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카와시
아사히카와시 旭川市 あさひかわし | |||||
---|---|---|---|---|---|
| |||||
나라 | ![]() | ||||
지방 | 홋카이도 지방 | ||||
도도부현 |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청 | ||||
시정촌코드 | 01204-1 | ||||
면적 | 747.66 km2 | ||||
총인구 | 314,101명 [편집] (주민기본대장인구, 2025년 3월 31일) | ||||
인구밀도 | 420명/km2 | ||||
시목 | 마가목 | ||||
시화 | 진달래 | ||||
아사히카와시청 | |||||
시장 | 니시카와 마사히토(西川 将人) | ||||
소재지 | (〒070-8525)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청 아사히카와시 6条通 9초메 북위 43° 46′ 14.3″ 동경 142° 21′ 54.0″ / 북위 43.770639° 동경 142.365000° | ||||
웹사이트 | 아사히카와시 ![]() | ||||
![]() | |||||
아사히카와시(일본어:
지리
[편집]홋카이도 거의 중앙의 가미카와 분지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이시카리강, 주베쓰강, 비에이강, 우시슈베쓰강 등 크고 작은 130개의 하천이 흐르고 740개의 다리가 가설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이시카리강과 우시슈베츠강이 만나는 곳에 있는 아사히 교는 1932년 완성한 철제 아치교로 홋카이도 유산에 선정되어 있다.
기후
[편집]내륙 특유의 기후로 연간의 기온차가 크다. 여름은 위도에 비해 덥고, 겨울은 홋카이도 내에서도 굴지의 추위로 알려져 있다. 1902년 1월 25일에는 일본의 기상 관청에서 관측 사상 최저 기온인 -41.0℃을 기록했다. 그러나 근년에는 도시화 등의 영향에 의한 고온 경향으로 -20℃ 이하가 되는 날이 감소하고 있다. 연중 바람이 약하고, 겨울에 눈보라가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강수량도 홋카이도 내에서는 적고, 전국 평균치의 반 정도이다. 이것은 장마가 없고 태풍의 영향도 별로 받지 않기 때문으로, 여름은 한여름날이 10일 전후로 기록되는 등 홋카이도에서는 고온이지만 무로란시나 하코다테시 등 해안부와 비교해서 습도가 낮고 건조한 기후여서 체감 온도는 낮아 지내기 편하다. 참고로 최고기온은 36도이다. 평균 기온은 영상 7도이다.
아사히카와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1.7 (53.1) |
12.2 (54.0) |
18.8 (65.8) |
29.6 (85.3) |
34.3 (93.7) |
35.9 (96.6) |
37.6 (99.7) |
37.9 (100.2) |
33.3 (91.9) |
28.2 (82.8) |
22.0 (71.6) |
14.7 (58.5) |
37.9 (100.2)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3 (26.1) |
−1.7 (28.9) |
3.0 (37.4) |
11.2 (52.2) |
18.8 (65.8) |
22.8 (73.0) |
26.2 (79.2) |
26.6 (79.9) |
21.9 (71.4) |
14.9 (58.8) |
6.2 (43.2) |
−0.8 (30.6) |
12.2 (54.0) |
일일 평균 기온 °C (°F) | −7.0 (19.4) |
−6.0 (21.2) |
−1.4 (29.5) |
5.6 (42.1) |
12.3 (54.1) |
17.0 (62.6) |
20.7 (69.3) |
21.2 (70.2) |
16.4 (61.5) |
9.4 (48.9) |
2.3 (36.1) |
−4.2 (24.4) |
7.2 (45.0)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1.7 (10.9) |
−11.8 (10.8) |
−6.1 (21.0) |
0.2 (32.4) |
6.1 (43.0) |
12.0 (53.6) |
16.4 (61.5) |
16.9 (62.4) |
11.7 (53.1) |
4.4 (39.9) |
−1.5 (29.3) |
−8.0 (17.6) |
2.4 (36.3) |
역대 최저 기온 °C (°F) | −41.0 (−41.8) |
−38.3 (−36.9) |
−34.1 (−29.4) |
−19.0 (−2.2) |
−7.1 (19.2) |
−1.2 (29.8) |
1.0 (33.8) |
2.4 (36.3) |
−1.8 (28.8) |
−8.0 (17.6) |
−25.0 (−13.0) |
−30.0 (−22.0) |
−41.0 (−41.8)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66.9 (2.63) |
54.7 (2.15) |
55.0 (2.17) |
48.5 (1.91) |
66.6 (2.62) |
71.4 (2.81) |
129.5 (5.10) |
152.9 (6.02) |
136.3 (5.37) |
105.8 (4.17) |
114.5 (4.51) |
102.4 (4.03) |
1,104.4 (43.48) |
평균 강설량 cm (인치) | 125 (49) |
97 (38) |
80 (31) |
15 (5.9) |
0 (0) |
0 (0) |
0 (0) |
0 (0) |
0 (0) |
2 (0.8) |
82 (32) |
158 (62) |
557 (219) |
평균 강수일수 (≥ 0.5mm) | 22.2 | 18.6 | 18.6 | 14.2 | 12.1 | 10.8 | 11.6 | 11.9 | 14.2 | 16.9 | 21.4 | 25.1 | 197.6 |
평균 강설일수 | 30.2 | 26.5 | 26.0 | 13.8 | 1.6 | 0.0 | 0.0 | 0.0 | 0.0 | 3.3 | 20.3 | 30.1 | 151.5 |
평균 상대 습도 (%) | 82 | 78 | 73 | 66 | 67 | 73 | 77 | 79 | 79 | 79 | 80 | 83 | 76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75.3 | 96.1 | 141.3 | 169.5 | 197.4 | 176.5 | 159.8 | 154.6 | 144.7 | 125.9 | 67.3 | 58.1 | 1,566.5 |
출처: 일본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888년~현재)[1][2] |
역사
[편집]도야마현 동부에서의 입식자에 의해서 개척되었다. 1855년, 서 에조지는 천령이 되었고 후의 가미카와 군(현재의 아사히카와 시 부근)에 해당하는 지역은 에도 막부의 직명에 의해서 놓여진 이시카리 관청의 소관이 된다. 이후 홋카이도 11국 86군이 제정되어 아사히카와는 이시카리 국 가미카와 군에 포함되었다.
- 1890년 - 가미카와 군에 아사히카와·나가야마·가미이의 3촌을 설치했다.
- 1900년 - 아사히카와 촌을 아사히카와 정으로 개칭했다.
- 1902년 - 일본 관측 사상 최저 기온(섭씨 영하 41.0도)을 기록했다.
- 1914년 - 아사히카와 구가 되었다.
- 1922년 - 시로 승격해 아사히카와 시가 되었다.
- 1961년 4월 1일 - 나가야마 정을 편입했다.
- 1963년 8월 15일 - 히가시아사히카와 정을 편입했다.
- 1966년 - 아사히카와 공항이 개항했다.
- 1967년 - 아사히카와 시 아사히야마 동물원이 개원했다.
- 1968년 3월 1일 - 가구라 정을 편입했다
- 1970년 - 아사히카와 시의 인구가 30만명을 돌파. 아사히카와 대교가 개통.
- 1971년 3월 2일 - 히가시타카스 정을 편입했다.
산업
[편집]
산지·물류의 거점으로서 발전해 예전에는 '아사히카와 상인'이라는 말도 있었다. 농업이 번성하고 홋카이도에서 양질의 쌀 생산지로서 알려져 있다. 가무이코탄 지구에서는 사과나 체리 등의 과수를 생산한다. 메밀국수의 생산량은 일본 3위이다. 일본의 5대 가구 생산지(아사히카와 가구)의 하나에도 들고 있다. 주조업도 번성하고 있다. 근년에는 아사히카와 시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약진에 의해 관광객 수가 큰폭으로 증가해, 상반기 관광객 수에서 오타루시나 하코다테시를 제치고 홋카이도내 2위가 되었다.
교육
[편집]대학
[편집]국립대학
- 아사히카와 의과대학 (旭川医科大学, Asahikawa Medical University)
교통
[편집]공항
[편집]철도
[편집]
도로
[편집]자매 도시
[편집]각주
[편집]-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일본 기상청.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일본 기상청.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