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태풍
이 문서에서는 2024년에 발생한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2024년 북서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 ||||||||||||||||
담당 기관 | RSMC 도쿄 | |||||||||||||||
---|---|---|---|---|---|---|---|---|---|---|---|---|---|---|---|---|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 | |||||||||||||||
최초 발생일 | 2024년 5월 26일 | |||||||||||||||
소멸일 | - | |||||||||||||||
열대 저기압 소멸일 | - | |||||||||||||||
발생(명명)수 | 총합 15개 슈퍼태풍:1개 태풍:5개 열대폭풍:5개 열대저기압:4개 | |||||||||||||||
사망자수 | 862명 | |||||||||||||||
재산 피해 | 99억 6,178만 달러 |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제11호 태풍 야기 최저기압 915hPa 10분 최대풍속 105kn 1분 최대풍속 140kn | |||||||||||||||
연도별 문서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
|
통계
[편집]월별 태풍 발생 개수
[편집]-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합계 | |
---|---|---|---|---|---|---|---|---|---|---|---|---|---|---|
2024년 | 0
(0) |
0
(0) |
0
(0) |
0
(0) |
2
(2) |
0
(2) |
2
(4) |
6
(10) |
5
(15) |
0
(0) |
0
(0) |
0
(0) |
15 | |
30년 평균
(1971~2000년) |
0.5
(0.5) |
0.1
(0.6) |
0.4
(1.0) |
0.8
(1.8) |
1.0
(2.8) |
1.7
(4.5) |
4.0
(8.5) |
5.5
(14.0) |
5.0
(19.0) |
3.9
(22.9) |
2.5
(25.4) |
1.3
(26.7) |
26.7 | |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태풍 수임. |
타임라인
[편집]SSHS
[편집]태풍 이름
[편집]
|
|
|
|
|
|
특징
[편집]활동중인 태풍
[편집]제14호 태풍 풀라산
[편집]중형의 열대폭풍 (KMA) | ||
---|---|---|
대형의 열대폭풍 (JMA)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9월 15일 ~ | |
최저 기압 | 992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23m/s |
JMA | 23m/s (45kt) | |
태풍 피해 | - |
2024년 제14호 태풍 풀라산(PULASAN)은 9월 15일 21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80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남서쪽 약 1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풀라산은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열대과일의 한 종류이다.
제15호 태풍 솔릭
[편집]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저기압 (SSHS) | ||
활동 기간 | 9월 19일 ~ | |
최저 기압 | 992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18m/s |
JMA | 18m/s (35kt) | |
태풍 피해 | 20명 사망 |
2024년 제15호 태풍 솔릭(SOULIK)은 9월 19일 9시에 중심기압 99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북쪽 약 1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솔릭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족장을 의미한다.
활동한 태풍
[편집]제1호 태풍 에위니아
[편집]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 ||
---|---|---|
강한 태풍 (JMA) | ||
2등급 태풍 (SSHS) | ||
활동 기간 | 5월 26일 ~ 5월 31일 | |
최저 기압 | 98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32m/s |
JMA | 35m/s (70kt) | |
태풍 피해 | 사망 6명 피해총액 2,088만 달러 |
2024년 제1호 태풍 에위니아(EWINIAR)는 5월 26일 9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남동쪽 약 1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동진하면서 급발달하였고, 5월 28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6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36m/s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북동진하면서 건조 공기와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서서히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다. 5월 31일 3시에 일본 도쿄 남남서쪽 약 4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에위니아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풍의 신을 의미한다.
제2호 태풍 말릭시
[편집]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저기압 (SSHS) | ||
활동 기간 | 5월 31일 ~ 6월 1일 | |
최저 기압 | 998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18m/s |
JMA | 18m/s (35kt) | |
태풍 피해 | - |
2024년 제2호 태풍 말릭시(MALIKSI)는 5월 31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홍콩 남서쪽 약 31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북북동진하였고, 6월 1일 12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의 세력으로 중국 광둥성 양장시에 상륙하였다. 중국 광둥성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약화되어서 6월 1일 15시에 중국 홍콩 서북서쪽 약 1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말릭시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빠름을 의미한다.
제3호 태풍 개미
[편집]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 ||
---|---|---|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 ||
4등급 태풍 (SSHS) | ||
활동 기간 | 7월 20일 ~ 7월 27일 | |
최저 기압 | 94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47m/s |
JMA | 45m/s (90kt) | |
태풍 피해 | 126명 사망 피해총액 2억 6,200만 달러 |
2024년 제3호 태풍 개미(GAEMI)는 7월 20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65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7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해서 7월 24일 15시에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약 1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6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대만 산맥의 영향으로 인해 1바퀴 회전한 뒤에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7월 25일 1시에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대만 이란현 난아오 향에 상륙하였다. 대만 상륙 이후 북서~서북서진한 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7월 25일 15시에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1m/s의 세력으로 중국 푸젠 성 푸저우 시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이후에는 육상마찰로 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7일 15시에 중국 상하이 서남서쪽 약 5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7일 21시에 중국 상하이 남서쪽 약 634km 부근 육상(중국 후베이 성 황스 시)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개미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개미를 의미한다.
제4호 태풍 프라피룬
[편집]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 ||
---|---|---|
강한 열대폭풍 (JMA)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7월 21일 ~ 7월 23일 | |
최저 기압 | 98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27m/s |
JMA | 30m/s (60kt) | |
태풍 피해 | 23명 사망 피해총액 1,890만 달러 |
2024년 제4호 태풍 프라피룬(PRAPIROON)은 7월 21일 12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65km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동쪽 약 31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진하면서 중국 하이난섬을 관통하고나서 통킹만에 진출한 뒤 북서~서북서진하면서 통킹만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7월 22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동남동쪽 약 260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980hPa[1], 최대풍속 31m/s[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7월 23일 9시에 베트남 꽝닌성에 상륙하면서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3m/s로 약화되었다. 베트남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3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동북동쪽 약 1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프라피룬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비의 신을 의미한다.
제5호 태풍 마리아
[편집]중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 ||
---|---|---|
강한 열대폭풍 (JMA) | ||
1등급 태풍 (SSHS) | ||
활동 기간 | 8월 8일 ~ 8월 13일 | |
최저 기압 | 98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32m/s |
JMA | 30m/s (55kt) | |
태풍 피해 | - |
2024년 제5호 태풍 마리아(MARIA)는 8월 8일 3시에 중심기압 996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1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동~북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8월 9일 3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8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8m/s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북서진하면서 다시 약화되었고, 8월 12일 9시에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6m/s의 세력으로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도호쿠 지방에 상륙한 이후 산맥의 영향으로 인해 급약화되었고, 8월 13일 3시에 일본 센다이 북북서쪽 약 340km 부근 해상(동해)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마리아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자 이름 마리아를 의미한다.
제6호 태풍 손띤
[편집]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8월 11일 ~ 8월 13일 | |
최저 기압 | 994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18m/s |
JMA | 18m/s (35kt) | |
태풍 피해 | - |
2024년 제6호 태풍 손띤(SON-TINH)은 8월 11일 18시에 중심기압 99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3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6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북서~북서진하며 이동하였고, 8월 13일 21시에 일본 센다이 동남동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손띤은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신화 속의 산신 이름이다.
제7호 태풍 암필
[편집]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 ||
---|---|---|
매우 강한 태풍 (JMA) | ||
4등급 태풍 (SSHS) | ||
활동 기간 | 8월 13일 ~ 8월 19일 | |
최저 기압 | 95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45m/s |
JMA | 45m/s (85kt) | |
태풍 피해 | - |
2024년 제7호 태풍 암필(AMPIL)은 8월 13일 3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9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동~북진하면서 일본 남쪽 해상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발달해서 8월 15일 21시에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4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동북동진하면서 건조 공기와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서서히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9일 3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1,5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9일 9시에 일본 삿포로 북동쪽 약 1,663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암필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타마린드(콩과의 상록 교목)를 의미한다.
제8호 태풍 우쿵
[편집]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저기압 (SSHS) | ||
활동 기간 | 8월 13일 ~ 8월 15일 | |
최저 기압 | 1002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18m/s |
JMA | 18m/s (35kt) | |
태풍 피해 | - |
2024년 제8호 태풍 우쿵(WUKONG)은 8월 13일 15시에 중심기압 100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65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4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진하면서 이동하였고, 8월 14일 9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1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이 조금 하강하였다. 그리고 8월 15일 3시에 중심기압 1004hPa[1], 최대풍속 18m/s[1]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이 다시 상승하였다. 사실상 추가 발달 없이 북진했고,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5일 15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5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5일 15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5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우쿵은 중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손오공을 의미한다.
제9호 태풍 종다리
[편집]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8월 19일 ~ 8월 20일 | |
최저 기압 | 998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19m/s |
JMA | 20m/s (40kt) | |
태풍 피해 | 1명 사망 |
2024년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는 8월 19일 3시에 중심기압 1000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8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진하면서 미미하게 발달하였고, 8월 19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21m/s[1]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에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진하면서 한라산의 지형과 강한 연직 시어로 인해 급격히 약화된 종다리는 8월 20일 21시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남남동쪽 약 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종다리는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종다리를 의미한다.
제10호 태풍 산산
[편집]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 ||
---|---|---|
매우 강한 태풍 (JMA) | ||
4등급 태풍 (SSHS) | ||
활동 기간 | 8월 22일 ~ 9월 1일 | |
최저 기압 | 935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49m/s |
JMA | 50m/s (95kt) | |
태풍 피해 | 8명 사망 피해총액 1억 달러 |
2024년 제10호 태풍 산산(SHANSHAN)은 8월 22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북서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면서 일본 남쪽 해상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발달해서 8월 28일 3시에 일본 가고시마 남쪽 약 2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북서~북북동진하면서 일본 큐슈의 야쿠시마 등 지형 영향으로 인해 약화가 진행되면서 8월 29일 8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일본 가고시마 사쓰마센다이시 부근에 상륙하였다. 일본 상륙 이후 주부 지방의 지형과 건조 공기 유입의 영향으로 인해 약화되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31일 9시에 일본 오사카 남쪽 약 1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1일 12시에 일본 오사카 남동쪽 약 155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태풍 산산으로 인해 2024년 8월 29일 0시 53분에 일본 가고시마 마쿠라자키시에서 순간최대풍속 51.5m/s가 기록되었다. 산산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소녀의 애칭이다.
제11호 태풍 야기
[편집]중형의 초강력 태풍 (KMA) | ||
---|---|---|
맹렬한 태풍 (JMA) | ||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 ||
활동 기간 | 9월 1일 ~ 9월 8일 | |
최저 기압 | 915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55m/s |
JMA | 55m/s (105kt) | |
태풍 피해 | 638명 사망 피해총액 153억 달러 |
2024년 제11호 태풍 야기(YAGI)은 9월 1일 21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3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직후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21m/s의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한 뒤, 9월 3일 9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21m/s의 세력으로 남중국해에 진출했다. 남중국해 진출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남중국해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9월 5일 9시에 중국 홍콩 남남동쪽 약 40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15hPa, 최대풍속 54m/s의 '맹렬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남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다가 9월 6일 15시에 중국 하이난성에 접근하면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로 다소 약화되었다. 그리고 9월 6일 16시 30분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의 세력으로 중국 하이난성에 상륙했다. 중국 하이난성 상륙 이후에는 통킹만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재발달하였고 9월 7일 18시에는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6m/s의 세력으로 베트남 하이퐁시에 상륙했다. 베트남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약화되어서 9월 8일 15시에 베트남 하노이 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야기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 중 염소자리를 의미한다.
제12호 태풍 리피
[편집]소형의 열대폭풍 (KMA) | ||
---|---|---|
열대폭풍 (JMA)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9월 5일 ~ 9월 7일 | |
최저 기압 | 1002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18m/s |
JMA | 18m/s (35kt) | |
태풍 피해 | - |
2024년 제12호 태풍 리피(LEEPI)는 9월 5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6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북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7일 3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1,0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7일 9시에 일본 센다이 북동쪽 약 1,233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리피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포 이름이다.
제13호 태풍 버빙카
[편집]소형의 강한 태풍 (KMA) | ||
---|---|---|
강한 태풍 (JMA) | ||
1등급 태풍 (SSHS) | ||
활동 기간 | 9월 10일 ~ 9월 17일 | |
최저 기압 | 965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37m/s |
JMA | 40m/s (75kt) | |
태풍 피해 | 6명 사망 |
2024년 제13호 태풍 버빙카(BEBINCA)는 9월 10일 21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남동쪽 약 1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면서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더디게 발달하다가 동중국해에 진출한 뒤에는 동중국해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해서 9월 15일 9시에 일본 오키나와 북북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9m/s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북서진해서 9월 16일 9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3m/s의 세력으로 중국 상하이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9월 17일 9시에 중국 상하이 서북서쪽 약 420km 부근 육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버빙카가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버빙카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우유 푸딩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