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6년 제13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반 사랑방
2016년 제13주
2016년 3월
9 29 1 2 3 4 5 6
10 7 8 9 10 11 12 13
11 14 15 16 17 18 19 20
12 21 22 23 24 25 26 27
13 28 29 30 31 1 2 3
2016년 4월
13 28 29 30 31 1 2 3
14 4 5 6 7 8 9 10
15 11 12 13 14 15 16 17
16 18 19 20 21 22 23 24
17 25 26 27 28 29 30 1


언어고리[편집]

{{llang}}에서 den 사용하면 슬라브어로 되는데 (버지니아 폭포 참조), en:Slavey language 즉, 슬레이비어? 로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Slavic language랑은 엄연히 다른데.. 이거 수정 어떻게 하나요? -- 강휘 (토론) 2016년 3월 29일 (화) 17:42 (KST)답변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일단 수정했습니다. 다른 분께서 다른 방법으로 문제를 수정할 수 있다면 제가 한 기여는 되돌려 주셔도 됩니다. 앞으로 기술적 문의는 위키백과:사랑방 (기술)에서 해 주세요. --ted (토론) 2016년 3월 31일 (목) 07:35 (KST)답변

타 위키의 출처없는 이미지 복사는 여전하네요.[편집]

나무위키에서 사:ButuCC라는 분이 만든 파일:Ohmi_Railway_Linemap.svg(CCL BY-SA 3.0)을 출처 없이 인용하고 있습니다. 이런식의 파일 문제가 계속되고 있네요. 이 문제로 엔하위키에도 문제 제기한 게 한 두번이 아닌데 많은 다수의 타 집단지성위키 사용자들이 제가 지속적으로 지적해 온 바를 깨닫지 못하고 있나 봅니다. 아니 깨닫지 않으려고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고요. - Ellif (토론) 2016년 3월 30일 (수) 23:45 (KST)답변

파일:OHMI_Railway_Type_700.JPG(사:まも, PD)는 그렇다 치고, ja:file:OHMI-3719 FHI KL-RA552RBN.JPG(사:Mkb, CCL BY-SA&GFDL 1.2)도 그대로 출처 없이 쓰이고 있네요. - Ellif (토론) 2016년 3월 30일 (수) 23:52 (KST)답변
나무위키 쪽에 사진의 출처나 저작권을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청하세요. 여기서 이야기해봤자 달라질 건 없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6년 4월 6일 (수) 15:22 (KST)답변

Open Call for Individual Engagement Grants[편집]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Greetings! The Individual Engagement Grants (IEG) program is accepting proposals until April 12th to fund new tools, research, outreach efforts, and other experiments that enhance the work of Wikimedia volunteers. Whether you need a small or large amount of funds (up to $30,000 USD), IEGs can support you and your team’s project development time in addition to project expenses such as materials, travel, and rental space.

With thanks, I JethroBT (WMF) 2016년 4월 1일 (금) 00:47 (KST)답변

영어판의 만우절 대문[편집]

en:Main_Page 올해도 어김없이 만우절 대문이 공개되었군요~ 한국어판에서도 내년 만우절 대문을 미리 준비해두면 재밌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7년 전에도 논의가 됐었지요. :) --닭살튀김 (토론) 2016년 4월 1일 (금) 12:52 (KST)답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위키백과를 인용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편집]

좀 해묵은 이야기이긴 하지만, 제가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5년 제31주#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자료로 구성된 문서에 대한 저작권 침해 행위 검토 필요라는 글을 올림으로써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자료를 그대로 긁어오는 경우에 대해서 저작권 침해 주의를 요망하고, 새로 작성되는 글에 저 곳에서 발행하는 자료를 출처로 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유무 확인을 당부하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지난 8월에 디지털부산향토문화대전에서 "서부 버스 터미널"이라는 글에서 위키백과를 인용한 정황이 발견되었습니다.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은 도심부인 동구 범일동에 있던 시외버스 터미널을 이용하던 중·서부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및 호남 지역을 운행하는 13개 회사 시외버스를 집결시켜, 도심 교통난을 해소하고 외곽 지역과의 연계성을 높이고자 1985년 2월 사상구 괘법동에서 개장하였다.

— 디지털부산향토문화대전, "서부 버스 터미널" 항목 내용 중 일부

당시 이 글에서는 출처를 "『매일 경제』, 1978. 6. 30" ,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http://www.busantr.com)"라고 달아놨습니다만 해당 터미널이 이전한 연도는 1985년 2월이고, 서부시외버스터미널 공식 홈페이지에는 이러한 연혁을 전혀 밝혀놓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런 내용도 있습니다.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은 본관 A동과 B동, 별관 A동과 B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은 본관 A동이며, 본관 B동과 별관은 상업 시설이다. 본관 A동은 정육각형의 3층 건물로 1층에는 매표소와 승강장 및 편의점, 생활용품 전문점 다이소 매장이 있고, 2층은 푸드 코트와 커피숍 등 식당가, 3층은 터미널·여객 운수사 사무실이 자리하고 있다. 본관 B동과 별관 A동은 지하 1층에서 지상 5층의 건물로 의류 패션 잡화 등 애플 아울렛 매장이 들어서 있으며, 롯데 시네마 사상, 피자헛, 맥도날드, 치과 등도 자리하고 있다. 별관 B동은 지하 1층에서 지상 4층 건물로 미용실, 핸드폰 매장, GS 25, 네스카페, KFC 등이 있다.

— 디지털부산향토문화대전, "서부 버스 터미널" 항목 내용 중 일부

본래 터미널은 1960년에 동구 범일동 부산시민회관 옆 '조방앞'에 생겼으며[1] 고속버스터미널도 겸했다. 그러다 1983년 고속버스 부분만 온천3동으로 이전하고 1985년 2월 16일에 시외버스터미널도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였으며[1] 2004년에 증축하였다. 터미널과 더불어 애플아울렛, 롯데시네마 사상 등의 상업 시설이 함께 있다. 터미널(본관A동)과 상업 시설(본관B동) 건물 외벽, 내부 기둥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본관 A동(지상 1층 ~ 지상 3층) : 매표소, 식당가, 매점, 각 여객 회사 사무실이 위치해 있다.
  • 본관 B동(지하 1층 ~ 지상 5층) : 애플아울렛 매장, 롯데시네마 사상, 피자헛, 맥도날드 등이 위치해 있다.
  • 별관 A동(지하 1층 ~ 지상 5층) : 애플아울렛 매장, 치과 등이 위치해 있다.
  • 별관 B동(지하 1층 ~ 지상 4층) : 미용실, 핸드폰매장, GS25, 네스카페, KFC 등이 위치해 있다.
— 위키백과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내용 중 일부

두 내용을 비교해봤을 때 아주 흡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위키백과를 인용하고 출처로 밝히지 않은 것에 대해 해명을 요구했었는데, 그동안 답변이 오지 않았다가 오늘 답변이 왔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콘텐츠편찬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수정 문의 담당자입니다. 우선 저희 시스템이 원활하지 않아 이제야 메일을 확인하고 답변 드리게 된 점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선생님께서 확인을 요청하신 항목[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의 원래 원고를 찾아보니 집필자께서는 위키백과를 참고문헌으로 기재하셨습니다.

그런데 교열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확인되어 원고에 위키백과를 참고문헌으로 다시 기재하였습니다.

확인하여 보시고 미흡한 점이나 잘못된 점이 있으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저희 [부산역사문화대전] 사이트에서는 수정된 내용이 바로 반영이 되지만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지식백과에는 통보와 반영에 소요되는 시간이 있어서 며칠 후 수정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본의 아니게 선생님께 누를 끼치게 되어 깊이 사과드립니다. 앞으로 이런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 편지 답장 내용 본문 발췌

따라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작성하고 있는 글 일부에서도 위키백과를 참고했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5년 제31주#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자료로 구성된 문서에 대한 저작권 침해 행위 검토 필요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글 발췌를 다른곳은 다 되는데 위키만 안된다는 답변"을 했었는데 이러면 어떻게 되는지 혼란스럽네요. 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료를 인용할 때 잘못하면 순환참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설하고, 다른 사용자 분들에게 이를 계기로 다음을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인터넷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작성해 새로 추가되는 항목에서 위키와 동일한 내용이 발견될 경우 적극적으로 위키와 교차하여 위키를 참고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참고 여부가 확인되는데 출처에 위키백과가 언급되어 있지 않다면 적극적으로 위와 같이 출처 추가를 요청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계속 확장하고 있는 각 지역별 향토문화대전에서 이러한 경우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커뷰 (토론) 2016년 4월 1일 (금) 19:04 (KST)답변

좀 벗어난 이야기지만. 향토문화대전의 글 마다 위키백과 아이콘이 존재하는군요. 그걸 누르면 바로 문서 만들기가 되네요. 근데 이미 위키에 존재하는 성주산 글은 잘못된 제목으로 가지고. 제목 그대로 만들면 안될 법한 '시화호와 간척사업' 이라는 사진은 시화호와+간척사업으로 만들어지네요. 위키백과와 상생하고자 하는 것 같군요. 반대로 저 곳의 내용 복사붙여넣기도 쉬워지겠어요.-- Exj  토론  2016년 4월 2일 (토) 03:15 (KST)답변
구체적으로 확인까지 된 만큼, 이곳을 출처로 삼을 때는 조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 메이 `토론 2016년 4월 2일 (토) 11:21 (KST)답변

지지난달인가 초보자 강의 모임에서 한국학 연구 관계자 분이 오셨었는데 그게 저건가 보군요. 미디어위키에 대해서 이것 저것 물어보시더라고요.--Leedors (토론) 2016년 4월 4일 (월) 01:04 (KST)답변


위키 라운드 테이블 행사 개최[편집]

안녕하세요.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에서는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 익숙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유 토론회인 위키 라운드 테이블: 위키수다 행사를 개최합니다. 자세한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모임에서 위키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으고, 여기서 파생된 아이디어를 오프라인 모임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 주최: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 대상: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 익숙한 사용자
  • 방식: 참가자가 제시한 그 자리에서 제시한 토론 주제 중에서 주제를 결정하고 토론
  • 시기: 2016년 4월 16일(KST)
  • 참가비: 무료
  • 기타: 간식 제공

일정[편집]

시간 장소 내용
~1:5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정문 집합 (연락처:070-4006-7220)
2:00 ~ 3:3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시 관람
4:00 ~ 6:00 토즈 광화문점 위키를 주제로 자유 토론

참가 신청[편집]

--MOTO (토론) 2016년 4월 4일 (월) 19:0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