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계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배계급(支配階級, Ruling class)은 사회를 지배와 복종의 관계에서 파악할 경우 지배하는 단체를 말한다. 지배계급은 권력·권위·명망이나 거대한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 사회의 중요한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있는 계급이 필연적으로 정치적·사회적·경제적으로 다른 계급을 지배한다.

귀족[편집]

원시적인 곳들이나 중국을 제외하고는 전근대 이전의 세계는 호전적인 귀족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귀족들은 군사력을 중시하였으며 폐쇄적인 혈통을 가졌다. 이는 중국 역시도 주나라 귀족들이나 유목민 귀족들이 지배할 때 비슷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자본가[편집]

전근대 이전에서는 마찬가지로 귀족들의 지배를 받았으나 미국에 국가를 세우고 스스로 특권을 부여하고 지배층이 되었다. 이들은 경제력을 중시하며 귀족보단 개방적인 혈통을 가졌다.

관료[편집]

중국 대륙에서는 한족들이 큰 대가를 치르면서도 자꾸 귀족들을 학살해서 중국 귀족이라 할 수 있는 자들의 지배가 결국 끝나게 되었다. 그래서 귀족 대신 관료들이 지배층이 되었으나 유목민 귀족들에게 다시 지배당하기도 했다.

이런 중국의 영향을 받은 일본, 한국, 베트남 같은 나라들은 귀족들의 견제를 받긴 하였으나 당시 사상에 따라 관료들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관료들은 혈통보단 시험 합격이 더 중요했다.

분류[편집]

왕족[편집]

정치인[편집]

관료[편집]

재벌[편집]

같이 보기[편집]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지배계급"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