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기 목록에서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태극기와 같은 주요 기 및 한국의 몇몇 역사적인 기들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공기를 비롯해 주요 기와 역사적 기들을 다룬다. 대한민국의 여러 관기(官旗) 및 각 행정구역의 도·시기는 모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제정되었다.

대한민국[편집]

국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South Korea.svg 2011년 - 현재 국기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1][2]
Flag of South Korea (1997–2011).svg 1997년 - 2011년 국기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
Flag of South Korea (1984–1997).svg 1984년 - 1997년 국기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
Flag of South Korea (1949–1984).svg 1949년 - 1984년 국기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과 같이 3·4·5·6괘로 구성되어 있다.
Flag of South Korea (1948–1949).svg 1948년 - 1949년 국기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과는 달리 3·5·4·6괘로 구성되어 있다.

대통령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the President of South Korea.svg 1949년[3] - 현재 대통령 파란색 바탕에 봉황 한 쌍이 마주 보는 가운데 무궁화가 있다.

헌법기관[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vg 2016년[4] - 현재 정부 태극을 형상화한 심볼과 '대한민국정부'라는 문자열이 있다.
Flag of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1988–2016).svg 1949년 (제정) -
1988년 (대통령 공고)[5] -
2016년 (폐지)
정부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정부'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Standard of the Prime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svg 1988년 - 현재 국무총리 무궁화가 무궁화 속에 있다.
Flag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2014년 - 현재[6] 국회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국회'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Flag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1948–2014).svg 1948년 - 2014년 국회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國'이라는 한자가 있다.
Flag of Korean Courts.svg 법원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법원'이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Fla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svg 2017년 - 현재[7] 헌법재판소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헌법'이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Fla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1988–2017).svg 1988년 - 2017년 헌법재판소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憲'이라는 한자가 있다.

군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svg 1946년 - 현재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은 태극기와 합쳐 전쟁기로 사용한다.
Naval jack of South Korea.svg 1955년 - 현재 대한민국 해군선수기 선미기로는 태극기를 사용한다.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svg 1952년 - 현재 대한민국 해병대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svg 1952년 - 현재 대한민국 공군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svg 1968년 - 현재 대한민국 예비군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svg 대한민국 국방부

지방자치단체[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국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North Korea (1948–1992).svg 1948년 -1992년 국기 1948년 7월 10일부터 태극기를 내리고 인공기를 올려 지금까지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식 국기가 되었다.
Flag of North Korea.svg 1992년 - 현재 국기 이전보다 원과 별의 크기가 커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부기관[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svg 1948년 - 현재 조선로동당의 기 사회주의와 인민군을 뜻하는 망치와 붓과 곡괭이가 있다.
Flag of KSYL.svg 1946년 - 현재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의 기
Korean Women's League logo.svg 1945년 - 현재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의 기
Standard of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before 2002.svg 1948년 - 2002년 조선로동당의 최고사령부기
Standard of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svg 2002년 - 현재 조선로동당의 최고사령부기
Flag of the Chairma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North Korea.svg 2018년 -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무위원장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1948).svg 1948년 육군기 조선인민군1948년 국장과 깃발.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1948-1961).svg 1948년 - 1961년 육군기 조선인민군1948년의 두 번째 국장과 깃발 .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1961).svg 1961년 - 1992년 육군기 조선인민군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1992).svg 1992년 - 1993년 육군기 조선인민군.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Ground Force.svg 1948년 - 현재 육군기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Ground Force (1997-2012).svg 1992년 - 2012년 육군기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Ground Force (reverse).svg 1948년 - 현재 육군기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Navy (1997–2012).svg 1992년 - 2012년 해군기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Navy.svg 1948년 - 현재 해군기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Navy (reverse).svg 1948년 - 현재 해군기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Guards ensign of North Korea.svg 1948년 - 현재 근위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근위대 기이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Air Force.svg 1948년 - 현재 공군기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Air Force (1997-2012).svg 1992년 - 2012년 공군기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ir Force (reverse).svg 1948년 - 현재 공군기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Naval ensign of North Korea.svg 1948년 - 현재 군함기 조선인민군 해군의 군함에 게양하는 군함기이다.
Naval jack of North Korea.svg 1948년 - 현재 군함기 북한의 해군 잭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Strategic Force.svg 2018년 - 현재 전략군기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Korean People's Army Strategic Force (reverse).svg 2018년 - 현재 전략군기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Special Operation Force.svg 2018년 - 현재 특수부대기 조선인민군 특수부대가 사용하는 군기다.
Flag of the Korean People's Army Special Operation Force (reverse).svg 2018년 - 현재 특수부대기 조선인민군 특수부대가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Flag of the Worker-Peasant Red Guards.svg 1959년 - 현재 로농적위군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농적위군의 기다.
Flag of the Worker-Peasant Red Guards (reverse).svg 1959년 - 현재 로농적위군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농적위군의 기의 뒷면이다.

한반도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한반도의 국기 1989년 - 현재 국제대회에서 남북 단일팀이나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동시에 입장할 때 사용하며 기타 남북공동의 대회나 행사에 사용 하얀 바탕에 한반도의 모양을 그려 넣고 있으며 버전에 따라 울릉도독도가 포함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한반도의 국기
한반도의 국기

역사적인 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Flag of Korea (1882–1910).svg 1882년 국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당시 이응준이 고안한 초기의 태극기이며, 미국에서 제작한 《해양국가들의 국기》라는 제목의 책에도 수록되었다.[8]
Flag of Korea (November 1882).svg 1882년 국기 1882년에 박영효가 고안한 초기의 태극기이다. 1883년에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Flag of Korea (1883).svg
Flag of Korea (1888, Denny Taegukgi).svg 1888년 국기 데니 (Owen N. Denny)에게 고종이 하사한 깃발
Flag of Korea (1893).svg 1911년 이전  국기 1911년 The International Geography라는 책에 실린 태극기
Flag of Korea (1884).svg 1884년 국기 1884년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제작한 태극기이다.
Flag of Korea (1899).svg 1899년 국기 1899년 개정된 《해양국가들의 국기》 제6판에 국기로 실린 태극기
Fla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svg 1919년 3·1 운동 당시 태극기 3·1 운동 당시 사용한 태극기 중 하나로, 평양에 있던 숭실학교에서 만들었다.[9]
Fla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vg 1919년 - 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기 1942년 6월 29일 국기로 공식 채택되기 이전까지는 임시 정부의 정부기로 사용되었다.
Fla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svg
Korea Independence Army Marching Flag.svg 일제강점기 군기 한국독립군의 부대장이 보관하고 있던 진군기이다.
Flag of the People's Committee of Korea.svg 1945년 - 1946년 전후 한국 전역의 인민위원회에서 사용.
Flag of South Korea (1945–1948).svg 1945년 - 1948년 해방 당시의 태극기 1945년 일본제국미국한데 항복당했다는 소식들었음으로 한민족한반도에서 광복을 맞이할 때 3,5,4,6,괘로 구성된 태극기를 제작했으며 구, 서울역광장앞에 해방을 맞이하였으나,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3·5·4·6괘로 특이한 점이 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조선인민공화국의 국기이기도 하였다.
Flag of the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for North Korea.svg 1946년 - 1948년 해방 후 북조선인민위원회국기
중앙의 태극의 4괘로 구성되어 있으나, 3·5·4·6괘로 특이한 점이 있다. 남한에서 태극기를 구입하여 경교장에서 김구를 만난 이후 국기를 빌려서 북한에서 사용하였으나, 1948년 남북연석회의 때 김구에게 태극기를 반납했다.

조선시대 및 그 이전의 기[편집]

사용기간 쓰임 설명
Military Flag of Goguryeo.svg (Tonggu No. 12).svg
군기 (5세기 중엽) 고구려 군기
Military Flag of Goguryeo (Ssangyeongchong).svg
군기 (5세기 말) 고구려 군기
Royal flag of Goryeo (Bong-gi).svg
918년 - 1392년 고려군주 봉기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Royal Flag of Goryeo magi.svg
918년 - 1392년 고려군주 마기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해마기라고도 불린다. 해마기는 동방의 수를 상징한다.[10]
Royal Flag of Goryeo sanggi.svg
918년 - 1392년 고려군주 상기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상기는 북방의 수를 상징한다.[11]
Flag of the king of Joseon.svg
1392년 - 1882년 조선군주 어기 조선 군주의 어기이며, 태극기가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왕실에서 국기로서의 사용도 겸하고 있었다.
Joseon Sujagi-01.svg 조선시대 대장기 조선시대 군기의 하나로서, 수자기(帥字旗)또는 수기(帥旗)라고 한다. 조선 시대 군영의 진중에 대장의 표식으로 내걸렸다. 모양은 누른 색에 검은 색 글씨로 장수 수(帥)자가 새겨져 있으며, 기 주변에 드림(기의 장식)이 달려 있는 것도 있다.
Ensign of the Joseon Navy.svg 조선시대 군기 조선시대 군기의 하나로서, 좌독기(坐纛旗)또는 둑기라고 한다. 조선군의 상징으로 행진할 때 우두머리 장수인 주장(主將)의 앞에 세우고 멈추면 군사를 지휘하는 장수가 올라서서 명령하던 장대(將臺)의 앞 왼편에 세웠던 사각형의 깃발이다. 태극(太極), 낙서(洛書), 문왕 후천 팔괘(文王後天八卦)로 구성된다.
Imperial banner of Korea.svg 대한제국 대한황제기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태극기표준색도지정 (총무처 고시 제1997-61호)
  2. 태극기 국제표준색 지정
  3. http://korea.go.kr/new_portal/aa1200ShowPopUpPage.do?path=nation_law_emblem_popup
  4. “정부상징 67년 만에 교체로, 정부기(旗)도 29일부터 바뀐다”. 2017년 5월 20일에 확인함. 
  5.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6. “한글로 변경된 국회기”. 2019년 10월 10일에 확인함. 
  7. “헌법재판소에 펄럭이는 한글 깃발”. 2019년 10월 10일에 확인함. 
  8. '최초 태극기' 공식기록물 청주 온다”. 2019년 8월 26일에 확인함. 
  9. “대구교육박물관, 3·1운동 당시 사용된 태극기 500장 제작해 배부”. 2019년 2월 26일. 2019년 4월 22일에 확인함. 
  10. “전쟁기념관 전시물 자료 홈페이지 - 해마기”. 2016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8일에 확인함. 
  11. “전쟁기념관 전시물 자료 홈페이지 - 상기”.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