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티딘
이름 | |
---|---|
IUPAC 이름
4-amino-1-[(2R,3R,4S,5R)-3,4-dihydroxy-5-(hydroxymethyl)oxolan-2-yl]pyrimidin-2(1H)-one
| |
체계명
4-amino-1-β-D-ribofuranosyl-2(1H)-pyrimidinone[1] 4-amino-1-[3,4-dihydroxy-5-(hydroxymethyl)tetrahydrofuran-2-yl]pyrimidin-2-on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0.555 |
KEGG | |
MeSH | Cytidine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9H13N3O5 | |
몰 질량 | 243.217 |
겉보기 | white, crystalline powder[2] |
녹는점 | 230 °C (decomposes)[1] |
자화율 (χ)
|
-123.7·10−6 cm3/mol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사이티딘(영어: cytidine)은 사이토신이 β-N1-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리보스와 연결되어 있는 뉴클레오사이드의 한 종류이다. 사이티딘은 RNA의 구성 요소이다.
사이토신이 디옥시리보스와 결합되어 있으면 디옥시사이티딘이 된다.
특성
[편집]사이티딘은 흰색의 결정성 분말이다.[3] 사이티딘은 물에 매우 잘 녹고, 에탄올에는 약간만 용해된다.[4]
식이 공급원
[편집]사이티딘의 식이 공급원으로는 맥주와 같은 피리미딘이 풍부한 식품 뿐만 아니라 내장육, 맥주 효모와 같은 높은 RNA(리보핵산) 함량을 가진 식품들이 있다.[5] 소화 과정에서 RNA가 풍부한 식품은 리보실 피리미딘(사이티딘 및 유리딘)으로 분해되어 흡수된다.[5] 사람의 경우, 식이로 섭취된 사이티딘은 유리딘으로 전환되며,[6] 이것은 아마도 사이티딘의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사이티딘 유사체
[편집]약리학에서 잠재적으로 유용한 다양한 사이티딘 유사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KP-1461은 바이러스성 돌연변이원으로 작용하는 항 HIV 제제이고,[7] 제불라린은 대장균에 존재하며 항암 화학 요법에 사용하기 위해 시험 중에 있다. 사이티딘 유사체인 아자시티딘과 데시타빈은 적은 양으로도 후성유전적인 탈메틸화를 통해 항암효과를 보여주었다.[8]
생물학적 작용
[편집]사이티딘은 RNA의 피리미딘 성분으로서의 역할 외에도 뉴런과 신경 아교 세포 간의 글루탐산의 순환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대뇌 전두엽의 글루탐산/글루타민의 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보충하였다.[9] 이처럼 사이티딘은 잠재적인 글루탐산계 항우울제로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9]
각주
[편집]- ↑ 가 나 William M. Haynes (2016).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7판. Boca Raton: CRC Press. 3–140쪽. ISBN 978-1-4987-5429-3.
- ↑ Robert A. Lewis, Michael D. Larrañaga, Richard J. Lewis Sr. (2016). 《Hawley's Condensed Chemical Dictionary》 16판.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688쪽. ISBN 978-1-118-13515-0.
- ↑ Robert A. Lewis, Michael D. Larrañaga, Richard J. Lewis Sr. (2016). Hawley's Condensed Chemical Dictionary (16th ed.).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p. 688. ISBN 978-1-118-13515-0.
- ↑ William M. Haynes (2016).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7th ed.). Boca Raton: CRC Press. p. 3–140. ISBN 978-1-4987-5429-3.
- ↑ 가 나 Jonas DA; Elmadfa I; Engel KH; 외. (2001). “Safety considerations of DNA in food”. 《Ann Nutr Metab》 45 (6): 235–54. doi:10.1159/000046734. PMID 11786646.
- ↑ Wurtman RJ, Regan M, Ulus I, Yu L (Oct 2000). “Effect of oral CDP-choline on plasma choline and uridine levels in humans”. 《Biochem. Pharmacol.》 60 (7): 989–92. doi:10.1016/S0006-2952(00)00436-6. PMID 10974208.
- ↑ John S. James. “New Kind of Antiretroviral, KP-1461”. AIDS Treatment News. 2019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Scientists reprogram cancer cells with low doses of epigenetic drugs”. Medical XPress. 2012년 3월 22일.
- ↑ 가 나 Machado-Vieira, Rodrigo; Salvadore, Giacomo; DiazGranados, Nancy; Ibrahim, Lobna; Latov, David; Wheeler-Castillo, Cristina; Baumann, Jacqueline; Henter, Ioline D.; Zarate, Carlos A. (2010). “New Therapeutic Targets for Mood Disorders”.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10: 713–726. doi:10.1100/tsw.2010.65. ISSN 1537-744X. PMC 3035047. PMID 20419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