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이원룡/번역실/아시아 횡단 철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he Trans-Asian Railway (TAR) is a project to create an integrated freight railway network across Europe and Asia.

아시아 횡단 철도(TAR:Trans-Asian Railway)는 유럽과 아시아를 관통하는 철도 건설 프로젝트이다.

The TAR is a project of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UNESCAP).

타르는 유엔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UNESCAP)의 프로젝트이다.

개요 Overview[편집]

The project was initiated in the 1960s, with the objective of providing a continuous 8750 mile (14,000km) rail link between Singapore and Istanbul, Turkey, with possible further connections to Europe and Africa.

프로젝트는 1960년대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처음부터 싱가포르에서 터키이스탄불까지 8,750 마일(14,000 km) 구간의 건설은 반대가 있었다.

At the time shipping and air travel were not as well developed, and the project promised to significantly reduce shipping times and costs between Europe and Asia.

선박과 비행기 구간이 잘 발달되지 않은 때에, 이 프로젝트는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Progress in developing the TAR was hindered by political and economic obstacles throughout the 1960s, 1970s and early 1980s.

60,70,80년대에는 이 프로젝트가 정치적 경제적 장벽으로 방해를 받았다.

By the 1990s, the end of the cold war and normalisation of relations between some countries improved the prospects for creating a rail network across the Asian continent.

1990년대 말에, 냉전이 종식되고 몇몇 국가들간의 외교관계가 정상화 되면서, 이 프로젝트는 다시 힘을 받았다.

The TAR was seen as a way to accommodate the huge increases in international trade between Eurasian nations and facilitate the increased movements of goods between countries. It was also seen as a way to improve the economies and accessibility of landlocked countries like Laos, Afghanistan, Mongolia, and the Central Asian republics.

Much of the railway network already exists, although some significant gaps remain.

철도망의 대부분은 이미 존재한다, 비록 중요한 갭이 좀 있기는 하지만.

A big challenge is the differences in rail gauge across Eurasia.

큰 과제는 유럽과 아시아간의 철도 레일의 폭(rail gauge)이 다르다는 점이다.

Four different major rail gauges (which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rails) exist across the continent:

대륙간에 4가지의 주요한 철도 레일의 차이가 있다.

most of Europe, as well as Turkey, Iran, China, and the Koreas use the 1435 mm gauge, known as Standard gauge;

대부분의 유럽국가와 터키 이란 중국 남한 북한은 1435 mm의 게이지를 사용한다. 스탠다드 게이지(Standard gauge)라고 알려져 있다.

Finland, Russia, and the former Soviet republics use a 1520 mm gauge;

핀란드, 러시아, 구소련 공화국들은 1520 mm 게이지를 사용한다.

most of the railways in India, Pakistan, Bangladesh and Sri Lanka use a 1676 mm gauge,

인도의 대부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는 1676 mm 게이지를 사용한다.

and most of Southeast Asia has metre-gauge.

동남아시아의 대부분은 metre-gauge를 사용한다.

For the most part the TAR would not change national gauges; mechanized facilities would be built to move shipping containers from train to train at the breaks of gauge.

대부분의 타르 국가들은 국가의 게이지를 바꾸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열차와 열차간의 컨테이너를 옮기는 설비가 설치될 것이다.

A big obstacle is also the need of sea transport to Japan and South Korea. A container ship has room for much more containers than a train. Therefore ships must go less regular than trains, creating a big delay. There are hopes to create an overland connection through North Korea, however there is still a break-of-gauge.

큰 장애물은 또한 한국에서 일본까지 배로 수송을 해야한다는 점이다. 컨테이너선은 기차보다 훨씬 많은 컨테이너를 싣는다. 따라서 컨테이너선을 다 채워야 떠나기 때문에, 철도보다 정기운항 횟수가 적다. 이것은 운송시간을 크게 늘리게 된다. 북한을 경유하여 남북한간의 철도를 개통하려는 기대가 있지만, 아직까지는 break-of-gauge이다.

By 2001, the four corridors had been studied as part of the plan:

2001년 현재, 4개의 노선이 연구되었다:

  • The Northern Corridor will link Europe and the Pacific, via Germany, Poland, Belarus, Russia, Kazakhstan, Mongolia, China, and the Koreas, with breaks of gauge at the Polish-Belarusian border (1435 mm to 1520 mm), the Kazakhstan-Chinese border (1520 mm to 1435 mm), and the Mongolian-Chinese border (1520 mm to 1435 mm).

The 5750 miles (9,200km) Trans-Siberian Railway covers much of this route and currently carries large amounts of freight from East-Asia to Moscow and on to the rest of Europe.

5,750 마일(9,200 km)인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이 구간의 가장 긴 노선이다. 현재 동아시아에서 모스코바까지 대규모의 운송이 이뤄지고 있다.

Due to political problems with North Korea, freight from South Korea must currently be shipped by sea to the port of Vladivostok to access the route.

북한과의 정치적인 문제로, 한국까지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배로 연결된다.

사우던 코리더는 유럽에서 동남아시가까지 연결될 것이다. 터키, 이란,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 태국, 중국윈난성, 말레이시아, 최종적으로 싱가포르까지 연결된다.

Gaps exist in eastern Iran, between India and Myanmar, between Myanmar and Thailand, between Thailand and Cambodia, between Cambodia and Vietnam and between Thailand and Yunnan.

이란 동부, 인도와 미얀마 사이, 미얀마와 태국 사이, 태국과 캄보디아 사이, 캄보디아와 베트남 사이, 태국과 중국 윈난성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철도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Breaks of gauge occur, or will occur, at the Iran-Pakistan border (1435 mm to 1676 mm), the India-Myanmar border (1676 mm to 1000 mm), and to China (1000 mm to 1435 mm).

  • A Southeast Asian network
  • The North-South Corridor will link Northern Europe to the Persian Gulf.

북서쪽 노선는 북유럽과 페르시아만을 연결한다.

The main route starts in Helsinki, Finland, and continues through Russia to the Caspian Sea, where it splits into three routes: a western route through Azerbaijan, Armenia, and western Iran; a central route across the Caspian Sea to Iran via ferry; and an eastern route through Kazakhstan, Uzbekistan and Turkmenia to eastern Iran.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시작하여, 러시아를 통과하고, 카스피해를 지나, 세가지 노선으로 나누어 진다. 서쪽 루트는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이란 서부를 지난다. 중앙 루트는 카스피해에서 이란까지는 페리선으로 운반된다. 동쪽 루트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아를 지나 이란 동부까지 연결된다.

The routes converge in the Iranian capital of Tehran and continue to the Iranian port of Bandar Abbas.

세가지 루트는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하나로 모인다. 그리고 이란의 항구도시 Bandar Abbas까지 철도가 이어진다.

진행상황 Progress[편집]

One can not say that the Trans-Asian Railway Project has been a great success so far.

아시아 횡단 철도는 그렇게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Very little railway has been built along the corridors during the 40 years.

40년간 극소수의 철도만 부설되었다.

The Northern Corridor was working already in the 1960s, although only for Soviet Union-China trade.

북쪽 노선(Northern Corridor)은 1960년대 부터 이미 작업을 해왔었다. 비록 소련-중국간 무역만을 위한 것이었지만.

Success so far include:

비교적 성공적인 곳은 다음과 같다:

지도 Maps[편집]

더 보기 See also[편집]

외부 링크 External links[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