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 호몰로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math>n</math>차원 특이 단체 <math>\sigma_n\colon\Delta^n\to X</math>의 '''경계'''(境界, {{lang|en|boundary}}) <math>\partial_n\sigma_n\in C_{n-1}(X)</math>는 다음과 같다.
<math>n</math>차원 특이 단체 <math>\sigma_n\colon\Delta^n\to X</math>의 '''경계'''(境界, {{lang|en|boundary}}) <math>\partial_n\sigma_n\in C_{n-1}(X)</math>는 다음과 같다.
:<math>\partial_n\sigma_n=\sum_{k=1}^n(-1)^k\sigma|_{[p_0,\dots,\hat p_k,\dots,p_n]}</math>.
:<math>\partial_n\sigma_n=\sum_{k=1}^n(-1)^k\sigma|_{[p_0,\dots,\hat p_k,\dots,p_n]}</math>.
경계 연산자 <math>\partial_n</math>는 특이 단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슬에 대해서도 선형으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다. 즉 <math>\partial_n\colon C_n\to C_{n-1}</math>이다. 이는 [[아벨 군]]의 [[군 준동형사상]]을 이룬다. 또한, <math>\partial_{n-1}\circ\partial_n\colon C_n(X)\to C_{n-2}(X)</math>는 항상 0이다. 따라서 <math>(C_\bullet(X),\partial_\bullet)</math>은 [[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사슬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호몰로지]] 군
경계 연산자 <math>\partial_n</math>는 특이 단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슬에 대해서도 선형으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다. 즉 <math>\partial_n\colon C_n\to C_{n-1}</math>이다. 이는 [[아벨 군]]의 [[군 준동형]]을 이룬다. 또한, <math>\partial_{n-1}\circ\partial_n\colon C_n(X)\to C_{n-2}(X)</math>는 항상 0이다. 따라서 <math>(C_\bullet(X),\partial_\bullet)</math>은 [[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사슬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호몰로지]] 군
:<math>H_n(X)=\ker\partial_n/\operatorname{im}\partial_{n+1}</math>
:<math>H_n(X)=\ker\partial_n/\operatorname{im}\partial_{n+1}</math>
들을 '''특이 호몰로지'''라고 한다.
들을 '''특이 호몰로지'''라고 한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 특이 코호몰로지 ==
== 특이 코호몰로지 ==
<math>X</math> 위의 '''공사슬'''({{lang|en|cochain}})은 [[군 준동형사상]] <math>\phi^n\colon C_n(X)\to \mathbb Z</math>이다. 공사슬의 집합은 [[아벨 군]]을 이루며, <math>C^n(X)=\hom(C_n,\mathbb Z)</math>으로 쓴다. 공사슬의 '''공경계'''({{lang|en|coboundary}}) <math>\delta_n\colon C^n\to C^{n+1}</math>은 다음과 같다.
<math>X</math> 위의 '''공사슬'''({{lang|en|cochain}})은 [[군 준동형]] <math>\phi^n\colon C_n(X)\to \mathbb Z</math>이다. 공사슬의 집합은 [[아벨 군]]을 이루며, <math>C^n(X)=\hom(C_n,\mathbb Z)</math>으로 쓴다. 공사슬의 '''공경계'''({{lang|en|coboundary}}) <math>\delta_n\colon C^n\to C^{n+1}</math>은 다음과 같다.
:<math>\delta_n(\phi^n)(\sigma_{n+1})=\phi^n(\partial_{n+1}\sigma_{n+1})</math>.
:<math>\delta_n(\phi^n)(\sigma_{n+1})=\phi^n(\partial_{n+1}\sigma_{n+1})</math>.
<math>(C^\bullet(X),\delta_\bullet)</math>은 [[공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코호몰로지]] 군
<math>(C^\bullet(X),\delta_\bullet)</math>은 [[공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코호몰로지]] 군

2015년 4월 24일 (금) 08:41 판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특이 호몰로지(特異homology, 영어: singular homology 싱귤러 호몰로지[*])는 단체를 사용하여 정의하는 호몰로지 이론이다.

정의

특이단체

차원 표준 단체(標準單體, standard simplex) 은 다음과 같다.

.

이는 선분삼각형, 사면체를 일반화한 것이다.

위상 공간이라고 하자. 위의 차원 특이 단체(特異單體, singular complex)는 연속 함수 를 뜻한다. 위의 차원 사슬(chain)은 모든 차원 특이 단체로 의하여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의 원소다. 이 아벨 군을 이라고 쓰자.

경계 연산자

표준 단체 의 꼭짓점들을 이라고 하자. 표준 단체 의 경계는 그 면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은 개의 꼭짓점 가운데 하나씩을 제외하여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 꼴이다. 이를 편의상

로 쓰자.

차원 특이 단체 경계(境界, boundary) 는 다음과 같다.

.

경계 연산자 는 특이 단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슬에 대해서도 선형으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다. 즉 이다. 이는 아벨 군군 준동형을 이룬다. 또한, 는 항상 0이다. 따라서 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사슬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호몰로지

들을 특이 호몰로지라고 한다.

정수가 아닌 계수를 가진 특이 호몰로지

아벨 군 에 대한 자유 가군이다. 환 를 다른 일반적인 (1을 포함하는) 환 로 대체하여 호몰로지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은 자유 -가군이 되고, 은 (일반적으로 자유롭지 않은) -가군이 된다.

특이 코호몰로지

위의 공사슬(cochain)은 군 준동형 이다. 공사슬의 집합은 아벨 군을 이루며, 으로 쓴다. 공사슬의 공경계(coboundary) 은 다음과 같다.

.

공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코호몰로지

들을 특이 코호몰로지(singular cohomology)라고 한다.

차원 의 특이 호몰로지 군은 다음과 같다.

, ()
, ()

원환면

차원 원환면 의 특이 호몰로지 군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이항계수로, 인 경우 0으로 정의한다.

사영 공간

복소 사영 공간 의 특이 호몰로지 군은 다음과 같다.

(, )
( 또는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