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에탈 코호몰로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4번째 줄: 54번째 줄:
| volume=569
| volume=569
}}
}}
* {{책 인용|이름=Günter|성=Tamme|제목=Introduction to étale cohomology|날짜=1994|언어고리=en}}
* {{책 인용|이름=Günter|성=Tamme|제목=Introduction to étale cohomology|날짜=1994|출판사=Springer|zbl=0815.14012|기타=Manfred Kolster 역|총서=Universitext|issn=0172-5939|doi=10.1007/978-3-642-78421-7|isbn=978-3-540-57116-2|언어고리=en}}
* {{책 인용|제목=Etale cohomology and the Weil conjecture|이름=Eberhard|성=Freitag|공저자=Reinhardt Kiehl|총서=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권=13|issn=0071-1136|출판사=Springer|isbn=978-3-662-02543-7|doi=10.1007/978-3-662-02541-3|날짜=1988|언어고리=en}}
* {{책 인용|제목=Etale cohomology and the Weil conjecture|이름=Eberhard|성=Freitag|공저자=Reinhardt Kiehl|총서=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권=13|issn=0071-1136|출판사=Springer|isbn=978-3-662-02543-7|doi=10.1007/978-3-662-02541-3|날짜=1988|언어고리=en}}



2014년 9월 21일 (일) 07:34 판

대수기하학에서, 에탈 코호몰로지(영어: étale cohomology)는 스킴 위에서 정의되는 코호몰로지이다. 스킴의 경우, 자리스키 위상을 사용하면 표준적인 코호몰로지 이론(특이 코호몰로지, 체흐 코호몰로지)들은 잘 작동하지 않는데, 에탈 코호몰로지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한다.

정의

스킴 에 대하여, 작은 에탈 위치(영어: small étale site)는 위치(그로텐디크 위상을 갖춘 범주)이다. 범주로서, 의 대상들은 공역으로 하는 에탈 사상 들이며, 사상들은 이와 호환되는 사상들 이다. 이 위의 그로텐디크 위상은 에탈 사상들의 전사 집합들 을 덮개로 삼는다.

범주 값을 갖는 위의 에탈 준층(영어: étale presheaf)은 함자 이다. 에탈 (영어: étale sheaf)은 층 공리를 만족시키는 에탈 준층이다. 값을 갖는, 위의 에탈 층들의 범주를 라고 쓰자.

아벨 군 값을 갖는, 위의 에탈 층 에탈 코호몰로지 군 는 단면 함자(영어: section functor)

의 오른쪽 번째 유도 함자이다.

특히,

이다.

스킴 아벨 군 가 주어졌을 때, 계수를 갖는 에탈 코호몰로지 군 는 상수층 의 에탈 코호몰로지 군 이다. (다만, 일 때, 통상적으로 과 다른, ℓ진 코호몰로지를 나타낸다.)

ℓ진 코호몰로지

ℓ진 코호몰로지(영어: ℓ-adic cohomology)는 유한체에 대한 대수다양체에 대하여 널리 사용되는 코호몰로지로, 에탈 코호몰로지를 약간 변형한 것이다. 이 경우, 은 유한체의 표수 와 다른 소수이다.

소수 에 대하여, 대수다양체 진 코호몰로지 군 은 다음과 같은 역극한이다.

여기서 역극한은 코호몰로지와 가환하지 않는다. 즉, 진 정수 의 상수층의 코호몰로지와 일반적으로 다르다.

성질

가 비특이 복소 대수다양체이고, 이 대응하는 복소다양체라고 하자. 그렇다면, 유한체 계수의 에탈 코호몰로지는 특이 코호몰로지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진 코호몰로지는 p진 정수 계수의 특이 코호몰로지와 일치한다.

하지만 정수 계수의 에탈 코호몰로지는 일반적으로 특이 코호몰로지와 다르다.

에 대하여, 그 스펙트럼 의 에탈 코호몰로지는 그 갈루아 코호몰로지와 일치한다.

여기서 절대 갈루아 군이며, 의 분리 가능 폐포(영어: separable closure)이며, 우변의 군 코호몰로지이다.

역사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유한체에 대한 대수다양체에 대한 일련의 추측들인 베유 추측을 증명하기 위하여 1960년에 도입하였다.[1]

참고 문헌

  1. Grothendieck, Alexander (1960). 〈The cohomology theory of abstract algebraic varieti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Edinburgh, 195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118쪽. MR 0130879.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