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시리아
기원전 2450년~609년
 

 

문장
문장
중기 아시리아 제국 시대의 영토
중기 아시리아 제국 시대의 영토
신 아시리아 제국 시대의 영토
신 아시리아 제국 시대의 영토
수도아수르
니네베
하란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샤르 샤라니
기원전 2450년 ~ 2400년
기원전 612년 ~ 609년

투디야
아슈르발리트 2세
역사
 • 아슈르-단 2세 치세
 • 니네베 전투
 • 므깃도 전투
기원전 934년
기원전 612년
기원전 609년
인문
공용어아카드어, 아람어
데모님아시리아인
민족
종교
종교메소포타미아 종교
고대 아시리아의 유적

아시리아(아카드어: 𒀸𒋩)는 중동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존재하던 제국이다.[1] 앗수르 또는 앗시리아라고도 한다. 기원전 2450년부터 기원전 609년까지, 다시 말해 대략 전·중기 청동기 시대에서 시작해 후기 철기 시대까지 존속했다.[2][3] 시기에 따라 크게 초기 아시리아(2500–2025 BC), 구아시리아 제국(2025–1378 BC), 중아시리아 제국(1392–934 BC), 신아시리아 제국(911–605 BC)으로 나뉜다. 주로 셈어를 사용하는 북부 메소포타미아 티그리스강 유역에 자리잡고 있었는데, 현대에 이르러서는 이라크·시리아·터키·이란에 옛 영토가 남아 있다.

본래 '아시리아'라는 단어는 티그리스강 상류 지역을 부르는 말이었으며, BC 2000년 경에 세워진 고대 도시이자 수도였던 아수르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나중에는 북부 메소포타미아 전체, 이집트, 아나톨리아까지 지배하는 대제국으로 성장했다. 아시리아 본토는 메소포타미아 북부 전체(남부는 바빌로니아)에 해당하며, 니네베를 수도로 삼았다.

아시리아인의 고향은 티그리스강에서 아르메니아에 이르는 산악 지방이며 "아슈르의 산(Mountains of Ashur)"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시리아의 왕들은 세 차례에 걸쳐 역사상 의미 있는 대제국을 형성했는데, 각각 고대 아시리아 제국, 중기 아시리아 제국, 신아시리아 제국(제국 또는 기)으로 분류한다. 그 중에서 가장 강력하고 잘 알려져 있는 것이 기원전 934년~기원전 609년[4] 또는 기원전 911년~기원전 612년[5]신아시리아 제국이다.

역사[편집]

초기 (기원전 2600~2025년)[편집]

아시리아의 중심 도시 아슈르를 위시한 일부 도시들은 기원전 2600년 경에 수메르인들에 의해 설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26세기 말 메소포타미아의 유력 수메르 도시국가 라가시에안나툼은 "쏘는 수바르투"를 언급하는데, 이 때 수바르투는 아시리아에 대한 수메르어 명칭이다. 기원전 25세기에는 수메르 도시국가 아다브루갈안네문두의 기록에 수바르투가 공물을 바쳤다고 적는다.

초기 아시리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6] 아시리아 왕 목록(AKL)은 투디야가 최초의 왕이었다고 전한다. 조르주 루는 투디야를 기원전 2450년경의 인물로 간주한다. 에블라에서 실제로 투디야와 에블라 사이에 맺은 조약이 발굴됨에 따라 역사적 실존 인물이었음이 밝혀졌다.

아시리아 왕 목록에 따르면 투디야의 뒤를 이은 것은 아다무인데, 이는 셈어계 이름인 '아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7] 이후 왕들에 대한 기록은 아시리아 왕 목록을 제외하면 아모리족함무라비의 가계에 한 번 등장할 뿐인데, 이름들만 베껴온 것으로 본다.

아시리아 왕 목록에서는 처음 17대 왕까지 천막에서 거주했다고 적는다. 이들은 처음에는 반유목민과 같은 생활사를 가지다가, 기원전 21세기 중반쯤에 이르러서는 아슈르에 도시국가를 세울 정도로 도시화되었다.[8]

아카드 제국과 신 수메르 제국(우르 제3왕조) (기원전 2334~2050년)[편집]

아카드 제국이 존재하는 기원전 2334~2154년 동안 아시리아는 다른 메소포타미아 내 아카드어족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아카드 제국 밑에 도시국가로서 지배받았다. 사르곤 대왕은 아시리아를 아카드 제국의 북쪽 변방으로 삼았는데, 처음에 수메르어로 "수바르투"라 기록되던 아시리아는 곧 수메르인들이 아카드에 흡수되며 아카드어로 "아즈히눔"이라 기록된다.[9][10][11]

제국이 소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등으로 확장할 때 아시리아와 아슈르는 제국의 종교적 중심지로 거듭난다.[12] 아시리아는 기원전 2350년경 히타이트의 기록에도 등장하여 당시 소아시아와의 교역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리아를 비롯한 아카드 제국의 교역은 쐐기 문자를 소아시아와 레반트 지역에 전파하는데 기여하였다. 사르곤 대왕 치세 말기에 이르러서는 아시리아에서 아카드에 반기를 드는 세력들이 나타나지만, 곧 진압된다.[12]

우르 제3왕조. 왼쪽이 남쪽이고 오른쪽이 북쪽이다.

아카드 제국은 경제적 쇠퇴와 내전으로 내홍을 겪다가 기원전 2154년에 구티족의 침입을 계기로 멸망한다. 구티족이 메소포타미아 남부만 다스렸으므로 아시리아는 이로부터 기원전 2112년까지 독립적 도시국가 상태를 유지한다.

아시리아의 대부분은 기원전 2112년에 설립된 수메르계 왕조인 우르 제3왕조에 소속된다. 수메르인의 지배는 아슈르까지 미쳤으나 니네베가 위치한 북방에는 이르지 못한다. 아슈르는 기원전 2050년까지는 우르 제3왕조의 지배를 받았지만, 그 이후로는 제국의 가신이라는 새로운 지위로 어느 정도 자치권을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13][14]

고대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2025~1522년)[편집]

아시리아 제국은 크게 고대, 초기, 중기, 그리고 신(新)아시리아제국의 4기로 분류한다. 고대 아시리아 제국은 이들 중 가장 먼저 존재했던 시기이다.

자치적인 정주 민족의 도시국가로서 아시리아의 첫째 통치자는 기원전 2080년경의 우쉬피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슈르에 동명의 신 아슈르를 위한 신전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이후 술릴리, 키이키아, 아키이아가 그 뒤를 이었는데 키키야가 아슈르에 건물 몇 개를 세웠다는 사실 외에는 특별히 알려진 바가 없다. 우르의 지배자로 알려진 아마르신도 아시리아를 다스린 적이 있다고 본다.[16]

기원전 2025년 경, 푸주르아슈르 1세가 왕위에 오른다. 그가 우쉬피아의 자손인지 아니면 새 왕조의 창시자인지는 불분명하다. 우쉬피아와 마찬가지로 아슈르에 건축사업을 벌였으며, 그 후손들은 '아슈르의 총독'이라는 의미의 '이시악 아슈르'라 불린다. 이 시기부터 아시리아는 카룸이라는 이름의 교역기지를 아나톨리아후르리인히타이트인의 땅에 확장하기 시작한다.[17] 푸주르아슈르의 후임자는 기원전 2000년경의 샬룸아훔이다. 샬룸아훔은 당대의 사료에서 확인 가능한최초의 왕이다.[18] 그 뒤를 이은 일루슈마는 남쪽에 있는 메소포타미아의 도시들을 정벌한다. 또한 동쪽의 엘람과 서쪽의 아모리로부터 동족을 수호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있다.

"나는 아카드 민족과 그 자녀의 자유를[nb 1] 세웠도다. 구리를 정련하였도다. 습지의 경계부터 우르, 니푸르, 이스타란 신의 데르를 아슈르와 더불어 지켜냈노라."[19]:7–8

그는 앗수르에 이슈타르의 옛 신전을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의 뒤를 이어 또 다른 강력한 왕인 에리슘 1세(1973–1934 BC)가 즉위했다. 에리숨 1세는 아시리아 최초의 법전을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있다.[20] 또한 아나톨리아에서 아시리아 교역기지 카룸을 크게 확장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총 21개의 기지가 새로 세워졌다. 카룸은 주석, 직물, 라피스 라줄리, 철, 안티몬, 구리, 청동, 양모, 곡물 등을 가지고 가 금과 은으로 맞바꾸었다. 에리숨은 또한 수많은 기록을 남겼으며, 아시리아에서 아슈르, 이슈타르, 아다드에 신전을 짓는 등 주요 건축 작업을 수행했다.[21]

이러한 정책들은 이쿠눔(1933~1921 BC), 사르곤 1세 (1920~1881 BC), 푸주르아슈르 2세 (1880~1873 BC)의 치세에서도 지속되었다.[22] 나람수엔(1830 - 1815 BC)은 후에 왕이 되는 샴시아닷 1세의 찬탈 시도를 물리쳤지만, 나람수엔의 아들 에리슘 2세대에 찬탈되어 1809년 푸주르아슈르 1세가 세운 왕조가 막을 내렸다.

샴시아닷 1세(1808 ~ 1776 BC)는 본인을 우쉬피아 아시리아의 후손으로 받아들여지길 원했으나, 이미 테르카의 통치자였고, 후대에도 외국 아모리족 침략자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그는 메소포타미아의 북반부, 아나톨리아 동부와 남부, 레반트의 대부분을 제국에 편입시켜 고대 아시리아 제국을 크게 확장시켰고, 지중해 동부 해안까지 서쪽으로 진군했다.[23]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이쉬메-다간 1세(1775~1763 BC)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와 레반트에서 마리에쉬눈나에 이르는 땅을 잃었다. 당대까지 보잘것없는 도시 국가였던 바빌론을 제국으로 발전시킨 함무라비와 결혼 동맹도 맺었다.

지도[편집]

v  d  e  h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들
  : 수메르의 도시[24]
  : 엘람의 도시
  : 아카드 제국의 도시
  : 아모리인의 도시
  : 바빌로니아의 도시
  : 아시리아의 도시
  : 현대의 이라크 · 이란의 도시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Georges Roux - Ancient Iraq
  2. Munn-Rankin, J.M. (1975). 〈Assyrian Military Power, 1300–1200 BC〉. Edwards, I.E.S. 《Cambridge Ancient History》. 2, Part 2, History of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c. 1380–1000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7–88, 298쪽. 
  3. Morgan, Christopher (2006). Chavalas, Mark William, 편집. 《The Ancient Near East: Historical Sources in Translation》. Blackwell. 145–52쪽. 
  4. Parpola, Simo (2004).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in the Neo-Assyrian Empire and Assyrian Identity in Post-Empire Times” (PDF). 《Assyriology》. Journal of Assyrian Academic Studies, Vol 18, N0. 2. 2011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The Neo-Assyrian Empire (934-609 BC) was a multi-ethnic state composed of many peoples and tribes of different origins. 
  5. Chart of World Kingdoms, Nations and Empires — All Empires
  6.  One or more of the preceding sentences incorporates text from a publication now in the public domainEaston, Matthew George (1897). 〈Assyria〉. 《Easton's Bible Dictionary》 New a revis판. T. Nelson and Sons. 
  7. Hamilton, Victor (1995).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Wm. B. Eerdmans Publishing. ISBN 978-0-8028-2521-6.
  8. Saggs 1984, 24쪽.
  9. “Prehistory and Protohistory of the Arabian Peninsula: Bahrain”. 《M. A. Nayeem》. 1990. 32쪽. 
  10. Deutscher, Guy (2007). 《Syntactic Change in Akkadian: The Evolution of Sentential Complemen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21쪽. ISBN 978-0-19-953222-3. 
  11. Woods C. 2006 "Bilingualism, Scribal Learning, and the Death of Sumerian". In S.L. Sanders (ed) Margins of Writing, Origins of Culture: 91–120 Chicago [1] Archived 2013년 4월 29일 - 웨이백 머신
  12. Malati J. Shendge (1997). 《The Language of the Harappans: from Akkadian to Sanskrit》. Abhinav Publications. 46쪽. ISBN 978-81-7017-325-0. 
  13. “The Invention of Cuneiform: Writing in Sumer”. 《Jean-Jacques Glassner》. 1990. 7쪽. 
  14. “Area Handbook for the Persian Gulf States”. 《Richard F. Nyrop》. 2008. 11쪽. From about 4000 to 2000 B.C. the civilization of Dilmun dominated 250 miles of the eastern coast of Arabia from present-day Kuwait to Bahrain and extended sixty miles into the interior to the oasis of Hufuf (see fig. 2). 
  15. Poebel, Arno (1942). "The Assyrian King List from Khorsabad,"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1/3, 253.
  16. Albert Kirk Grayson (2002). 《Assyrian Rulers. Volume 1: 1114 – 859 BC》. 14쪽. 
  17. Meissner, Bruno (1990).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6. Berlin: Walter de Gruyter. 101–102쪽. ISBN 3110100517. 
  18. J. A. Brinkman (2001). "Assyria". In Bruce Manning Metzger, Michael David Coogan (ed.).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p. 63
  19. A. K. Grayson (1972). 《Assyrian Royal Inscriptions, Volume 1》. Otto Harrassowitz. ISBN 9783447013826. 
  20. A. K. Grayson (1972). Assyrian Royal Inscriptions, Volume 1. Otto Harrassowitz. pp. 8–15, 20, 84–85.
  21. Reade, Julian E. (2001). “A monument of Erišum I from Aššur”. 《Revue d'Assyriologie et d'Archéologie Orientale》 94 (2001/2): 177–178. doi:10.3917/assy.094.0177 – Cairn.info 경유. 
  22. Bromiley, Geoffrey (1996년 12월 31일).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Revis판. William B Eerdmans. ISBN 978-0-8028-3784-4. 
  23. Roux, Georges (27 Aug 1992). Ancient Iraq. Penguin Books Limited. ISBN 978-0140125238.
  24.  위 지도에는 우바이드(30°58′N 46°05′E)와 우르(30°57′N 46°06′E)가
     같은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내용주
  1. Freedom=addurāru.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