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72
종류 | 주력전차(Main Battle Tank, MBT) |
---|---|
형식명 | T-72 |
개발국가 | 소련 |
제작사 | 우랄바곤자보드 |
배치년도 | 1973년 |
역사 | |
생산기간 | 1971년 ~ 현재 |
사용국가 | 운용국 현황 참조 |
사용된 전쟁 | 실전 역사 참조 |
생산 대수 | 25,000대 이상 |
일반 제원 | |
승무원 | 3 |
길이 | 6.9 m T-72A : 6.67 m (포신 포함 9.53m)[1] T-72M1/T-72B/T-72S : 6.95 m (포신 포함 9.53m) for T-72M1, T-72B and T-72S[2][1] |
높이 | 2.23m |
폭 | 3.59m |
중량 | 41.5t |
공격력 | |
주무장 | 125 mm 2A46 활강포 |
사통 장비 | T-72A:포수조준경 주간 TPD-2-49, 야간 TPN-1(후기형의 경우 TPD-K1,이후 개량형까지 지속) T-72B: 야간 :TPN-3-49, B1형의 경우 1K13(포발사미사일 운용능력부여) T-72B3:SOSNA-U열영상장비 |
장전 방식 | 케로젤 자동장전장치 |
부무장 | 7.62 mm PKT 동축기관총 12.7 mm NSVT 대공기관총 |
기동력 | |
엔진 | V-12 디젤(A형)< br />V-92SEF(T-72B3/B3M) < br/>각각 780마력,1130마력 |
마력 | 780hp(582kw) |
출력/중량 | 18.8hp/t |
현가장치 | 토션바 |
노상 속도 | 80 km/h |
야지 속도 | 50 km/h |
기동 가능 거리 | 460 km 700 km (외부 연료통 탑재시) |
등판 능력 | 30도 |
장애물 통과 | 0.85 m |
도하 | 2.8 m |
방어력 | |
상부 장갑 | T-72B, T-72A 개량형의 경우 13mm 상부장갑 증설 |
장갑 | 주조장갑, 복합장갑, 반응장갑 |
T-72 전차는 1971년 양산에 들어간 소련의 2세대 및 3세대 주력전차로[3][4], T-62의 후속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20,000대가 생산되어 2차세계대전 이후 소련 전차 중 T-54/55 다음으로 많이 생산된 전차이다.
개발
[편집]T-64의 실패
[편집]T-72의 개발은 이전작인 T-64이 일으킨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결과였다. T-64(오브젝트 432)는 자동장전장치, 영상합치식 광학 거리측정기, 포발사미사일, 야시장비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하면서도 38톤을 넘지 말아야 한다는 조건 하에서 진행된 야심작이었으며, 하르코프의 모로조프 설계국이 계획을 맡았다.[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장전장치를 집어넣었고 전차 승무원은 3명으로 줄어 (피탄면적이 줄어들었기에) 방호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더 작아진 차체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엔진이 요구되었다.[6]
1964년 115mm 활강포를 장비한 T-64의 양산이 시작되었지만, 훨씬 더 강력한 125mm 포를 탑재한 T-64A형의 개발이 이미 1963년에 시작되었다.[7] 그러나 T-64의 초기형은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가장 큰 문제는 5TDF 엔진이었는데, 신뢰성이 매우 낮았고 수리하기도 어려웠으며 엔진수명은 2차대전기 전차들의 그것밖에 되지 않았다.[8]
그러나 T-64를 지지하기 위해 모로조프 설계국이 모스크바에 강한 로비를 했고, 경쟁작들과 새로운 아이디어가 논의되는 것을 막았다.[9]
타협 : 전시형
[편집]엔진의 조악한 품질과 높은 단가로 T-64는 소련군의 필요량에 부응하는 수준까지 생산되지 못했다. 그에 따라 부족한 양을 메꾸기 위해 전시 양산형이 개발되었다. 말리셰프 설계국이 전시에 소련의 전차 공장에 5TDF 엔진을 충분히 공급할 능력이 없었기에, 우랄바곤자보드는 훨씬 신뢰성 있는 V-45 엔진을 장착한 T-64의 전시형을 개발했다.[10]
5TDF는 지나치게 복잡했고 가격이 V-45의 두배에 육박했다.[11] 1967년 우랄바곤자보드는 1970년의 T-64양산을 위해 '520구획' 계획을 구성했다. 도중 그들은 V-45 엔진의 출력을 T-64의 차체가 감당해내지 못하고 갈라져 버리는 것을 목격했다. 이윽고 더욱 신뢰성있는 대책이 나와야 했다. 결국 1960년대의 아이디어가 다시 사용되었다. 1961년, 더 튼튼한 차체와 구동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우랄바곤자보드에서 "오브젝트 167"의 두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하르코프의 입김에 의해, 이 아이디어는 모스크바에서 각하되었다.[12] 그러나 이 구상에서 고무 전차륜은 전시형 T-64의 새로운 기초중 하나가 되었다.
추가적인 변화는 원래 T-62의 개량안에서 제의되었던 자동장전장치의 장착이었다. 장약과 발사체는 장치 내에서 상하로 수평적이게 배치되었다. 이는 T-64의 자동장전장치보다 훨씬 신뢰성을 높였다.
1968년 우랄바곤자보드는 125mm 활강포와 V-45K 엔진을 장착한 오브젝트 172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실전 역사
[편집]기간 | 전쟁 | 사용국 |
---|---|---|
1979년 ~ 1987년 | 소비에트 연방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 소련군 |
1980년 ~ 1988년 | 이란-이라크 전쟁 | 이라크군 |
1982년 | 레바논 전쟁 | 시리아 육군 |
1983년 ~ | 스리랑카 내전 | 인도 육군 |
1988년 ~ 1994년 |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 아르메니아 및 아제르바이잔이 사용 |
1988년 ~ 1993년 | 조지아 내전 | |
1991년 ~ 1992년 | 1991년 ~ 1992년 남오세티야 전쟁 | |
1992년 ~ 1993년 | 압하지아 전쟁 | |
1990년 ~ 1991년 | 걸프 전쟁 | 이라크군 |
1991년 ~ 2001년 | 유고슬라비아 내전 |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
1991년 | 10일 전쟁 |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
1991년 ~ 1995년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유고슬라비아, 크라지나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스르프스카 공화국 |
1996년 ~ 1999년 | 코소보 전쟁 |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
1999년 ~ 2001년 | 프레세보 계곡 폭동(Preševo Valley) |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
2001년 | 마케도니아 폭동 | 마케도니아 공화국 |
1994년 ~ 1996년 | 1차 체첸 전쟁 | 러시아 육군 |
1999년 | 2차 체첸 전쟁 | 러시아 육군 |
2003년 | 이라크 침공 | 이라크 |
2008년 | 남오세티야 전쟁 | 러시아, 남오세티야, 조지아 |
파생형
[편집]소련/러시아
[편집]- T-72 우랄 - T-72의 극초기형으로, 적외선 투광기 후방의 광학식 거리 측정기 등은 T-64와 동일하나 이 이외의 사격통제장치는 T-64에 비하여 단순화된 모델이다. NSV 중기관총이 달린 전차장 큐폴라 전면에 광학식 거리측정기의 유리창이 튀어나온 것이 이후 개발된 기종들과의 차이점이다. 간혹 콘탁트-1 반응장갑을 급조 부착한 차량들도 있는데, 이 차량들은 비공식적으로 T-72V로 불린다.
- T-72A - T-72 우랄과는 달리 광학식 거리 측정기가 철거되어 전차장 큐폴라 전면이 평평해졌는데, 이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도입되어 포수용 조준경에 통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포탑 전면에 장비된 연막탄 발사기 역시 T-72 우랄과의 차이점이다. T-72 U우랄의 초기형은 이후 사이드스커트나 상부 추가장갑 등의 개수가 이루어졌으며, 포탑 전면이 두꺼워졌다.
- T-72M/M1 - T-72A의 수출형 다운그레이드 모델. T-72A에 비하여 열세이기 때문에 걸프 전쟁에서 M1A1을 비롯한 다국적군 전차에 참패하였다.
- T-72B - 주포가 신형 2A46M으로 교체되고 주포안정장치와 1A40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한 1A40-1 등을 통해 주포 명중률을 개선함은 물론 9K119 대전차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만 1K13등 사격통제장치의 생산량 부족으로 구형 T-72A의 TPN-3-49를 장착한 모델도 동시에 생산되었다. 이는 T-72B1으로 구분하며 대전차 미사일 발사기능이 없다.
- T-72S - T-72B의 수출용 다운그레이드 모델.
- T-72B obr.1989 - 기본적인 T-72B에 콘탁트 5 반응장갑을 장착한 형식이다.
- T-72B2 - 3세대 렐릭트 반응장갑, 1,000마력 V-92 엔진, 적외선형 야간사격장치 등을 장착한 개량형이다.
- T-72B3 - 기존 T-72B obr.1989와는 확실히 구분되는 형태의 측풍감지기가 장착되었다. T-64B가 1970년대에 탑재한 측풍감지기는 T-72의 경우 T-72B3가 개발되기 전까지 장착되지 않았다. 따라서 T-72 승무원은 투입되기 전에 알아서 온도와 바람등의 전장환경을 측정한다음 결과값을 탄도컴에 일일이 입력해야 했다. 또한 NSV 기관총 마운트가 따로 개량되지는 않아 T-90A나 T-80B/UD, T-64의 무인총좌와 달리 T-72B3는 여전히 사격을 위해선 큐플라를 180도 돌리고 차장기관총을 잡아야 쏠수있다. 차장용으로 별도의 파노라마 사이트나 열영상장비도 없으므로 IR 사이트가 남아있는것을 볼수 있다.
- T-72B3M - 현대화 개량형
- T-72B4 - 탱크 바이에슬론용 개량형으로, T-72B3에 전차장용 열영상 장비가 추가되었다.
인도
[편집]- 아제야 MK1(Ajeya MK1) - T-72M의 인도형. 구 소련으로부터 다양한 T-72를 사들이면서 인도는 아바디(Avadi)에 소재한 중공업단지에서 이 전차의 생산을 개시했다. 900여대가 생산되어 아제야(Ajeya)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1993년에 T-72M1 수준으로 개량되었다.[13]
- 아제야 MK2(Ajeya MK2) - T-72M1의 인도형
- Tank EX - 아준 전차의 포탑과 T-72의 차체를 결합한 모델. 시제품만 만들어졌다.
쿠바
[편집]- T-72 - 개량되지 않은 구 소련제 T-72 원형을 운용했다[14]
크로아티아
[편집]폴란드
[편집]PT-91 트바르디 - T-72의 폴란드 라이센스 생산형
운용국 현황
[편집]현재 운용국
[편집]국가 | 보유대수 | 비고 |
---|---|---|
조지아 | Т-72B1, Т-72M, T-72, 우크라이나형 T-72A 등 225대 이상 | |
남아프리카 공화국[13] | ||
남오세티야 |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에서 사용된 사실이 확인됨.[출처 필요] | |
러시아 | 2013년 기준 T-72B 및 T-72BA 1500대 (추가로 T-72, T-72A,T-72B 7500대 보관중)[15] | |
루마니아 | T-72 30대와 TR-125 3대 또는 5대를 운용 중이다. | |
리비아 | 2003년 150대[1] | |
북마케도니아 | 우크라이나로부터 30의 T-72A 및 T-72AK(지휘용)를 도입 | |
말레이시아 | T-72s 139대 | |
몽골 | 50대 | |
모로코 | 200대 | |
미얀마 | ||
베트남 | 2005년 기준 120 ~ 150대. 폴란드로부터 공급받았다. | |
벨라루스 | T-72B 1,465대[16] | |
불가리아 | T-72M2 160대 및 대략 300대가량을 예비로 보관 중[17] | |
세르비아 | T-72M 65대 | |
슬로바키아 | T-72M 및 T-72M1 272대 운용 중[1] | |
시리아 | 1,600대[18] | |
아르메니아 | 160대[1] | |
아제르바이잔 | 180대[1] | |
알제리 | 500 | |
압하스 | ||
앙골라 | T-72M1 22대를 1999년에 벨라루스로부터 구입[13] | |
에티오피아 | 예멘으로부터 50대 획득. | |
예멘 | 2003년 39대 운용[1] | |
우즈베키스탄 | 70대[19] | |
우크라이나 | 1,180대[20] | |
이라크 | 1990년에 이라크 정규군에서 1000대의 T-72s, T-72Ms, T-72M1s, 바빌론의 사자 및 사담 전차를 운용했다. 2003년에도 여전히 375대를 운용했다. 2007년에는 T-72M1 77대만이 신생 이라크 육군에서 운용하는 중이다.[21] | |
이란 | 2002년부터 T-72M1 및 T-72S 480대 운용 중(1995년에 200대, 2000년에 120대 도입)[22] | |
인도 | T-72M 및 T-72M1을 1,700대가량 운용 중.[23] | |
체코 | 543대를 1993년에 예전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상속받음. 2008년 1월 1일 기준으로 179대가 현역으로 사용 중이다. 이전에는 181대를 사용하고 있었다.[24] | |
카자흐스탄 | 650대 | |
쿠바 | 약 50대[1] | |
크로아티아 | 3대 (M-84 전차 참조) | |
키르기스스탄 | 210대 | |
타지키스탄 | 44대 (2000년에 33대)[25] | |
투르크메니스탄 | 702대[26] | |
폴란드 | T-72M1 586대(2005년 644대, 2006년 596대)[27]와 T-72M1Z 135대를[28] 운용하고 있다. T-72M1은 PT-91 기준으로 성능이 개량되었으며, PT-91은 98대를 운용하고 있다. 2010년에 퇴역했다. | |
헝가리 | T-72, T-72M 및 T-72A 등 총 180대[1] |
예전 운용국
[편집]- 동독
- 서독 - 구 동독군이 운용하던 T-72 589대를 인수하였으나 모두 해체, 해외 판매, 또는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소련
- 유고슬라비아
- 이스라엘 - 시리아군의 T72M을 노획하였으나 1대는 군사박물관에 있지만, 나머지는 어떻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 체코슬로바키아
- 핀란드 - 160대 ~ 170대의 T-72M1을 운용했다. 1개 여단분인 70대를 1984년, 1985년 ~ 1988년, 그리고 1990년에 도입했으며, 97대(지휘형인 T-72M1K와 T-72M1K1 소수 포함)의 T-72M1는 1992년 ~ 1994년 사이에 독일에서 잉여재고품을 구입했다. 현재는 해체되거나 체코 공화국에 재고 물량을 팔았다.[29]
참고 문헌
[편집]- 다음은 영어판 위키백과에 사용된 참고 문헌이다.
- Sewell, Stephen ‘Cookie’ (1998) “Why Three Tanks?”, Armor vol. 108, no. 4, p. 21. Fort Knox, KY: US Army Armor Center. ISSN 0004-2420. (PDF format)
- Christopher. F. Foss, Jane's Armour and Artillery 2005-2006. ISBN 978-0-7106-2686-8.
- Leizin, Uri (2004) "Two myths of one battle: Syrian T-72's in 1982 Lebanon war"(in Russian)
- Zaloga, Steven J (1993) T-72 Main Battle Tank 1974-93, Osprey Publishing ISBN 1-85532-338-9.
- Ustyantsev, Sergej Viktorovich; Kolmakov Dmitrij Gennadevich "Boyeviye mashiny Uralvagonzavoda. Tank T-72"
- A.V. Karpenko (1996) "Obozreniye Bronetankovoj Tekhniki (1905-1995 gg.)" Nevskij Bastion
- Soviet Armour Since 1945, Bryan Perret, (1987, Blandford Press) ISBN 0-7137-1735-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Militarium.net"”. 2009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Gary's Combat Vehicle Reference Guide"
- ↑ https://fas.org/man/dod-101/sys/land/row/t72tank.htm
- ↑ “T-72”.
- ↑ Ustyantsev, p. 38.
- ↑ Ustyantsev, p. 30.
- ↑ Ustyantsev, p. 33, 34.
- ↑ Ustyantsev, p. 33, 34.
- ↑ Ustyantsev, p. 36.
- ↑ Ustyantsev, p. 39, 40.
- ↑ Ustyantsev, p. 57.
- ↑ Ustyantsev, p. 45, 46.
- ↑ 가 나 다 "JED The Military Equipment Directory"
- ↑ 가 나 다 “"Tanknet"”. 2008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9일에 확인함.
- ↑ The Military Balance 2013. — P. 226.
- ↑ 벨라루스 육군 장비
- ↑ “불가리아 군사력 현대화” (PDF). 2008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Syria - Army Equipment
- ↑ 우즈베키스탄 육군 장비
- ↑ 우크라이나 지상 장비
- ↑ Shapir, Yiftah S., Middle East Military Balance, Tel Aviv University, 6, 7 [1] Archived 2008년 8월 24일 - 웨이백 머신
- ↑ 이란 지상군 장비
- ↑ 육군 장비
- ↑ "체코 국방부"
- ↑ 타지키스탄 육군 장비
- ↑ 투르크메니스탄 육군 장비
- ↑ “MILITARIUM - Wojsko Polskie - Uzbrojenie”. 2013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Nowa Technika Wosjkowa
- ↑ “M.O.T. - "Till skrotpris"”. 2008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T-72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