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리 다항식
매듭 이론에서 홈플리 다항식(HOMFLY多項式, 영어: HOMFLY polynomial)은 유향 연환에 대하여 정의되는 2변수 다항식 불변량이다.[1]
정의
[편집]에 대하여 정의되는, 두 변수 , 에 대한 정수 계수 다항식
이며, 다음과 같은 두 조건으로 유일하게 결정된다.
- (임의의 방향이 주어진) 자명한 매듭 에 대하여,
- (타래 관계 영어: skein relation) 임의의 연환 그림의 한 부분을 국소적으로 수정하여, 다음과 같은 세 연환 , , 를 정의하였다고 하자.
- 그렇다면, 이들의 홈플리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존스 다항식과 알렉산더 다항식
[편집]홈플리 다항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두 다항식을 정의할 수 있다.
성질
[편집]홈플리 다항식 은 정수 계수 로랑 다항식이다. 또한, 존스 다항식과 알렉산더 다항식
은 에 대한 정수 계수 로랑 다항식이다.
연산과의 호환성
[편집]홈플리 다항식은 매듭의 연결합에 대하여 곱셈적이다. 즉, 임의의 두 유향 매듭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서로 얽히지 않은 두 성분으로 구성된 연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유향 연환 의 거울 대칭을
이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즉, 홈플리 다항식은 거울 대칭 매듭을 구별할 수 있다.
매듭의 홈플리 다항식은 선택한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보다 일반적으로, 유향 연환에서, 모든 연결 성분의 방향을 동시에 뒤집으면, 홈플리 다항식은 바뀌지 않는다.
천-사이먼스 이론과의 관계
[편집]홈플리 다항식은 천-사이먼스 이론의 윌슨 고리의 기댓값으로 주어진다.[2]
구체적으로, 3차원 초구 위의, 준위 의 천-사이먼스 이론을 생각하자. 이제, 초구 속의 유향 연환 에 대한, 차원 정의 표현(영어: defining representation)에서 취한 윌슨 고리 연산자의 (정규화) 상관 함수는 다음과 같이, 홈플리 다항식으로 주어진다.[2]:382, (4.22–4.23)
예
[편집]간단한 매듭들의 홈플리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매듭 | 홈플리 다항식 |
---|---|
공집합 (0개 연결 성분의 연환) | |
자명한 매듭 01 | 1 |
개 연결 성분의 자명한 연환 | |
세잎매듭 31 (왼손) | |
세잎매듭 31 (오른손) | |
8자 모양 매듭 41 | |
호프 연환 (연환수 +1) | |
호프 연환 (연환수 −1) |
타래 관계의 예
[편집]자명한 연환
[편집]다음과 같은 타래 관계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타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2개 성분의 자명한 연환의 홈플리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호프 연환
[편집]다음과 같은 타래 관계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타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호프 연환의 홈플리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호프 연환의 두 성분 가운데 하나의 방향을 바꾼다면, 거울 대칭이 되어 가 되며,
를 얻는다.
유향 연환 | ||
---|---|---|
연환수 | +1 | −1 |
홈플리 다항식 |
세잎매듭
[편집]다음과 같은 타래 관계를 생각하자.
이에 따라 타래 관계는
이다. 즉,
이다. 물론, 그 거울 대칭을 취하면
이다.
매듭 | ||
---|---|---|
이름 | 왼손 세잎매듭 | 오른손 세잎매듭 |
홈플리 다항식 |
홈플리 다항식이 방향을 구별하지 못하는 매듭
[편집]매듭 942은 스스로의 거울 대칭과 다르지만, 이 두 매듭은 같은 홈플리 다항식을 갖는다 (즉, 홈플리 다항식은 이 경우 거울 대칭을 구별하지 못한다).[3] 매듭 1071의 경우도 마찬가지다.[3]
역사
[편집]제임스 워델 알렉산더가 1923년에 알렉산더 다항식을 발견하였다. 1969년에 존 호턴 콘웨이가 알렉산더 다항식이 타래 관계를 통해 정의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후 1984년에 본 존스가 존스 다항식을 발견하였다.[4]
1985년에 이들의 일반화인 홈플리 방정식을 피터 존 프라이드(영어: Peter John Freyd, 1936~) · 데이비드 예터(영어: David N. Yetter) · 짐 호스트(영어: Jim Hoste) · 윌리엄 버나드 레이먼드 리커리시(영어: William Bernard Raymond Lickorish, 1938~) · 케네스 밀렛(영어: Kenneth Millett, 1941~) · 아드리안 오크네아누(루마니아어: Adrian Ocneanu)가 공동으로 발견하였다.[5] “홈플리”(영어: HOMFLY)라는 이름은 이를 발견한 6인의 머리글자(FYHLMO)를 발음할 수 있게 재배열한 것이다.
거의 동시에 유제프 헨리크 프시티츠키(폴란드어: Józef Henryk Przytycki, 1953~)와 파베우 트라치크(폴란드어: Paweł Traczyk)가 같은 다항식을 발견하였으나, 2년 늦게 출판하였다.[6] 이 때문에 홈플리 다항식은 간혹 “홈플리-PT 다항식”(영어: HOMFLY–PT polynomial) 또는 “플립모스 다항식”(영어: FLYPMOTH polynomial) 따위로 불리기도 한다.
이후 1989년에 에드워드 위튼이 홈플리 다항식과 천-사이먼스 이론 사이의 관계를 발견하였다.[2]
각주
[편집]- ↑ Kauffman, Louis Hirsch (2001년 7월). 《Knots and physics》. Series on Knots and Everything (영어) 1 3판. World Scientific. doi:10.1142/4256.
- ↑ 가 나 다 Witten, Edward (1989). “Quantum field theory and the Jones polynomial”.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21 (3): 351–399. doi:10.1007/BF01217730. ISSN 0010-3616. MR 0990772. Zbl 0667.57005.
- ↑ 가 나 Ramadevi, P.; Govindarajan, T. R.; Kaul, R. K. (1994). “Chirality of knots 942 and 1071 and Chern–Simons theory”. 《Modern Physics Letters A》 (영어) 9: 3025–3218. arXiv:hep-th/9401095. doi:10.1142/S0217732394003026.
- ↑ Jones, Vaughan Frederick Randal (1985). “A polynomial invariant for knots via von Neumann algebra”.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2: 103–111. doi:10.1090/s0273-0979-1985-15304-2.
- ↑ Freyd, Peter John; Yetter, David N.; Hoste, Jim; Lickorish, William Bernard Raymond; Millett, Kenneth; Ocneanu, Arian (1985). “A new polynomial invariant of knots and links”.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2 (2): 239–246. doi:10.1090/S0273-0979-1985-15361-3. MR 776477. Zbl 0572.57002.
- ↑ Przytycki, Józef Henryk; Traczyk, Paweł (1987). “Invariants of links of Conway type”. 《Kobe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4 (2): 115–139. MR 945888.
외부 링크
[편집]- “Jones-Conway polynomial”.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Alexander-Conway polynomial”.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Conway skein tripl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HOMFLY polynomial”.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Jones polynomial”.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Alexander polynomial”.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Conway polynomial”.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HOMFLY-PT polynomial”. 《nLab》 (영어).
- “Jones polynomial”. 《nLab》 (영어).
- “Alexander polynomial”. 《nLab》 (영어).
- “The HOMFLY-PT polynomial”. 《The Knot Atlas》 (영어). 2017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0일에 확인함.
- “존스 다항식(Jones polynomial)”. 《The Mathlyblog》. 2016년 1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