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역학 에서 구면 모형 (球面模型, 영어 : spherical model )은 강자성 을 나타내는 간단한 격자 모형이다.[ 1] :Chapter 5 [ 2] [ 3] 이징 모형 과 유사하나, 이징 모형과 달리 임의의 차원에서 정확히 간단히 풀 수 있다. 2차원 이하에서는 상전이 를 갖지 않지만, 2차원 초과에서는 상전이를 갖는다. 이 모형의 임계 지수들은 일반적으로 차원에 의존하는 독특한 현상을 보인다.
구면 모형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유한 그래프
Γ
{\displaystyle \Gamma }
함수
h
:
V
(
Γ
)
→
R
{\displaystyle h\colon \operatorname {\mathsf {V}} (\Gamma )\to \mathbb {R} }
,
i
↦
h
i
{\displaystyle i\mapsto h_{i}}
. 이는 외부 자기장 을 뜻한다.
함수
β
:
E
(
Γ
)
→
R
{\displaystyle \beta \colon {\mathsf {E}}(\Gamma )\to \mathbb {R} }
,
i
j
↦
β
i
j
{\displaystyle ij\mapsto \beta _{ij}}
. 이는 온도의 역수를 뜻한다.
이 모형에서, 변수는 그래프 꼭짓점 위의 “스핀”의 분포이다. 여기서 “스핀”은 임의의 실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모든 스핀들의 제곱평균제곱근 은 1이어야 한다.
σ
:
V
(
Γ
)
→
R
{\displaystyle \sigma \colon \operatorname {\mathsf {V}} (\Gamma )\to \mathbb {R} }
∑
i
∈
V
(
Γ
)
σ
i
2
=
|
V
(
Γ
)
|
{\displaystyle \sum _{i\in \operatorname {\mathsf {V}} (\Gamma )}\sigma _{i}^{2}=|\operatorname {\mathsf {V}} (\Gamma )|}
즉, 짜임새 공간 은 유클리드 공간
R
V
(
Γ
)
{\displaystyle \mathbb {R} ^{\operatorname {\mathsf {V}} (\Gamma )}}
속의, 반지름
|
V
(
Γ
)
|
{\displaystyle {\sqrt {|\operatorname {\mathsf {V}} (\Gamma )|}}}
의 초구 이다.
구형 모형의 분배 함수 는 다음과 같다.
Z
Γ
(
β
,
h
)
=
∫
R
V
(
Γ
)
d
|
V
(
Γ
)
|
σ
exp
(
∑
i
j
∈
E
(
Γ
)
β
i
j
σ
i
σ
j
+
∑
i
∈
V
(
Γ
)
h
i
σ
i
)
{\displaystyle Z_{\Gamma }(\beta ,h)=\int _{\mathbb {R} ^{{\mathsf {V}}(\Gamma )}}\mathrm {d} ^{|{\mathsf {V}}(\Gamma )|}\sigma \,\exp \left(\sum _{ij\in {\mathsf {E}}(\Gamma )}\beta _{ij}\sigma _{i}\sigma _{j}+\sum _{i\in {\mathsf {V}}(\Gamma )}h_{i}\sigma _{i}\right)}
이는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우선, 실수 힐베르트 공간
H
=
R
V
(
Γ
)
{\displaystyle {\mathcal {H}}=\mathbb {R} ^{{\mathsf {V}}(\Gamma )}}
위의 연산자
M
:
H
→
H
{\displaystyle M\colon {\mathcal {H}}\to {\mathcal {H}}}
⟨
i
|
M
|
j
⟩
=
−
β
i
j
⟨
i
|
A
Γ
|
j
⟩
{\displaystyle \langle i|M|j\rangle =-\beta _{ij}\langle i|{\mathsf {A}}_{\Gamma }|j\rangle }
를 정의하자. 여기서
A
Γ
{\displaystyle {\mathsf {A}}_{\Gamma }}
는
Γ
{\displaystyle \Gamma }
의 인접 행렬 이다.
⟨
i
|
A
Γ
|
j
⟩
=
{
1
i
j
∈
E
(
Γ
)
0
i
j
∉
E
(
Γ
)
{\displaystyle \langle i|{\mathsf {A}}_{\Gamma }|j\rangle ={\begin{cases}1&ij\in \operatorname {E} (\Gamma )\\0&ij\not \in \operatorname {E} (\Gamma )\end{cases}}}
즉, 만약
β
{\displaystyle \beta }
가 상수 함수 라면
M
=
−
β
A
Γ
{\displaystyle M=-\beta {\mathsf {A}}_{\Gamma }}
이다.
그렇다면, 분배 함수 를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Z
Γ
(
β
,
h
)
=
1
2
π
∫
R
V
(
Γ
)
D
σ
∫
z
+
i
R
d
z
exp
(
−
⟨
σ
|
(
M
+
z
)
|
σ
⟩
+
⟨
h
|
σ
⟩
+
z
|
V
(
Γ
)
|
)
{\displaystyle {\begin{aligned}Z_{\Gamma }(\beta ,h)&={\frac {1}{2\pi }}\int _{\mathbb {R} ^{\operatorname {\mathsf {V}} (\Gamma )}}\mathrm {D} \sigma \int _{z+\mathrm {i} \mathbb {R} }\mathrm {d} z\;\exp \left(-\langle \sigma |(M+z)|\sigma \rangle +\langle h|\sigma \rangle +z|\operatorname {\mathsf {V}} (\Gamma )|\right)\\\end{aligned}}}
여기서 디랙 델타 를
δ
(
⟨
σ
|
σ
⟩
−
|
V
(
Γ
)
|
)
=
∫
a
+
i
R
d
z
exp
(
−
z
⟨
σ
|
σ
⟩
+
z
|
V
(
Γ
)
|
)
(
a
≫
1
)
{\displaystyle \delta (\langle \sigma |\sigma \rangle -|\operatorname {\mathsf {V}} (\Gamma )|)=\int _{a+\mathrm {i} \mathbb {R} }\mathrm {d} z\;\exp(-z\langle \sigma |\sigma \rangle +z|\operatorname {\mathsf {V}} (\Gamma )|)\qquad (a\gg 1)}
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a
{\displaystyle a}
는
M
+
z
{\displaystyle M+z}
의 모든 고윳값 의 실수 성분이 양수가 되게 충분히 커야 한다.
즉, 이 경우
Z
Γ
(
β
,
h
)
=
1
2
π
∫
a
+
i
R
d
z
Z
Γ
(
β
,
h
,
z
)
exp
(
z
|
V
(
Γ
)
|
+
1
4
⟨
h
|
(
z
+
M
)
−
1
|
h
⟩
)
(
a
≫
1
)
{\displaystyle Z_{\Gamma }(\beta ,h)={\frac {1}{2\pi }}\int _{a+\mathrm {i} \mathbb {R} }\mathrm {d} z\;Z_{\Gamma }(\beta ,h,z)\exp \left(z|\operatorname {\mathsf {V}} (\Gamma )|+{\frac {1}{4}}\langle h|(z+M)^{-1}|h\rangle \right)\qquad (a\gg 1)}
Z
Γ
(
β
,
h
,
z
)
=
∫
R
V
(
Γ
)
D
σ
exp
(
−
⟨
σ
|
(
z
+
M
)
|
σ
⟩
)
=
π
|
V
(
Γ
)
|
/
2
det
(
z
+
M
)
{\displaystyle Z_{\Gamma }(\beta ,h,z)=\int _{\mathbb {R} ^{\operatorname {\mathsf {V}} (\Gamma )}}\mathrm {D} \sigma \;\exp \left(-\langle \sigma |(z+M)|\sigma \rangle \right)={\frac {\pi ^{|\operatorname {\mathsf {V}} (\Gamma )|/2}}{\sqrt {\det(z+M)}}}}
이 된다.
즉,
Z
Γ
(
β
,
h
)
=
1
2
π
|
V
(
Γ
)
|
/
2
−
1
∫
a
+
i
R
d
z
exp
(
z
|
V
(
Γ
)
|
+
1
4
⟨
h
|
(
z
+
M
)
−
1
|
h
⟩
)
det
(
z
+
M
)
−
1
/
2
(
a
≫
1
)
=
1
2
π
|
V
(
Γ
)
|
/
2
−
1
∫
a
+
i
R
d
z
∏
λ
∈
Spec
M
exp
(
z
+
⟨
v
λ
|
h
⟩
2
/
(
z
+
λ
)
−
1
)
z
+
λ
{\displaystyle {\begin{aligned}Z_{\Gamma }(\beta ,h)&={\frac {1}{2}}\pi ^{|\operatorname {\mathsf {V}} (\Gamma )|/2-1}\int _{a+\mathrm {i} \mathbb {R} }\mathrm {d} z\,\exp \left(z|\operatorname {\mathsf {V}} (\Gamma )|+{\frac {1}{4}}\langle h|(z+M)^{-1}|h\rangle \right)\det(z+M)^{-1/2}\qquad (a\gg 1)\\&={\frac {1}{2}}\pi ^{|\operatorname {\mathsf {V}} (\Gamma )|/2-1}\int _{a+\mathrm {i} \mathbb {R} }\mathrm {d} z\,\prod _{\lambda \in \operatorname {Spec} M}{\frac {\exp(z+\langle v_{\lambda }|h\rangle ^{2}/(z+\lambda )^{-1})}{\sqrt {z+\lambda }}}\end{aligned}}}
이다. 여기서
v
λ
{\displaystyle v_{\lambda }}
는
M
{\displaystyle M}
의 고유 벡터 로 구성된 정규 직교 기저 이다.
그래프가 매우 큰 경우, 다음과 같이 최급강하법 을 사용하여 분배 함수를 근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배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적자.
Z
=
1
2
π
|
V
(
Γ
)
|
/
2
−
1
∫
a
+
i
R
d
z
exp
(
|
V
(
Γ
)
|
S
Γ
(
z
)
)
{\displaystyle Z={\frac {1}{2}}\pi ^{|{\mathsf {V}}(\Gamma )|/2-1}\int _{a+\mathrm {i} \mathbb {R} }\mathrm {d} z\;\exp \left(|{\mathsf {V}}(\Gamma )|S_{\Gamma }(z)\right)}
S
(
z
)
=
z
+
1
|
V
(
Γ
)
|
1
4
⟨
h
|
(
z
+
β
A
Γ
)
−
1
|
h
⟩
−
1
2
ln
det
(
z
+
M
)
|
V
(
Γ
)
|
{\displaystyle S(z)=z+{\frac {1}{|{\mathsf {V}}(\Gamma )|}}{\frac {1}{4}}\langle h|(z+\beta {\mathsf {A}}_{\Gamma })^{-1}|h\rangle -{\frac {1}{2}}{\ln \det(z+M)}{|{\mathsf {V}}(\Gamma )|}}
이다. 여기서
ln
det
(
z
+
M
)
∝
|
V
(
Γ
)
|
{\displaystyle \ln \det(z+M)\propto |{\mathsf {V}}(\Gamma )|}
⟨
h
|
(
z
+
M
)
|
h
⟩
∝
|
V
(
Γ
)
|
{\displaystyle \langle h|(z+M)|h\rangle \propto |{\mathsf {V}}(\Gamma )|}
라고 가정하였다. (예를 들어, 만약
Γ
=
(
C
L
)
◻
d
{\displaystyle \Gamma =({\mathsf {C}}_{L})^{\square d}}
가 원환면 그래프(
d
{\displaystyle d}
개의 순환 그래프들의 그래프 데카르트 곱 )이며, 자기장
h
{\displaystyle h}
또한 상수 함수 라면, 위 조건이 성립한다.)
그렇다면,
|
V
(
Γ
)
|
→
∞
{\displaystyle |{\mathsf {V}}(\Gamma )|\to \infty }
인 극한에서,
1
|
V
(
Γ
)
|
ln
Z
Γ
(
β
,
h
)
≈
max
z
∈
a
+
i
R
S
(
z
;
β
,
h
)
+
1
2
ln
π
+
o
(
1
)
{\displaystyle {\frac {1}{|{\mathsf {V}}(\Gamma )|}}\ln Z_{\Gamma }(\beta ,h)\approx \max _{z\in a+\mathrm {i} \mathbb {R} }S(z;\beta ,h)+{\frac {1}{2}}\ln \pi +o(1)}
가 된다.
Γ
=
(
C
L
)
◻
d
{\displaystyle \Gamma =({\mathsf {C}}_{L})^{\square d}}
가 크기
L
{\displaystyle L}
의 순환 그래프
C
L
{\displaystyle {\mathsf {C}}_{L}}
의
d
{\displaystyle d}
겹 그래프 데카르트 곱 이라고 하자. 즉, 이는 주기적 경계 조건이 주어진
d
{\displaystyle d}
차원
L
×
⋯
×
L
{\displaystyle L\times \dotsb \times L}
초입방체에 해당한다. 이 경우,
Γ
{\displaystyle \Gamma }
의 스펙트럼은 다음과 같은 중복집합 이다.
Spec
Γ
=
{
2
∑
i
=
1
d
cos
2
π
k
i
L
:
k
i
∈
{
0
,
1
,
…
,
L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Gamma =\left\{2\sum _{i=1}^{d}\cos {\frac {2\pi k_{i}}{L}}\colon k_{i}\in \{0,1,\dotsc ,L-1\}\right\}}
따라서
β
{\displaystyle \beta }
가 상수 함수 일 때,
L
→
∞
{\displaystyle L\to \infty }
극한에서,
ln
det
(
z
+
M
)
{\displaystyle \ln \det(z+M)}
은 따라서
[
0
,
2
π
]
d
{\displaystyle [0,2\pi ]^{d}}
위의 적분으로 근사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에서, 상수 함수 자기장
h
{\displaystyle h}
는
Γ
{\displaystyle \Gamma }
의 인접 행렬 의 고유 벡터 이며, 따라서 이 경우 자기장의 항 역시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방정식 은 다음과 같다.[ 1] :5.3.3
2
(
1
−
m
2
)
=
β
g
′
(
h
/
2
m
+
d
)
{\displaystyle 2(1-m^{2})=\beta g'(h/2m+d)}
여기서
T
=
1
/
β
{\displaystyle T=1/\beta }
는 온도이다.
m
=
⟨
σ
⟩
{\displaystyle m=\langle \sigma \rangle }
은
σ
{\displaystyle \sigma }
의 평균값이다.
g
(
z
)
{\displaystyle g(z)}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함수이다. 이는
ln
det
(
z
+
A
Γ
)
{\displaystyle \ln \det(z+{\mathsf {A}}_{\Gamma })}
의 적분 근사에서 유래한다.
g
(
z
)
=
(
2
π
)
−
d
∫
[
0
,
2
π
]
d
d
d
t
ln
(
z
−
∑
i
=
1
d
cos
t
i
)
{\displaystyle g(z)=(2\pi )^{-d}\int _{[0,2\pi ]^{d}}\mathrm {d} ^{d}t\;\ln \left(z-\sum _{i=1}^{d}\cos t_{i}\right)}
이 경우
g
′
(
z
)
=
∫
0
∞
d
t
exp
(
−
t
z
)
J
0
(
i
t
)
d
{\displaystyle g'(z)=\int _{0}^{\infty }\mathrm {d} t\,\exp(-tz){\mathsf {J}}_{0}(\mathrm {i} t)^{d}}
[ 1] :(5.4.4)
가 된다. 여기서
J
0
(
−
)
{\displaystyle {\mathsf {J}}_{0}(-)}
는 0차 베셀 함수 이다.
이 경우
g
′
(
d
)
{
=
∞
(
0
<
d
≤
2
)
<
∞
(
2
<
d
)
{\displaystyle g'(d){\begin{cases}=\infty &(0<d\leq 2)\\<\infty &(2<d)\end{cases}}}
g
″
(
d
)
{
=
∞
(
0
<
d
≤
4
)
<
∞
(
4
<
d
)
{\displaystyle g''(d){\begin{cases}=\infty &(0<d\leq 4)\\<\infty &(4<d)\end{cases}}}
이다. 따라서,
d
≤
2
{\displaystyle d\leq 2}
일 때 구면 모형은 상전이를 갖지 않는다.[ 1] :68, §5.5 즉, 퀴리 온도 가 0이다.
d
>
2
{\displaystyle d>2}
일 때 구면 모형은 1차 상전이 를 갖는다. 즉, 퀴리 온도 가 (유한한) 양수이며, 그 역수는
β
0
=
1
2
g
′
(
d
)
{\displaystyle \beta _{0}={\frac {1}{2}}g'(d)}
이다.[ 1] :67, (5.5.1)
d
>
2
{\displaystyle d>2}
일 때, 임계 지수들은 다음과 같다.
α
=
{
−
4
−
d
d
−
2
(
2
<
d
<
4
)
0
(
4
<
d
)
{\displaystyle \alpha ={\begin{cases}-{\frac {4-d}{d-2}}&(2<d<4)\\0&(4<d)\end{cases}}}
[ 1] :(5.6.7)
β
=
1
2
{\displaystyle \beta ={\frac {1}{2}}}
[ 1] :(5.6.8)
γ
=
{
2
d
−
2
(
2
<
d
<
4
)
1
(
4
<
d
)
{\displaystyle \gamma ={\begin{cases}{\frac {2}{d-2}}&(2<d<4)\\1&(4<d)\end{cases}}}
[ 1] :(5.6.11)
즉, 이 경우 임계 지수들이
d
{\displaystyle d}
에 의존하게 된다.
물리학적으로, 이는 이징 모형 의 근사로 여겨질 수 있다. 이징 모형에서 분배 함수는
|
V
(
Γ
)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hsf {V}} (\Gamma )|}
차원 유클리드 공간 속의 초입방체 의
2
N
{\displaystyle 2N}
개 꼭짓점에 대한 합을 취하는 것인데, 이 모형은 이를 대신 비슷한 크기의 초구의 표면에 대한 적분으로 근사한다.
마레크 카츠
1952년에 시어도어 벌린(영어 : Theodore H. Berlin , 1917-1963)과 마레크 카츠(폴란드어 : Marek Kac , 1914-1984)가 도입하였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