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hc970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Ahc9702 (토론 | 기여)
Intro
태그: 시각 편집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심의겸||조선 중기의 문신의 호 '간암'}}
{{Infobox medical condition (new)
{{Infobox medical condition (new)
| name = 간암
| name = 간암
25번째 줄: 24번째 줄:


'''간암'''(肝癌, {{llang|en|liver cancer}})은 [[간]]에 생기는 [[암]]이다.
'''간암'''(肝癌, {{llang|en|liver cancer}})은 [[간]]에 생기는 [[암]]이다.

간암은 원발성(간에서 시작됨) 또는 이차성(다른 곳에서 간으로 전이된 암을 의미하며 간 전이로 알려짐)이 될 수 있다.<ref name="NIH20162">{{cite web|url=https://www.cancer.gov/types/liver/patient/adult-liver-treatment-pdq#section/all|title=Adult Primary Liver Cancer Treatment (PDQ®)–Patient Version|date=6 July 2016|website=NCI|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02124639/https://www.cancer.gov/types/liver/patient/adult-liver-treatment-pdq#section/all|archive-date=2 October 2016|url-status=live|access-date=29 September 2016}}</ref> 간 전이는 간에서 시작되는 것보다 더 흔하다.<ref name="WCR2014Liver2">{{cite book|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5.6|isbn=978-9283204299}}</ref>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ref name=":16">{{cite journal|title=Liver cancer: Approaching a personalized care|journal=Journal of Hepatology|date=April 2015|volume=62|issue=1 Suppl|pages=S144–S156|doi=10.1016/j.jhep.2015.02.007|pmc=4520430|pmid=25920083|vauthors=Bruix J, Han KH, Gores G, Llovet JM, Mazzaferro V}}</ref><ref name=":22">{{cite journal|title=Type 2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spotligh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journal=Annals of Translational Medicine|date=July 2017|volume=5|issue=13|pages=270|doi=10.21037/atm.2017.04.41|pmc=5515814|pmid=28758096|vauthors=Mantovani A, Targher G|doi-access=free}}</ref>

원발성 간암은 전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자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4위이다.<ref name="Bray20182">{{cite journal|title=Global cancer statistics 2018: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journal=CA|date=November 2018|volume=68|issue=6|pages=394–424|doi=10.3322/caac.21492|pmid=30207593|vauthors=Bray F, Ferlay J, Soerjomataram I, Siegel RL, Torre LA, Jemal A|s2cid=52188256|doi-access=free}}</ref><ref name=":132">{{cite journal|title=The Burden of Primary Liver Cancer and Underlying Etiologies From 1990 to 2015 at th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 Result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journal=JAMA Oncology|date=December 2017|volume=3|issue=12|pages=1683–1691|doi=10.1001/jamaoncol.2017.3055|pmc=5824275|pmid=28983565|display-authors=6|vauthors=Akinyemiju T, Abera S, Ahmed M, Alam N, Alemayohu MA, Allen C, Al-Raddadi R, Alvis-Guzman N, Amoako Y, Artaman A, Ayele TA, Barac A, Bensenor I, Berhane A, Bhutta Z, Castillo-Rivas J, Chitheer A, Choi JY, Cowie B, Dandona L, Dandona R, Dey S, Dicker D, Phuc H, Ekwueme DU, Zaki MS, Fischer F, Fürst T, Hancock J, Hay SI, Hotez P, Jee SH, Kasaeian A, Khader Y, Khang YH, Kumar A, Kutz M, Larson H, Lopez A, Lunevicius R, Malekzadeh R, McAlinden C, Meier T, Mendoza W, Mokdad A, Moradi-Lakeh M, Nagel G, Nguyen Q, Nguyen G, Ogbo F, Patton G, Pereira DM, Pourmalek F, Qorbani M, Radfar A, Roshandel G, Salomon JA, Sanabria J, Sartorius B, Satpathy M, Sawhney M, Sepanlou S, Shackelford K, Shore H, Sun J, Mengistu DT, Topór-Mądry R, Tran B, Vlassov V, Vollset SE, Vos T, Wakayo T, Weiderpass E, Werdecker A, Yonemoto N, Younis M, Yu C, Zaidi Z, Zhu L, Murray CJ, Naghavi M, Fitzmaurice C|hdl-access=free|hdl=10037/11672}}</ref> 201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84만1000명이 간암에 걸려 78만2000명이 사망했다.<ref name="Bray20182" /> 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등 B형 및 C형 간염이 흔한 지역에서 간암 발생률이 높다.<ref name="WCR2014Liver2" /> 남성이 여성보다 간세포암종(HCC)에 더 자주 걸린다.<ref name="WCR2014Liver3">{{cite book|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5.6|isbn=978-9283204299}}</ref> 진단은 55~65세 사이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ref name="SEER20162">{{cite web|url=http://seer.cancer.gov/statfacts/html/livibd.html|title=SEER Stat Fact Sheets: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 Cancer|website=NCI|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728014514/https://seer.cancer.gov/statfacts/html/livibd.html|archive-date=2017-07-28|url-status=live}}</ref>


치료는 간이식, 간절제술, 경동맥 화학 색전술, 고주파 열치료법, 알코올 주입술 등이 있다. 세계적으로 간암 발생률이 높은 지역은 [[아프리카]], [[중화민국|대만]], [[중화인민공화국|중국]], [[한국]], [[동남아시아]], [[일본]] 등이 있다. 간암이 낮은 지역은 [[아메리카]]지역과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지역 등이 있다.
치료는 간이식, 간절제술, 경동맥 화학 색전술, 고주파 열치료법, 알코올 주입술 등이 있다. 세계적으로 간암 발생률이 높은 지역은 [[아프리카]], [[중화민국|대만]], [[중화인민공화국|중국]], [[한국]], [[동남아시아]], [[일본]] 등이 있다. 간암이 낮은 지역은 [[아메리카]]지역과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지역 등이 있다.
30번째 줄: 33번째 줄:
[[대한민국]]은 간암 발생률이 중장년기(40~60세) 10만명을 조사한 결과 여자는 15.6명 남자는 74.8명으로 약 5배나 남자가 높다. 암 사망자의 수가 두 번째로 높은 것이 간암이다. 1년에 10만명당 사망률이 24.1명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은 간암 발생률이 중장년기(40~60세) 10만명을 조사한 결과 여자는 15.6명 남자는 74.8명으로 약 5배나 남자가 높다. 암 사망자의 수가 두 번째로 높은 것이 간암이다. 1년에 10만명당 사망률이 24.1명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에서 간암은 네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고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이다. 특히 40대 사망률 1위 질환이다.
대한민국에서 간암은 네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고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이다. 특히 40대 사망률 1위 질환이다. 2009년 6월 [[국립암센터]]는 사회적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암으로 간암을 지적했다.

2009년 6월 국립암센터는 사회적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암으로 간암을 지적했다.

== 간암의 예방 ==
간암은 비교적 원인이 분명히 밝혀져 있다.

간암의 대표적인 원인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은 모든 신생아 등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게 중요하고 가족이나 어머니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보유자일 경우에는 면역글로블린(HBIG)과 [[백신]]을 생후 12시간 이내에 접종해서 예방할 수 있다.


간암의 주요 원인은 [[B형 간염]], [[C형 간염]] 또는 [[알코올]]로 인한 [[간경변]]이다.<ref name="GBD2013">{{cite journal|title=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journal=Lancet|author1=GBD 2013 Mortality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date=January 2015|volume=385|issue=9963|pages=117–171|doi=10.1016/S0140-6736(14)61682-2|pmc=4340604|pmid=25530442}}</ref> 다른 원인으로는 [[아플라톡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간 흡충<ref name="WCR2014Liver">{{cite book|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5.6|isbn=978-9283204299}}</ref>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유형은 [[간세포암]]으로, 간세포암의 80%를 차지하며 간내 [[담관암]]도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와 영상의학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으며 [[생검|조직 생검]]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 name="NIH2016">{{cite web|url=https://www.cancer.gov/types/liver/patient/adult-liver-treatment-pdq#section/all|title=Adult Primary Liver Cancer Treatment (PDQ®)–Patient Version|date=6 July 2016|website=NCI|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02124639/https://www.cancer.gov/types/liver/patient/adult-liver-treatment-pdq#section/all|archive-date=2 October 2016|url-status=live|access-date=29 September 2016}}</ref>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아직 예방백신이 없다. 혈액으로 감염될 수 있으므로 불법적인 의료 시술이나 위생적이지 못한 피어싱, 문신을 피해야 한다.


간암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간암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이러한 노력에는 [[BCG 백신|B형 간염 예방접종]]<ref name="WCR2014Liver" />, B형 간염 치료, C형 간염 치료, 알코올 사용 줄이기, 농업에서 아플라톡신 노출 줄이기, 비만 및 [[당뇨병]] 관리 등이 포함된다.<ref name=":1">{{cite journal|title=Liver cancer: Approaching a personalized care|journal=Journal of Hepatology|date=April 2015|volume=62|issue=1 Suppl|pages=S144–S156|doi=10.1016/j.jhep.2015.02.007|pmc=4520430|pmid=25920083|vauthors=Bruix J, Han KH, Gores G, Llovet JM, Mazzaferro V}}</ref><ref name=":2">{{cite journal|title=Type 2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spotligh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journal=Annals of Translational Medicine|date=July 2017|volume=5|issue=13|pages=270|doi=10.21037/atm.2017.04.41|pmc=5515814|pmid=28758096|vauthors=Mantovani A, Targher G|doi-access=free}}</ref> 만성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선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ref name="WCR2014Liver" /> 예를 들어, 간세포암종에 걸릴 위험이 있는 만성 간 질환자는 6개월마다 초음파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ref name=":1" />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도 간암에 걸릴 수 있으므로 과도한 음주(소주, 맥주)는 피해야 한다.


간암은 여러 유형의 암을 포괄하는 용어이므로 징후와 증상은 어떤 유형의 암이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증상은 모호하고 광범위할 수 있다. 담관암은 [[발한]], [[황달]], [[복통]], [[체중 감소]] 및 [[간 비대]]와 관련이 있다.<ref>{{EMedicine|article|277393|Cholangiocarcinoma}}</ref> 간세포암종은 복부 [[종괴]], [[복통]], [[구토]], [[빈혈]], [[요통]], [[황달]], [[가려움증]], 체중 감소 및 발열과 관련이 있다.<ref>{{cite web|url=http://www.childrenshospital.org/az/Site1015/mainpageS1015P0.html|title=Liver tumors in Children|publisher=Boston Children's Hospital|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604053031/http://www.childrenshospital.org/az/Site1015/mainpageS1015P0.html|archive-date=2011-06-04|url-status=dead}}</ref>
또한 간암은 아세트알데히드 효소가 부족한 사람(조금만 술을 마셔도 얼굴이 빨개지는 것을 보고 알 수가 있음)에게는 과도한 음주시 걸릴 확률이 높다.


치료에는 [[수술]], [[표적 치료]] 및 [[방사선 치료|방사선 요법]]이 포함될 수 있다.<ref name="NIH2016" /> 경우에 따라 [[절제 요법]], [[색전 요법]] 또는 [[간 이식]]이 사용될 수 있다.<ref name="NIH2016" />
B형간염>알코올성>C형간염 순으로 발병률이 높다


== 같이 읽기 ==
== 같이 읽기 ==

2023년 10월 25일 (수) 08:42 판

간암
다른 이름Liver cancer, Hepatic cancer, primary hepatic malignancy, primary liver cancer
담관암 문제가 있는 CT 스캔
진료과종양학
증상흉곽 아래 오른쪽 혹 또는 통증, 복수, 황달, 쉽게 멍이 듦, 체중 감소, 무기력함[1]
통상적 발병 시기55~65세[2]
병인B형 간염, C형 간염, 알코올로 인한 간경변, 아플라톡신, 비알코올성지방간, 간흡충류[3][4]
진단 방식혈액 검사, 의학촬영, 생검[1]
예방B형 간염 예방 주사, B형/C형 간염 치료[3]
치료수술, 표적 치료, 방사선 치료[1]
예후5년 생존률 ~18% (US)[2]
빈도618,700 (2015년 특정 시기)[5]
사망782,000 (2018)[6]

간암(肝癌, 영어: liver cancer)은 에 생기는 이다.

간암은 원발성(간에서 시작됨) 또는 이차성(다른 곳에서 간으로 전이된 암을 의미하며 간 전이로 알려짐)이 될 수 있다.[7] 간 전이는 간에서 시작되는 것보다 더 흔하다.[8]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9][10]

원발성 간암은 전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자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4위이다.[11][12] 201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84만1000명이 간암에 걸려 78만2000명이 사망했다.[11] 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등 B형 및 C형 간염이 흔한 지역에서 간암 발생률이 높다.[8] 남성이 여성보다 간세포암종(HCC)에 더 자주 걸린다.[13] 진단은 55~65세 사이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14]

치료는 간이식, 간절제술, 경동맥 화학 색전술, 고주파 열치료법, 알코올 주입술 등이 있다. 세계적으로 간암 발생률이 높은 지역은 아프리카, 대만, 중국, 한국, 동남아시아, 일본 등이 있다. 간암이 낮은 지역은 아메리카지역과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아랍에미리트중동 지역 등이 있다.

대한민국은 간암 발생률이 중장년기(40~60세) 10만명을 조사한 결과 여자는 15.6명 남자는 74.8명으로 약 5배나 남자가 높다. 암 사망자의 수가 두 번째로 높은 것이 간암이다. 1년에 10만명당 사망률이 24.1명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에서 간암은 네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고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이다. 특히 40대 사망률 1위 질환이다. 2009년 6월 국립암센터는 사회적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암으로 간암을 지적했다.

간암의 주요 원인은 B형 간염, C형 간염 또는 알코올로 인한 간경변이다.[4] 다른 원인으로는 아플라톡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간 흡충[3]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유형은 간세포암으로, 간세포암의 80%를 차지하며 간내 담관암도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와 영상의학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으며 조직 생검으로 확인할 수 있다.[1]

간암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간암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이러한 노력에는 B형 간염 예방접종[3], B형 간염 치료, C형 간염 치료, 알코올 사용 줄이기, 농업에서 아플라톡신 노출 줄이기, 비만 및 당뇨병 관리 등이 포함된다.[15][16] 만성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선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3] 예를 들어, 간세포암종에 걸릴 위험이 있는 만성 간 질환자는 6개월마다 초음파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15]

간암은 여러 유형의 암을 포괄하는 용어이므로 징후와 증상은 어떤 유형의 암이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증상은 모호하고 광범위할 수 있다. 담관암은 발한, 황달, 복통, 체중 감소간 비대와 관련이 있다.[17] 간세포암종은 복부 종괴, 복통, 구토, 빈혈, 요통, 황달, 가려움증, 체중 감소 및 발열과 관련이 있다.[18]

치료에는 수술, 표적 치료방사선 요법이 포함될 수 있다.[1] 경우에 따라 절제 요법, 색전 요법 또는 간 이식이 사용될 수 있다.[1]

같이 읽기

각주

  1. “Adult Primary Liver Cancer Treatment (PDQ®)–Patient Version”. 《NCI》. 2016년 7월 6일. 2016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9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NIH2016"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SEER Stat Fact Sheets: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 Cancer”. 《NCI》. 2017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6쪽. ISBN 978-9283204299.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WCR2014Liver"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2014년 12월 17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GBD2013"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5.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2016년 10월 8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6. Bray, F; Ferlay, J; Soerjomataram, I; Siegel, RL; Torre, LA; Jemal, A (November 2018). “Global cancer statistics 2018: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68 (6): 394–424. doi:10.3322/caac.21492. PMID 30207593. 
  7. “Adult Primary Liver Cancer Treatment (PDQ®)–Patient Version”. 《NCI》. 2016년 7월 6일. 2016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9일에 확인함. 
  8.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6쪽. ISBN 978-9283204299. 
  9. Bruix J, Han KH, Gores G, Llovet JM, Mazzaferro V (April 2015). “Liver cancer: Approaching a personalized care”. 《Journal of Hepatology》 62 (1 Suppl): S144–S156. doi:10.1016/j.jhep.2015.02.007. PMC 4520430. PMID 25920083. 
  10. Mantovani A, Targher G (July 2017).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spotligh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nals of Translational Medicine》 5 (13): 270. doi:10.21037/atm.2017.04.41. PMC 5515814. PMID 28758096. 
  11. Bray F, Ferlay J, Soerjomataram I, Siegel RL, Torre LA, Jemal A (November 2018). “Global cancer statistics 2018: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68 (6): 394–424. doi:10.3322/caac.21492. PMID 30207593. S2CID 52188256. 
  12. Akinyemiju T, Abera S, Ahmed M, Alam N, Alemayohu MA, Allen C, 외. (December 2017). “The Burden of Primary Liver Cancer and Underlying Etiologies From 1990 to 2015 at th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 Result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JAMA Oncology》 3 (12): 1683–1691. doi:10.1001/jamaoncol.2017.3055. hdl:10037/11672. PMC 5824275. PMID 28983565. 
  13.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6쪽. ISBN 978-9283204299. 
  14. “SEER Stat Fact Sheets: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 Cancer”. 《NCI》. 2017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Bruix J, Han KH, Gores G, Llovet JM, Mazzaferro V (April 2015). “Liver cancer: Approaching a personalized care”. 《Journal of Hepatology》 62 (1 Suppl): S144–S156. doi:10.1016/j.jhep.2015.02.007. PMC 4520430. PMID 25920083. 
  16. Mantovani A, Targher G (July 2017).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spotligh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nals of Translational Medicine》 5 (13): 270. doi:10.21037/atm.2017.04.41. PMC 5515814. PMID 28758096. 
  17. Cholangiocarcinoma - eMedicine
  18. “Liver tumors in Children”. Boston Children's Hospital. 2011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