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황(薑黃), 심황(深黃), 울금(鬱金)은 쿠르쿠마 롱가(Curcuma longa)나 쿠르쿠마 아로마티카(Curcuma aromatica) 등을 부르는 말이다.
‘강황’과 ‘울금’이 어느 식물 종을 가리키는 말인지에 대해서는 자료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다만 식재 또는 약재로 쓸 때에는 뿌리줄기를 ‘강황’, 덩이뿌리를 ‘울금’이라 부른다.
‘강황’과 ‘울금’의 정의의 차이
|
‘강황’ |
‘울금’
|
표준국어대사전
|
- C. aromatica
- C. aromatica의 뿌리줄기[1]
|
- C. aromatica
- C. aromatica의 덩이뿌리
|
대한민국약전
|
- C.longa
- C.longa의 뿌리줄기[2]:905
|
C. weyujin, C. longa, C. kwangsiensis, C. phaeocaulis의 덩이뿌리[2]:960
|
원예학용어집
|
|
C. domestica (syn. C. longa)[3]
|
일본
|
C. aromatica[4][5]
|
C. longa[4][5]
|
중국
|
C. longa[5]
|
C. aromatica[5]
|
식품영양[편집]
강황은 카레의 주요 재료이며 한편 강황의 성분에는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커큐민이 함유되있다.
- ↑ 국립국어원 (1999). 〈강황〉. 《표준국어대사전》 1. 두산동아. 178쪽.
- ↑ 가 나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대한약전》 9판. 신일북스.
- ↑ 한국원예학회 (1993). 〈생강과〉. 《원예학용어집》. 향문사. 200쪽.
- ↑ 가 나 牧野富太郞 (1997). 〈キョウオウ, ウコン〉. 《原色牧野植物大圖鑑》. 北隆館. 584쪽.
- ↑ 가 나 다 라 靑葉高 (1988). 〈クルクマ属〉. 《園藝植物大事典》 2. 小學館. 160-1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