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태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에서는 2023년에 발생한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2023년 북서태평양 태풍 시즌
2023 Pacific typhoon season summary.png
2023년 북서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담당 기관 RSMC 도쿄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최초 발생일 2023년 4월 20일
소멸일 -
열대 저기압 소멸일 -
발생(명명)수 총합 2개
슈퍼태풍: 1개
태풍: 0개
열대폭풍: 1개
열대저기압: 0개
사망자수 -
재산 피해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제2호 태풍 마와르
최저기압 905hPa
10분 최대풍속 115kt
연도별 문서
2022년 2023년 2024년



태풍의 세부 구분
(10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STS TY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1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1 2 3 4 5

통계[편집]

월별 태풍 발생 개수[편집]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2023년 0

(0)

0

(0)

0

(0)

1

(1)

1

(2)

-

(-)

-

(-)

-

(-)

-

(-)

-

(-)

-

(-)

-

(-)

2
30년 평균

(1971~2000년)

0.5

(0.5)

0.1

(0.6)

0.4

(1.0)

0.8

(1.8)

1.0

(2.8)

1.7

(4.5)

4.0

(8.5)

5.5

(14.0)

5.0

(19.0)

3.9

(22.9)

2.5

(25.4)

1.3

(26.7)

26.7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태풍 수임.

타임라인[편집]

SSHS[편집]



태풍 이름[편집]

  • 제1호 태풍 상우 (2301)
  • 제2호 태풍 마와르 (2302)
  • 제3호 태풍 구촐 (사용안함)
  • 제4호 태풍 탈림 (사용안함)
  • 제5호 태풍 독수리 (사용안함)
  • 제6호 태풍 카눈 (사용안함)
  • 제7호 태풍 란 (사용안함)
  • 제8호 태풍 사올라 (사용안함)
  • 제9호 태풍 담레이 (사용안함)
  • 제10호 태풍 하이쿠이 (사용안함)
  • 제11호 태풍 기러기 (사용안함)
  • 제12호 태풍 윈욍 (사용안함)
  • 제13호 태풍 고이누 (사용안함)
  • 제14호 태풍 볼라벤 (사용안함)
  • 제15호 태풍 산바 (사용안함)
  • 제16호 태풍 즐라왓 (사용안함)
  • 제17호 태풍 에위니아 (사용안함)
  • 제18호 태풍 말락시 (사용안함)
  • 제19호 태풍 개미 (사용안함)
  • 제20호 태풍 프라피룬 (사용안함)
  • 제21호 태풍 마리아 (사용안함)
  • 제22호 태풍 손띤 (사용안함)
  • 제23호 태풍 암필 (사용안함)
  • 제24호 태풍 우쿵 (사용안함)
  • 제25호 태풍 종다리 (사용안함)
  • 제26호 태풍 산산 (사용안함)
  • 제27호 태풍 야기 (사용안함)
  • 제28호 태풍 리피 (사용안함)

특징[편집]

활동중인 태풍[편집]

제2호 태풍 마와르[편집]

중형의 초강력 태풍 (KMA)
대형의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5월 20일 ~
최저 기압 90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8m/s
JMA 60m/s (115kt)
태풍 피해 -

2023년 제2호 태풍 마와르(MAWAR)는 5월 20일 15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44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남남동쪽 약 8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마와르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장미를 의미한다.

활동한 태풍[편집]

제1호 태풍 상우[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4월 20일 ~ 4월 22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3m/s
JMA 23m/s (45kt)
태풍 피해 -

2023년 제1호 태풍 상우(SANVU)4월 20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65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동남동쪽 약 1,4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 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거의 정체하면서 발달하였고, 4월 21일 15시에 미국 동남동쪽 약 1,2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23m/s[1]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거의 정체 및 서진하면서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4월 22일 21시에 미국 동남동쪽 약 1,1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상우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산호를 의미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위키백과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해석을 따른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