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미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55번째 줄: 55번째 줄:
만약 <math>X</math>가 [[킬링 벡터장]]이라면 (즉, <math>\nabla_\mu X_\nu = -\nabla_\nu X_\mu</math>), 이는 다음과 같이 더 간단해진다.
만약 <math>X</math>가 [[킬링 벡터장]]이라면 (즉, <math>\nabla_\mu X_\nu = -\nabla_\nu X_\mu</math>), 이는 다음과 같이 더 간단해진다.
:<math>(\mathcal L_X\psi)^i = X^\mu\nabla_\mu\psi^i - \frac14(\nabla_\mu X_\nu)\gamma^{\mu i}{}_j\gamma^{\nu j}{}_k\psi^k</math>
:<math>(\mathcal L_X\psi)^i = X^\mu\nabla_\mu\psi^i - \frac14(\nabla_\mu X_\nu)\gamma^{\mu i}{}_j\gamma^{\nu j}{}_k\psi^k</math>

== 일반화 리 미분 ==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매끄러운 다양체]] <math>B</math>와 <math>E</math> 및 그 [[접다발]] <math>\pi_{\mathrm TB}\colon\mathrm TB\twoheadrightarrow B</math>, <math>\pi_{\mathrm TE}\colon \mathrm TE\twoheadrightarrow E</math>
* [[매끄러운 함수]] <math>s\colon B\to E</math>
* <math>B</math> 위의 [[벡터장]] <math>X\in\Gamma(\mathrm TB)</math>
* <math>E</math> 위의 [[벡터장]] <math>Y\in\Gamma(\mathrm TE)</math>

그렇다면, <math>s</math>의, <math>(X,Y)</math> 방향의 '''일반화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은 [[매끄러운 함수]]이다.<ref name="KMS">{{서적 인용|last1 = Kolář|first1=Ivan|last2=Michor|first2=Peter|last3=Slovák|first3=Jan|url=http://www.emis.de/monographs/KSM/kmsbookh.pdf|title=Natural operations in differential geometry|날짜 = 1993|publisher = Springer-Verlag|doi=10.1007/978-3-662-02950-3|isbn=978-3-540-56235-1|zbl=0782.53013|언어=en}}</ref>{{rp|377, §47.4}}
:<math>\tilde{\mathcal L}_{X,Y}f\colon B\to \mathrm TE</math>
:<math>\tilde{\mathcal L}_{X,Y}f=\mathrm Tf\circ X-Y\circ f</math>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math>\tilde{\mathcal L}_{tX,tY}s=t\tilde{\mathcal L}_{X,Y}s\qquad\forall t\in\mathbb R</math>
:<math>\pi_{\mathrm TE}\circ\mathcal L_{X,Y}s=s</math>
즉,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이 성립한다.
:<math>\begin{matrix}
B&\xrightarrow{\tilde{\mathcal L}_{X,Y}s}&\mathrm TE\\
&{_{\!\!\!\!s}}\!\!\searrow\!\!{\color{White}\scriptstyle s\!\!\!\!}&{\scriptstyle\color{White}{\pi_{\mathrm TE}\!\!\!\!\!\!}}\downarrow\scriptstyle\pi_{\mathrm TE}\!\!\!\!\!\!\\
&&E
\end{matrix}</math>

만약 <math>X</math>와 <math>Y</math>의 흐름이 각각
:<math>\phi_X\colon (-\epsilon,\epsilon)\times B\to B</math>
:<math>\phi_X\colon(t,b)\mapsto\phi_{X,t}(b)</math>
:<math>\phi_Y\colon (-\epsilon,\epsilon)\times E\to E</math>
:<math>\phi_Y\colon(t,e)\mapsto\phi_{Y,t}(e)</math>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ref name="KMS"/>{{rp|377, §47.4}}
:<math>\mathcal L_{X,Y}s=\left.\frac{\mathrm d}{\mathrm dt}(\phi_{Y,-t}\circ s\circ\phi_{X,t})\right|_{t=0}</math>

=== 올다발의 경우 ===
특히, [[올다발]] <math>\pi_E\colon E\twoheadrightarrow B</math>가 주어졌으며, <math>B</math>와 <math>E</math>가 둘 다 [[매끄러운 다양체]]이며, <math>\pi_E</math>는 [[매끄러운 함수]]이며, 그 모든 올들이 서로 [[미분 동형]]인 [[매끄러운 다양체]]라고 하자. 또한, 그 [[단면 (올다발)|단면]] <math>s\in\Gamma_B(E)</math>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벡터장 <math>X\in\Gamma_B(\mathrm TB)</math>와 <math>Y\in\Gamma_E(\mathrm TE)</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리 미분
:<math>\mathcal L_{X,Y}s\colon B\to\mathrm TE</math>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올다발 <math>\pi_E\circ\pi_{\mathrm TE}\colon \mathrm TE\to B</math>의 단면이다.

추가로, 만약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math>\mathrm T\pi_E\circ Y=X\circ \pi_E</math>
즉, 다음 가환 그림이 성립한다고 하자.
:<math>\begin{matrix}
E&\xrightarrow{\pi_E}&B\\
{\scriptstyle Y}\downarrow{\scriptstyle\color{White}Y}&&{\scriptstyle\color{White}X}\downarrow\scriptstyle X\\
\mathrm TE&\xrightarrow[\mathrm T\pi_E]{}&\mathrm TB
\end{matrix}</math>
이 조건이 성립하는 벡터장 <math>Y</math>를 '''사영 가능 벡터장'''({{llang|en|projectable vector field}})이라고 한다.<ref name="GM">{{저널 인용|arxiv=math/0201235|제목=Reductive ''G''-structures and Lie derivatives|이름=Marco|성=Godina|이름2=Paolo|성2=Matteucci|doi=10.1016/S0393-0440(02)00174-2|저널=Journal of Geometry and Physics|권=47|날짜=2003|쪽=66–86|bibcode=2003JGP....47...66G|zbl=1035.53035|언어=en}}</ref>{{rp|§2}} 이러한 <math>Y</math>가 주어지면 <math>X</math>는
:<math>X^i|_{\pi(e)}=(\mathrm T\pi)_I^i|_{e,\pi(e)}Y^I|_e\qquad(e\in E)</math>
로 재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th>\mathcal L_{X,Y}</math>를 <math>\mathcal L_Y</math>로 표기할 수 있다.

그렇다면, <math>\tilde{\mathcal L}_Ys</math>는 사실 [[수직 벡터 다발]] <math>\mathrm VE\subseteq\mathrm TE</math>에 속함을 보일 수 있다.
:<math>\tilde{\mathcal L}_Ys\colon B\to \mathrm VE</math>

=== 벡터 다발의 경우 ===
특히, 위 경우에서 <math>\pi_E\colon E\twoheadrightarrow B</math>가 [[벡터 다발]]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 [[수직 벡터 다발]]은
:<math>\mathrm VE=E\times_BE</math>
이며, 이 경우
:<math>\tilde{\mathcal L}_Ys=(s,\mathcal L_Ys)</math>
의 꼴이다. 이 경우, <math>\mathcal L_Ys\colon B\to E</math>는 <math>E</math>의 단면이며, 이를 <math>s</math>의 '''리 미분'''이라고 한다.<ref name="KMS"/>{{rp|378, §47.5}}<ref name="GM"/>{{rp|Proposition 5.4}}


== 성질 ==
== 성질 ==

2016년 12월 20일 (화) 13:53 판

미분기하학에서, 리 미분(Lie微分, 영어: Lie derivative)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서 아핀 접속 없이 정의될 수 있는, 텐서장의 미분 연산이다.[1] 기호는 .

정의

리 미분은 임의의 텐서장 을, 임의의 벡터장 방향으로 미분하는 연산이다. 이는 추상적으로 일련의 공리들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또 대신 구체적으로 국소 좌표계를 통해 정의될 수도 있다.

공리적 정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매끄러운 벡터장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방향으로의 리 미분

은 임의의 매끄러운 차 텐서장 에 대하여 작용하여 매끄러운 차 텐서장 를 만드는 선형 변환이며,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산이다.

  • (함수의 리 미분) 함수((0,0)차 텐서) 에 대하여, 리 미분은 벡터장의 1차 미분 연산자로의 작용과 같다.
  • (함수 외미분과의 호환) 함수 에 대하여, 리 미분은 외미분과 가환한다.
  • (텐서곱과의 호환) 리 미분은 텐서곱에 대하여 곱규칙을 따른다.
  • (축약과의 호환) 리 미분은 축약에 대하여 곱규칙을 따른다. 즉, 임의의 벡터장 차 텐서장 에 대하여 (),

좌표 표현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자. 국소 좌표계 를 잡았을 때, 벡터 방향의, 차 텐서 리 미분은 다음과 같다.

또한, 비틀림이 없는 아핀 접속 의 경우, 위의 편미분을 공변 미분으로 치환하여도 상관없다. 리 미분은 아핀 접속에 의존하지 않는다.

스피너장의 리 미분

스핀 구조를 갖는 리만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 위의 스피너 다발 은 복소수 차원의 벡터 다발이다. 그렇다면, 스피너장 리 미분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국소 좌표계로 표기하면 이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 접다발 의 지표이다.
  • 스피너 다발 의 (복소수 성분) 지표이다.
  • 디랙 행렬이다.

스피너장의 리 미분은 리만 다양체의 리만 계량에 의존하지 않는다.

만약 킬링 벡터장이라면 (즉, ), 이는 다음과 같이 더 간단해진다.

일반화 리 미분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매끄러운 다양체 및 그 접다발 ,
  • 매끄러운 함수
  • 위의 벡터장
  • 위의 벡터장

그렇다면, 의, 방향의 일반화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은 매끄러운 함수이다.[2]:377, §47.4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즉,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이 성립한다.

만약 의 흐름이 각각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2]:377, §47.4

올다발의 경우

특히, 올다발 가 주어졌으며, 가 둘 다 매끄러운 다양체이며, 매끄러운 함수이며, 그 모든 올들이 서로 미분 동형매끄러운 다양체라고 하자. 또한, 그 단면 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벡터장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리 미분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올다발 의 단면이다.

추가로, 만약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즉, 다음 가환 그림이 성립한다고 하자.

이 조건이 성립하는 벡터장 사영 가능 벡터장(영어: projectable vector field)이라고 한다.[3]:§2 이러한 가 주어지면

로 재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로 표기할 수 있다.

그렇다면, 는 사실 수직 벡터 다발 에 속함을 보일 수 있다.

벡터 다발의 경우

특히, 위 경우에서 벡터 다발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 수직 벡터 다발

이며, 이 경우

의 꼴이다. 이 경우, 의 단면이며, 이를 리 미분이라고 한다.[2]:378, §47.5[3]:Proposition 5.4

성질

미분 동형 사상과의 관계

리 미분의 개념은 벡터장을 무한소 미분 동형 사상으로 간주하여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리 군 가 매끄럽게 작용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벡터장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이제, 임의의 벡터장 및 매끄러운 함수 에 대하여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극한을 계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1차 미분 형식 에 대하여, 당김

을 정의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극한을 계산할 수 있다.

함수의 리 미분

함수 에 대하여, 리 미분은 그냥 단순한 미분이다. 즉,

이다.

벡터의 리 미분

벡터장의 경우, 리 미분은 리 괄호가 된다.

이 경우, 야코비 항등식에 따라 리 미분은 리 괄호에 대해 곱규칙을 따른다.

미분 형식의 리 미분

미분 형식 차 텐서로 간주하여 그 리 미분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 공식을 카르탕 마법 공식(Cartan魔法公式, 영어: Cartan’s magic formula)이라고 한다.

여기서 내부곱(영어: interior product)을 나타낸다.

미분 형식에 대하여,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을 만족시킨다.

대칭 (0,2)차 텐서장

대칭 (0,2)차 텐서장 (예를 들어, 리만 계량)의 경우,

이다.

특히, 만약 리만 계량 로 유도되는 아핀 접속을 사용할 경우, 이며, 따라서

이다. 위 표현이 0이 되게 하는 벡터장 킬링 벡터장이라고 한다.

역사

1931년에 폴란드의 수학자 브와디스와프 실레보진스키가 도입하였다.[4][5] 다비트 판 단지흐(네덜란드어: David van Danzig, 1900~1959)가 1932년에 소푸스 리의 이름을 따 이 연산을 "리 미분"(독일어: Liesche Ableitung)이라고 명명하였다.[6]:536, §3 판 단치흐는 이 연산을 로 표기하였다.

이와 독자적으로, 벨기에의 물리학자 레옹 로젠펠드(프랑스어: Léon Rosenfeld, 1904~1974)는 일반 상대성 이론을 다루는 동안 이와 유사한 연산을 도입하였다.[7] 로젠펠드는 이를 "국소 변화"(프랑스어: variation locale)이라고 불렀으며, 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오늘날의 와 사실상 같다.[5]:§3

1963년에 앙드레 리크네로비츠(프랑스어: André Lichnerowicz)가 스피너장의, 킬링 벡터장 방향의 리 미분을 정의하였고,[8] 이후 1972년에 이베트 코스만슈와르즈바크(프랑스어: Yvette Kosmann-Schwarzbach)가 이를 임의의 벡터장 방향에 대하여 일반화하였다.[9]

참고 문헌

  1. Yano, Kentaro (1957). 《The theory of Lie derivatives and its applications》. Bibliotheca Mathematica (영어) 3. North-Holland. ISBN 978-0-7204-2104-0. 
  2. Kolář, Ivan; Michor, Peter; Slovák, Jan (1993). 《Natural operations in differential geometry》 (PDF)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62-02950-3. ISBN 978-3-540-56235-1. Zbl 0782.53013. 
  3. Godina, Marco; Matteucci, Paolo (2003). “Reductive G-structures and Lie derivatives”. 《Journal of Geometry and Physics》 (영어) 47: 66–86. arXiv:math/0201235. Bibcode:2003JGP....47...66G. doi:10.1016/S0393-0440(02)00174-2. Zbl 1035.53035. 
  4. Ślebodziński, Władysław (1931). “Sur les équations canoniques de Hamilton”. 《Bulletin de la Classe des Sciences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des lettres et des beaux-arts de Belgique》 (프랑스어) 17: 864–870. JFM 57.0498.02. 
  5. Trautman, Andrzej (2009). 〈Remarks on the history of the notion of Lie differentiation〉 (PDF). Krupková, Olga; Saunders, David. 《Variations, geometry and physics. In honor of Demeter Krupka’s sixty fifth birthday》 (영어). Nova Science Publishers. 255–259쪽. ISBN 978-1-60456-920-9. Zbl 1208.53019. 
  6. van Dantzig, David (1932년 4월 30일). “Zur allgemeinen projektiven Differentialgeometrie. II. Xn+1 mit eingliedriger Gruppe” (PDF). 《Proceedings of the Section of Sciences, Koninklijke Akademie van Wetenschappen te Amsterdam》 (독일어) 35 (4): 535–542. 
  7. Rosenfeld, Léon (1940). “Sur le tenseur d’impulsion-énergie”. 《Mémoires de la Classe des sciences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des lettres et des beaux-arts de Belgique》 (프랑스어) 18 (6): 1–30. JFM 66.1142.03. Zbl 0024.37801. 
  8. Lichnerowicz, André (1963년 7월 1일). “Spineurs harmoniques”.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257 (1): 7–9. Zbl 0136.18401. 
  9. Kosmann, Yvette (1972). “Dérivées de Lie des spineurs”. 《Annali di Matematica Pura ed Applicata》 (프랑스어) 91 (4): 317–395. doi:10.1007/BF02428822.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