취해야”. 한나라당 인터넷뉴스팀.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49. “조중동, 정권 바뀌니 '광우병'이 안전해졌나?”. 오마이뉴스.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50. 진중권. "전 국민을 '좀비'로 만들 작정인가?". 프레시안.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51. 노컷뉴스. “진수희 “2년 전 '촛불'은 광란, 진실에 대한 테러””. 노컷뉴스. 2010년 5월 13일에 확인함. 
  52. (쇠고기 2년의 명과 암) 난무하던 광우병 괴담...‘실체 없었다’
  53. 성폭행 미수 한나라당 간부 구속
  54. 한나라당, ‘원외위원장 강간 미수에 대해 사과 논평 않겠다’
  55. 강용석 파문, `性나라당` 오명 벗으려면 중앙일보 2010년 7월 20일
  56. 선일보가 전한 강용석 '성희롱 의혹' 실체 미디어오늘 2010년 7월 21일
  57. MB '마사지걸' 발언부터 강용석 "너만 쳐다보더라"..."역시 성나라당" 민중의 소리 2010년 7월 20일
  58. 한나라당을 괜히 ‘성희롱 정당’이라 하겠는가 경향신문 2010년 7월 20일
  59. 국회 예산안 심사, 3년째 부실 졸속 처리 mbc 2010년 12월 8일
  60. 미디어법 날치기 1년, 재입법이 근본처방이다 경향신문 2010년 7월 21일
  61. 민주 "'4대강예산' 날치기처리, 원천무효" 머니투데이 2009년 12월 8일
  62. 박희태 국회의장, 국회 질서유지권 발동 경향신문 2010년 12월 8일
  63. 예산안 여당 단독처리…날치기 통과에 '몸싸움' sbs 2010년 12월 9일
  64. 사과, 사과, 사퇴…' 고개숙인 한나라당 노컷뉴스 2010년 12월 13일
  65. 서민예산 몽땅 도둑질...날치기 7적 물러나라 오마이뉴스 2010년 12월 29일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