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흐 대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바깥 고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함수해석학]]에서, '''바나흐 대수'''(Banach代數, {{llang|en|Banach algebra}})는 [[바나흐 공간]]과 [[결합 대수]]의 구조를 서로 호환되게 갖춘 [[집합]]이다.<ref>{{cite book |이름1=Frank F. |성1=Bonsall |이름2=John|성2= Duncan | title=Complete normed algebras | publisher=Springer-Verlag | 날짜=1973 | isbn=978-3-642-65671-2|총서=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권=80|issn=0071-1136|doi=10.1007/978-3-642-65669-9|언어=en}}</ref><ref>{{cite book |이름=H. Garth|성= Dales |이름2=Pietro|성2= Aeina |이름3=Jörg |성3=Eschmeier |이름4=Kjeld|성4= Laursen |이름5=George A.|성5= Willis | title=Introduction to Banach Algebras, Operators and Harmonic Analysis | series=Cambridge University Press | 날짜=2003 | isbn=0-521-53584-0 |언어=en}}</ref><ref>{{cite book | 이름=Richard D. |성= Mosak | title=Banach algebras | series=Chicago Lectures in Mathematics | 날짜=1975 | isbn=0-226-54203-3 |언어=en}}</ref> 대표적인 예로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위의 [[연속 함수]] 공간이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공간이 있다.
[[함수해석학]]에서, '''바나흐 대수'''({{llang|en|Banach algebra}})는 [[노름]]과 [[곱셈]]을 갖춘 [[벡터 공간]]이다.


== 정의 ==
== 정의 ==
<math>\mathbb K\in\{\mathbb R,\mathbb C\}</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바나흐 대수''' <math>(X,+,0,\cdot,1,\|\|)</math>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주어진 [[집합]]이다.
'''바나흐 대수''' <math>(X,\cdot)</math>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하는 곱셈 <math>\cdot\colon X\times X\to X</math>이 갖추어진 [[바나흐 공간]] <math>X</math>이다. 임의의 <math>a,b,c\in X</math>에 대하여,
* <math>(X,+,0,\|\|)</math>는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이다.
* ([[결합법칙]]) <math>a\cdot(b\cdot c)=(a\cdot b)\cdot c</math>
* <math>(X,+,0,\cdot,1)</math>는 <math>\mathbb K</math>-[[결합 대수]]이다.
또한, [[바나흐 공간]]과 [[결합 대수]] 구조 사이에 다음과 같은 호환 조건이 주어져야 한다.
* ([[노름]] 부등식) <math>\Vert a\cdot b\Vert\le\Vert a\Vert\Vert b\Vert</math>.
* ([[노름]] 부등식) <math>\Vert a\cdot b\Vert\le\Vert a\Vert\Vert b\Vert</math>.


(일부 문헌에서는 바나흐 대수가 곱셈 항등원을 가져야 하는 조건을 생략한다.)
실수 또는 복소 바나흐 공간 둘 다 가능하다.

== 성질 ==
=== 환론적 성질 ===
'''겔판트-마주르 정리'''(Гельфанд-Mazur定理, {{llang|en|Gelfand-Mazur theorem}})에 따르면, 실수 바나흐 대수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나눗셈환]]이다.
* [[영역 (환론)|영역]]이며, 모든 [[주 아이디얼]]이 [[닫힌집합]]이다.
* <math>\mathbb R</math> ([[실수체]]) · <math>\mathbb C</math> ([[복소수체]]) · <Math>\mathbb H</math> ([[사원수 대수]])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복소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나눗셈환]]인 것은 <math>\mathbb C</math> 밖에 없다.

실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뇌터 가환환]]인 것은 유한 차원이다. 특히, 실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뇌터 가환환]]이며 [[정역]]인 것은 <math>\mathbb R</math>와 <math>\mathbb C</math> 밖에 없다.

복소수 바나흐 대수 <math>B</math>의 임의의 두 원소 <math>a,b\in B</math>에 대하여, <math>ab-ba\ne1</math>이다. (이는 <math>ab</math>와 <math>ba</math>의 [[스펙트럼 (함수해석학)|스펙트럼]]이 0을 제외하고 서로 같기 때문이다.)

=== 위상수학적 성질 ===
<math>\mathbb K</math>-바나흐 대수의 가역원군은 [[위상군]]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math>\mathbb K</math>-바나흐 대수 <Math>B</math>의 [[가역원군]] <math>\operatorname{Unit}(B)\subseteq B</math>는 <math>B</math>의 [[열린집합]]이며, 역원 함수
:<math>(-)^{-1}\colon\operatorname{Unit}(B)\to\operatorname{Unit}(B)</math>
는 [[연속 함수]]이다.

=== 스펙트럼 ===
{{본문|스펙트럼 (함수해석학)}}
임의의 <math>\mathbb K</math>-바나흐 대수 <math>B</math>의 원소 <math>b\in B</math>의 '''[[스펙트럼 (함수해석학)|스펙트럼]]'''은 다음과 같다.
:<math>\sigma(b)=\left\{\lambda\in\mathbb K\colon\nexists (\lambda-b)^{-1}\right\}</math>
이는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 겔판트 표현 ===
[[가환환|가환]] 복소수 바나흐 대수 <math>B</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집합 사이에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 <math>B</math>의 [[극대 아이디얼]]의 집합 <math>\operatorname{Max}(B)</math>
* (항등원을 보존하는) [[결합 대수]] [[준동형]] <math>B\to\mathbb C</math>의 집합 <math>\Delta(B)</math>. (이는 물론 [[전단사 함수]]이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극대 아이디얼 <math>\mathfrak m\in\operatorname{Max}(B)</math>에 대하여, <math>B/\mathfrak m</math>은 [[체 (수학)|체]]인 복소수 바나흐 대수이므로, <math>B/\mathfrak m\cong\mathbb C</math>이다. 따라서, 몫 준동형 <math>(/\mathbb m)\colon B\twoheadrightarrow B/\mathfrak m\cong\mathbb C</math>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math>B</math>의 [[극대 아이디얼]]은 '''지표'''(指標, {{llang|en|character}})라고도 한다.

임의의 지표 <math>\chi\in\Delta(B)</math>는 항상 [[연속 함수]]이다. (이는 그 [[핵 (수학)|핵]] <math>\mathfrak m\in\operatorname{Max}(B)</math>는 항상 [[닫힌집합]]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작용소 노름]]은 항상 1이다. 이에 따라, <math>\Delta(B)</math> 위에 점별 수렴 위상을 부여하면, <math>\Delta(B)</math>는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을 이룬다. 특히, 복소수 바나흐 대수 <math>\mathcal C^0(\Delta(B),\mathbb C)</math>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math>B</math>의 '''겔판트 표현'''(Гельфанд表現, {{llang|en|Gelfand representation}})은 다음과 같다.
:<math>\hat\;\colon B\to\mathcal C^0(\Delta(B),\mathbb C)</math>
:<math>\hat b\colon\chi\mapsto\chi(b)\qquad(b\in B,\;\chi\in\Delta(B))</math>
이는 [[결합 대수]] 준동형을 이루며, 또한 [[스펙트럼 (함수해석학)|스펙트럼]]을 보존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math>\sigma(b)=\sigma(\hat b)=\{\chi(b)\colon\chi\in\Delta(B)\}\subseteq\mathbb C\qquad\forall b\in B</math>
여기서 우변은 복소수 바나흐 대수 <math>\mathcal C^0(\Delta(B),\mathbb C)</math>에서 취한 스펙트럼이다.


== 예 ==
== 예 ==
=== 자명한 대수 ===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 위에 정의된 [[연속함수]]공간 <math>C^0(X,\mathbb R)</math> 또는 <math>C^0(X,\mathbb C)</math>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한원소 집합]] <math>\{\bullet\}</math>에 자명한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및 <math>\mathbb K</math>-[[결합 대수]] 구조
:<math>\|\bullet\|=0</math>
:<math>\bullet+\bullet=\bullet\cdot\bullet=\bullet</math>
를 주면, 이는 자명하게 <math>\mathbb K</math>-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 연속 함수 공간 ===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 위에 정의된 [[연속 함수]]공간 <math>\mathcal C^0(X,\mathbb K)</math> ([[균등 노름]] 및 점별 합과 곱에 대하여) <math>\mathbb K</math>-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 나눗셈 대수 ===
[[실수체]] <math>\mathbb R</math> · [[복소수체]] <math>\mathbb C</math> · [[사원수 대수]] <math>\mathbb H</math>는 모두 실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이 가운데 <math>\mathbb C</math>는 추가로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math>\mathbb R</math>와 <math>\mathbb H</math>는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루지 못한다.)

=== 유클리드 공간 ===
자연수 <Math>n\in\mathbb N</math>에 대하여, 유한 차원 <math>\mathbb K</math>-[[벡터 공간]] <Math>V=\mathbb K^n</math> 위에 1-노름
:<math>\|(a_1,\dotsc,a_n)\|=\max\{a_1,\dotsc,a_n\}</math>
및 성분별 곱
:<math>(a_1,\dotsc,a_n)\cdot(b_1,\dotsc,b_n)=(a_1b_1,\dotsc,a_nb_n)</math>
을 부여하면, 이는 [[가환환|가환]] <math>\mathbb K</math>-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그 [[가역원군]]은
:<math>\operatorname{Unit}(V)=(\mathbb K^\times)^n</math>
이다.

=== 유계 작용소 ===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math>V</math> 위의 <math>V\to V</math> [[유계 작용소]]들의 집합 <math>\operatorname B(V,V)</math>는 [[작용소 노름]]과 [[함수의 합성]]에 의하여 <math>\mathbb K</math>-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 C* 대수 ==
{{본문|C* 대수}}
모든 C* 대수는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 참고 문헌 ==
{{각주}}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 {{eom|title=Banach algebra}}
* {{eom|title=Banach algebra}}
* {{웹 인용|url=http://ncatlab.org/nlab/show/Banach+algebra|제목=Banach algebra|웹사이트=nLab|언어=en}}
* {{매스월드|id=BanachAlgebra|title=Banach algebra|이름=Mohammad Sal|=Moslehian}}
* {{매스월드|id=GelfandTransform|title=Gelfand algebra}}
* {{nlab|id=Banach algebra}}
* {{nlab|id=Gelfand-Mazur theorem}}


[[분류:함수해석학]]
[[분류:함수해석학]]

2017년 1월 29일 (일) 12:55 판

함수해석학에서, 바나흐 대수(Banach代數, 영어: Banach algebra)는 바나흐 공간결합 대수의 구조를 서로 호환되게 갖춘 집합이다.[1][2][3] 대표적인 예로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위의 연속 함수 공간이나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공간이 있다.

정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바나흐 대수 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주어진 집합이다.

  • -바나흐 공간이다.
  • -결합 대수이다.

또한, 바나흐 공간결합 대수 구조 사이에 다음과 같은 호환 조건이 주어져야 한다.

  • (노름 부등식) .

(일부 문헌에서는 바나흐 대수가 곱셈 항등원을 가져야 하는 조건을 생략한다.)

성질

환론적 성질

겔판트-마주르 정리(Гельфанд-Mazur定理, 영어: Gelfand-Mazur theorem)에 따르면, 실수 바나흐 대수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특히, 복소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나눗셈환인 것은 밖에 없다.

실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뇌터 가환환인 것은 유한 차원이다. 특히, 실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뇌터 가환환이며 정역인 것은 밖에 없다.

복소수 바나흐 대수 의 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이다. (이는 스펙트럼이 0을 제외하고 서로 같기 때문이다.)

위상수학적 성질

-바나흐 대수의 가역원군은 위상군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바나흐 대수 가역원군 열린집합이며, 역원 함수

연속 함수이다.

스펙트럼

임의의 -바나흐 대수 의 원소 스펙트럼은 다음과 같다.

이는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의 스펙트럼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겔판트 표현

가환 복소수 바나흐 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집합 사이에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 극대 아이디얼의 집합
  • (항등원을 보존하는) 결합 대수 준동형 의 집합 . (이는 물론 전단사 함수이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인 복소수 바나흐 대수이므로, 이다. 따라서, 몫 준동형 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극대 아이디얼지표(指標, 영어: character)라고도 한다.

임의의 지표 는 항상 연속 함수이다. (이는 그 는 항상 닫힌집합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작용소 노름은 항상 1이다. 이에 따라, 위에 점별 수렴 위상을 부여하면,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을 이룬다. 특히, 복소수 바나흐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겔판트 표현(Гельфанд表現, 영어: Gelfand representation)은 다음과 같다.

이는 결합 대수 준동형을 이루며, 또한 스펙트럼을 보존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여기서 우변은 복소수 바나흐 대수 에서 취한 스펙트럼이다.

자명한 대수

한원소 집합 에 자명한 -바나흐 공간-결합 대수 구조

를 주면, 이는 자명하게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연속 함수 공간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위에 정의된 연속 함수의 공간 은 (균등 노름 및 점별 합과 곱에 대하여)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나눗셈 대수

실수체 · 복소수체 · 사원수 대수 는 모두 실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이 가운데 는 추가로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는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루지 못한다.)

유클리드 공간

자연수 에 대하여, 유한 차원 -벡터 공간 위에 1-노름

및 성분별 곱

을 부여하면, 이는 가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그 가역원군

이다.

유계 작용소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들의 집합 작용소 노름함수의 합성에 의하여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 C* 대수

모든 C* 대수는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참고 문헌

  1. Bonsall, Frank F.; Duncan, John (1973). 《Complete normed algebras》.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80.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65669-9. ISBN 978-3-642-65671-2. ISSN 0071-1136. 
  2. Dales, H. Garth; Aeina, Pietro; Eschmeier, Jörg; Laursen, Kjeld; Willis, George A. (2003). 《Introduction to Banach Algebras, Operators and Harmonic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영어). ISBN 0-521-53584-0. 
  3. Mosak, Richard D. (1975). 《Banach algebras》. Chicago Lectures in Mathematics (영어). ISBN 0-226-54203-3.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