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노 도쿄 라인
우에노 도쿄 라인 上野東京ライン | |
---|---|
![]() | |
우에노 역 ~ 도쿄역 간을 주행하는 우에노 도쿄 라인 E231계 전동차.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소재지 | 도치기현, 이바라키현, 사이타마현, 군마현, 후쿠시마현, 지바현, 도쿄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
구간 | 3.6 km |
기점 | 우에노역 |
종점 | 도쿄역 |
역 수 | 2 |
경유 노선 | 도호쿠 본선(도쿄역 ~ 오쿠역 ~ 우라와역 ~ 구로이소역 간의 열차선) 다카사키선 조에쓰선(다카사키역 ~ 신마에바시역 간) 료모선(마에바시역 ~ 신마에바시역 간) 도카이도 본선(도쿄역 ~ 가와사키역 ~ 누마즈역 간의 열차선) 이토선 조반선(닛포리역 ~ 이와키역 간의 열차선) 나리타선(아비코역 ~ 나리타역 간) |
노선 기호 | ![]() ![]() ![]() |
개통일 | 2015년 3월 14일 |
소유자 | ![]() |
운영자 | ![]() |
노선 제원 | |
노선 거리 | 3.6 km (도쿄 ~ 우에노 간) |
궤간 | 1,067 mm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 직류 1,500볼트 가공전차선 방식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신호 방식 | ATS-P |


우에노 도쿄 라인(上野東京ライン、うえのとうきょうライン)은 도쿄도 다이토구의 우에노역과, 도쿄 도 지요다구의 도쿄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이다.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 쾌속선과 도카이도선에 직통 운행하고 있다. 개통 이전에는 도호쿠 종관선(일본어: 東北縦貫線)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으나, 2013년 12월 9일에 지금의 이름으로 결정되었다.[1] 2015년 3월 14일 개통되었다.[2]
개요
[편집]도호쿠 신칸센의 건설로 인하여, 우에노역 ~ 도쿄역간이 분리되었다. 영업거리표 상으로는 도호쿠 본선의 시점은 도쿄역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이 끊어진 구간으로 인해 동북 3선(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을 주행하는 열차는 우에노 역에서만 착발하게 되었고, 두 역 사이에는 게이힌 도호쿠선과 야마노테선만 운행되고 있다. 도호쿠 종관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끊어진 도쿄 ~ 우에노 간의 선로를 다시 부설함으로써 우에노에서 착발하는 동북 3선을 도쿄역까지 연장하여, 도카이도 본선에 직통운전을 하기위한 계획이다. 완공될 경우, 위의 동북 3선에서 도카이도선 도쿄 ~ 신바시 ~ 시나가와 ~ 가와사키 ~ 요코하마 ~ 오후나방면으로 직통이 가능해지고, 야마노테선, 게이힌 도호쿠선의 혼잡율이 큰 폭으로 완화되어 직통수송체계의 정비에 의해 소요시간이 단축되는 등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에노역과 도쿄역간 정차하는 역은 없으며, 초기에 아키하바라역의 정차를 검토했으나 건설비용 대비 편익비가 낮게 나오고 공간부족으로 인해 통과하는걸로 결론지었다. 총 사업비는 400억 엔이며 도호쿠 신칸센 고가선로에 복층으로 도호쿠종관선을 건설하기 때문에 도호쿠 종관선을 통행하게 되는 차량들 모두 33퍼밀에 가까운 급구배에 대응할 수 있는 차량으로 전량 교체해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운행
[편집]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2018년 3월) |
우쓰노미야선, 조반선, 다카사키선 열차는 우에노 역과 도쿄역 사이를 무정차 운행하며, 도카이도선의 시나가와역과 요코하마역까지 직결 운행한다.[3] 운행 초기에는 아침 첨두 시간대에 시간당 15편성이 직결 운행할 예정이며, 2016년부터는 시간당 20편성이 직결 운행한다. 조반선 특급(히타치, 토키와) 또한 우에노 도쿄 라인을 경유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시나가와역에서 종착하게 된다.[4]
2014년 1월, JR 동일본 사장 토미타 테츠로는 우에노 도쿄 라인을 이용해서 하네다 공항까지 연결하는 신선 건설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5]
역목록
[편집]- 정차역
●:정차, |:통과, 공백:통하지 않음
정식노선명 | 역번호 | 역명 | 일어 역명 | 역간 영업 거리 |
도쿄 에서의 영업 거리 |
보통/쾌속엑티 | 쾌속래빗/어반 | 조반선직통계열 | 접속노선 | 소재지 | ||
---|---|---|---|---|---|---|---|---|---|---|---|---|
직통운행구간 | 오미야역에서:![]() 닛포리역에서: ![]() | |||||||||||
도호쿠 본선 | JU 07 | 오미야 | 大宮 | - | 30.5 | ● | ● | ![]() ![]() ![]() ![]() ![]() ![]()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시 | 오오미야구 | |
JU 06 | 사이타마신토신 | さいたま新都心 | 1.6 | 28.9 | ● | | | ![]() | |||||
JU 05 | 우라와 | 浦和 | 4.5 | 24.4 | ● | ● | ![]() ![]() |
우라와구 | ||||
JU 04 | 아카바네 | 赤羽 | 11.0 | 13.4 | ● | ● | ![]() ![]() ![]() |
도쿄도 | 기타구 | |||
JU 03 | 오쿠 | 尾久 | 5.0 | 8.4 | ● | | | ||||||
JJ 02 | 닛포리 | 日暮里 | 2.6 | 5.8 | | | | | ● | ![]() ![]() ![]() |
아라카와구 | |||
JJ 01 JU 02 |
우에노 | 上野 | 2.2 | 3.6 | ● | ● | ● | ![]() ![]() ![]() ![]() ![]() ![]() ![]() ![]() ![]() |
다이토구 | |||
JU 01 | 도쿄 | 東京 | 3.6 | 0.0 | ● | ● | ● | ![]() ![]() ![]() ![]() ![]() ![]() ![]() ![]() ![]() ![]() ![]() ![]() ![]() ![]() |
지요다구 | |||
도카이도 본선 | JT 01 | |||||||||||
JT 02 | 신바시 | 新橋 | 1.9 | 1.9 | ● | ● | ● | ![]() ![]() ![]() ![]() ![]() ![]() ![]() |
미나토구 | |||
JT 03 | 시나가와 | 品川 | 4.9 | 6.8 | ● | ● | ● | ![]() ![]() ![]() ![]() | ||||
JT 04 | 가와사키 | 川崎 | 11.4 | 18.2 | ● | ● | ![]() ![]() |
가나가와현 |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 |||
JT 05 | 요코하마 | 横浜 | 10.6 | 28.8 | ● | ● | ![]() ![]() ![]() ![]() ![]() ![]() ![]() |
요코하마시 | 니시구 | |||
JT 06 | 도쓰카 | 戸塚 | 12.1 | 40.9 | ● | ● | ![]() ![]() ![]() |
도쓰카구 | ||||
JT 07 | 오후나 | 大船 | 5.6 | 46.5 | ● | ● | ![]() ![]() ![]() ■ 쇼난 모노레일 에노시마선 (SMR 1) |
가마쿠라시 | ||||
직통운행구간 | ![]() ![]() ![]() |
역사
[편집]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도쿄역과 우에노역간에 회송 열차나 화물 열차를 달리게 하기 위한 회송선이 존재하여, 전후 1946년 7월 연합군 전용 열차가 처음으로 해당 구간을 직통하게 되었다. 1954년~1956년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의 분리공사로 인하여 우에노역에서 회차했던 조반선이 아침 시간에만 유라쿠초역까지 연장 운행을 하였고, 연장 운행 종료 이후에도 우쓰노미야선, 조반선, 다카사키선의 통근열차가 우에노역부터 신바시역까지 연장 운행하였다. 이 밖에도 급행과 특급 열차들이 도쿄역에서 발차하여 도호쿠 본선까지 노선 연장 운행을 하고 있었다.[6]
그러나 도호쿠 신칸센 건설을 위한 선로 부지를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JR 동일본은 1983년 1월을 기점으로 모든 직통 운전을 폐지하고, 아키하바라역과 간다 부근에서 선로를 분단시켜 그 사이에 도호쿠 신칸센 전용선을 건설하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이로 인해 도호쿠 본선(우쓰노미야선) 계통의 열차는 도쿄역까지 연장 운행할 수 없게 되었고, 남은 선로는 유치선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 후, 우에노 ~ 도쿄 간에는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 이외의 열차가 다니지 않아 해당 노선은 러시아워 때 혼잡이 극심하게 되었다.[7] 대책으로 선로와 신호를 개량하고 보다 많은인 원을 수용할 수 있는 신형 전동차를 도입했으나 역부족이었고, 따라서 도쿄 이북지역의 지자체에서는 동북 3선에 대한 도쿄역 노선 연장을 요청하게 되었다. JR 동일본에서는 이에 대해 2009년말까지 완성을 목표로 도쿄역 ~ 아키하바라역간 도호쿠 종관선 건설 공사를 계획하여 2002년 3월에 공사 계획을 발표하였다.
차량
[편집]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도카이도선계열
조반선계열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일본어) 도호쿠 종관선의 개통 시기, 애칭에 관해 보관됨 2014-03-20 - 웨이백 머신 - 동일본여객철도, 2013년 12월 9일
- ↑ (일본어) 우에노 도쿄 라인의 개통에 따라, 남북의 대동맥이 움직입니다 보관됨 2016-03-04 - 웨이백 머신 - 동일본여객철도, 2014년 10월 30일
- ↑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No. 49 (pp.18–24) 보관됨 2016-03-03 - 웨이백 머신 retrieved 2009-05-15
- ↑ 「上野東京ライン」開業により、 南北の大動脈が動き出します [North-south artery comes into operation with opening of Ueno-Tokyo Line] (PDF). 《News release》 (일본어). Japan: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4년 10월 30일. 2014년 10월 30일에 확인함.
|script-title=
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16) (도움말) - ↑ “JR東、羽田新路線を北関東と直結 東北縦貫線との接続検討” [JR East considering connecting new Haneda line to Ueno-Tokyo Line to provide link to northern Kanto]. 《SankeiBiz》 (일본어). Japan: Sankei Digital Inc. 2014년 1월 10일. 1-2쪽. 2014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運行記録の詳細は結解学「東北縦貫線ストーリー」 交友社『鉄道ファン』2008年10月号 No.570 p89 - p95을 인용
- ↑ JR高崎・東北線の東京駅乗り入れ 보관됨 2014-12-20 - 웨이백 머신、埼玉県議会 平成11年6月定例会 一般質問 質疑質問・答弁全文、1999年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우에노 도쿄 라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