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태풍
이 문서에서는 2023년에 발생한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 2023년 북서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 ||||||||||||||||
담당 기관 | RSMC 도쿄 | |||||||||||||||
---|---|---|---|---|---|---|---|---|---|---|---|---|---|---|---|---|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 | |||||||||||||||
최초 발생일 | 2023년 4월 20일 | |||||||||||||||
소멸일 | - | |||||||||||||||
열대 저기압 소멸일 | - | |||||||||||||||
발생(명명)수 | 총합 2개 슈퍼태풍: 1개 태풍: 0개 열대폭풍: 1개 열대저기압: 0개 | |||||||||||||||
사망자수 | - | |||||||||||||||
재산 피해 | - |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제2호 태풍 마와르 최저기압 905hPa 10분 최대풍속 115kt | |||||||||||||||
연도별 문서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
|
통계[편집]
월별 태풍 발생 개수[편집]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합계 | |
---|---|---|---|---|---|---|---|---|---|---|---|---|---|---|
2023년 | 0
(0) |
0
(0) |
0
(0) |
1
(1) |
1
(2) |
-
(-) |
-
(-) |
-
(-) |
-
(-) |
-
(-) |
-
(-) |
-
(-) |
2 | |
30년 평균
(1971~2000년) |
0.5
(0.5) |
0.1
(0.6) |
0.4
(1.0) |
0.8
(1.8) |
1.0
(2.8) |
1.7
(4.5) |
4.0
(8.5) |
5.5
(14.0) |
5.0
(19.0) |
3.9
(22.9) |
2.5
(25.4) |
1.3
(26.7) |
26.7 | |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태풍 수임. |
타임라인[편집]
SSHS[편집]

태풍 이름[편집]
|
|
|
|
특징[편집]
활동중인 태풍[편집]
제2호 태풍 마와르[편집]
중형의 초강력 태풍 (KMA) | ||
---|---|---|
대형의 맹렬한 태풍 (JMA) | ||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 ||
![]() ![]() | ||
활동 기간 | 5월 20일 ~ | |
최저 기압 | 905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58m/s |
JMA | 60m/s (115kt) | |
태풍 피해 | - |
2023년 제2호 태풍 마와르(MAWAR)는 5월 20일 15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44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남동쪽 약 8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마와르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장미를 의미한다.
활동한 태풍[편집]
제1호 태풍 상우[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폭풍 (SSHS) | ||
![]() ![]() | ||
활동 기간 | 4월 20일 ~ 4월 22일 | |
최저 기압 | 998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23m/s |
JMA | 23m/s (45kt) | |
태풍 피해 | - |
2023년 제1호 태풍 상우(SANVU)는 4월 20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65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4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 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거의 정체하면서 발달하였고, 4월 21일 15시에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2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23m/s[1]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거의 정체 및 서진하면서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4월 22일 21시에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1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상우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산호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