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Njkcs478/중국-우크라이나 관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크라이나 오데사 중국 총영사관.

중국-우크라이나 관계는 우크라이나중국 간의 대외 관계입니다. 두 국가 간의 기록상 최초의 접촉은 1715년 우크라이나 대주교인 힐라리온(레자이스키)이 이끄는 중국의 첫 번째 러시아 정교회 사절단 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 소련 의 일부로서 우크라이나는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했습니다. [2] 우크라이나가 1991년 소련 으로부터 독립한 후, 두 나라는 1992년 공식 외교 관계를 구축했고, [2] [3] 2011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선언했습니다. [3] [4]


중국은 키예프 에 대사관을, 오데사 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베이징 에 대사관이 있고 상하이 에 총영사관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주재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6,000명 이상의 중국 시민이 우크라이나에서 일하거나 공부하고 있습니다. [5] 중국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관에 따르면 50,000~100,000명의 우크라이나 시민이 중국, 특히 베이징, 상하이, 하얼빈 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6]

역사적 관계[편집]

중국과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접촉은 1715년 중국 청나라 의 수도인 베이징에 최초로 러시아 정교회 사절단이 도착한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임무는 우크라이나 Archimandrite Hilarion Lezhaysky가 이끌었습니다. 대수도원은 키예프-모힐라 아카데미(Kyiv-Mohyla Academy) 를 졸업하고 중국에 오기 전에 체르니히프 (Chernihiv)에서 교사로 재직했습니다. 1742년 중국에 도착한 게르바시우스 렌초프스키(Gervasius Lentsovsky)와 같은 그의 임무 후임자 중 상당수는 우크라이나 출신이었습니다. 아버지들은 또한 우크라이나에 지식을 가져왔습니다. 따라서 1722년에 설립된 하르키우 대학에서는 중국어 원본 서적이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기록상 중국인 최초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1896년 오데사에 상륙해 러시아 제국의 광활한 땅을 건너 마침내 제국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 에 도착한 리홍장 이 이끄는 사절단이었다. [1]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오데사 로 이주한 중국인이 드물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중 사상자로 인한 인력 부족을 메우기 위해 전쟁 중 중국인 노동자 6~7천 명이 우크라이나에 모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1] [7]

1966년 11월 24일 유엔 총회 제21회 2159차 회의에서 중국이 중국에 관한 유사한 협정을 지지하기 위해 벨로루시, 우크라이나, 소련의 이중 대표를 인용하자 우크라이나 대표는 그러한 협정에 반대하고 추방을 지지했습니다. 중화민국(대만) 대표와 중화인민공화국 소재지를 이전한다. [8] 1972년 10월 25일, 우크라이나 대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지지하기로 투표했습니다. 소련이 해체된 후, 중화인민공화국은 1992년에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와 수교를 맺었습니다. [8] [9]

정치적 관계[편집]

1991년 이후 중국-우크라이나 관계는 복잡해졌습니다. [4] 1992년부터 2004년까지 양국 관계가 강화되어 무역, 경제, 군사 기술, 과학, 교육 및 문화 협력이 이루어졌고 두 차례의 국빈 방문이 이루어졌습니다. [4] 그러나 키예프가 2005년 국제 위기 그룹 회의를 위해 대만 관리의 우크라이나 방문을 허용한 후 빅토르 유셴코 (2005~2010)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관계가 악화되었습니다. [4] 2010년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중국은 2011년 두 나라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 및 발전에 관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하면서 우크라이나와의 정치적 접촉을 부활시켰습니다. [4] 그러나 마이단 혁명 이후 중국은 이 시위가 서방의 후원을 받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크라이나와 공식 접촉을 비밀리에 유지해 왔습니다. [10]

핵안보 보장[편집]

1994년 일방적인 정부 성명에서 중국은 우크라이나에 핵 안보 보장을 제공했으며, 여기서 중국은 공정한 협상을 통해 이견과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의향을 밝혔습니다. [11] 2013년 12월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공산당 지도자는 양자 조약을 체결하고 공동성명을 발표했으며, 여기서 중국은 핵 침략이나 침략 위협이 있을 경우 우크라이나에 핵 안전을 보장할 것임을 재확인했습니다. [12] [13] 그러나 중국 정부 관영 언론사 인 신화 통신의 초기 보도에서는 '핵우산'이라는 표현 [14] 피하고 중국이 우크라이나에 '안전 보장'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 습니다. 중국 공산당은 "중국이 우크라이나에 핵우산 보호를 제안한다"라는 제목을 사용했는데, 이는 이후 검열됐다. [13] 베이징 칭화대학교 국제관계학과의 우 다후이 교수에 따르면, 이 약속은 단순히 베이징의 글로벌 비확산 책임의 표현일 뿐입니다. [14]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편집]

화춘잉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이번 전쟁을 러시아의 침략이라고 부를 것이냐는 질문에 명확한 예, 아니오 대답을 거부하고 대신 서방이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비난하며 "현재 긴장의 주범은 미국"이라고 비난했다. 1999년 미국이 베오그라드 주재 중국 대사관을 폭파한 이후 NATO가 중국에 "피의 빚"을 지고 있음을 대중에게 상기시켰다 [15] 공식 언론은 또한 분쟁을 침략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16]

중국 대사는 전쟁 전 우크라이나 언론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중국의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17] 중국 정부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을 인정하지 않고 점령 당국과의 접촉을 제한했다. [18] 중국은 관련 UN 안보리 표결 에서 기권했습니다. [19] [20] 중국 역시 제재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서방이 주도하는 제재를 시행했다. [21]

전쟁에 대한 혼란스러운 공식적인 반응은 소셜 미디어에서 러시아의 군사적 행동에 대한 드문 논쟁으로 이어졌습니다. [16] 우크라이나 대사관이 웨이보 에서 러시아를 비난하는 중국어 성명을 발표하자, 이 주제는 곧 플랫폼에서 가장 뜨거워졌고, "우크라이나는 웨이보에서 성명을 발표합니다"라는 해시태그가 하루에 3억 회 이상 조회되었습니다. [22] 미국, 영국, 유럽연합(EU) 국가, 러시아 정부도 전쟁에 대응해 웨이보를 통해 성명을 발표했다. [23] 중국 회사 NetEase는 우크라이나의 중국인과 중국의 우크라이나인의 반전 비디오를 게시했습니다. [24] [25] 그러나 중국이 러시아를 비판하지 않아 우크라이나에 고립된 중국인에 대한 현지 적대감이 커졌지만, 중국은 전쟁 중재 의지를 밝혔습니다. [26] [27]

2022년 3월, 중국 국영 언론 매체 중국 글로벌 텔레비전 네트워크 (CGTN)는 우크라이나 생물무기 음모론을 홍보하기 시작했습니다. [28] [29] [30] [31] 이 콘센트는 또한 Meta Platforms가 러시아 국영 미디어 광고 구매를 금지한 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친 크렘린의 논점을 다루는 브리핑 및 뉴스캐스트를 통해 Facebook 에서 디지털 광고를 게재하기 시작했습니다. [32] [33]

2022년 3월 17일, 판셴롱(Fan Xianrong) 우크라이나 주재 중국 대사는 중국이 우크라이나를 경제적, 정치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4]

2022년 3월 19일, 우크라이나는 미국이 중국이 물질적 지원으로 러시아의 침공을 돕는다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 후 서방 국가들과 함께 "러시아의 잔인함"을 비난할 것을 중국에 요청했습니다. [35]

2022년 4월, The Times는 우크라이나 보안국(SBU) 관리 에 따르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기 며칠 전에 인민 해방군 의 사이버 전쟁 부대가 수백 개의 우크라이나 정부 사이트에 대해 사이버 공격을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 [36] 이후 SBU는 사건에 대해 언론에 공식 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을 부인했으며, 해당 신문이 도달한 결론과 연관이 없으며, 조사 중이 아니며 그러한 공격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37]

2022년 5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멀리하는 중국의 현재 정책에 만족한다고 말하면서 "중국은 멀리하는 정책을 선택했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이 정책에 만족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어떤 경우에도 러시아 연방을 돕는 것보다 낫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우리는 이 현상에 만족합니다." [38]

2022년 9월,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올렉산드르 메레즈코 는 중국이 우크라이나의 동맹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 중국 공산당(CCP) 총서기 시진핑이 러시아 및 중국과의 '무한한 파트너십'을 선전하여 러시아의 선전을 증폭시키기 때문입니다. [39]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두 명은 중국 공산당이 전 세계 민주주의와 인권을 훼손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기 위해 의회간 연합에 가입했습니다. [39]

2022년 9월 30일,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의 현재 입장이 러시아보다 우크라이나에 더 유익하다고 말했습니다. [40]

2023년 4월, 루 샤예 프랑스 주재 중국 대사는 구소련 국가들은 "국제법상 유효한 지위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크림반도가 우크라이나 영토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사는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고 답했다. 시작. [41] [42] 바딤 오멜첸코 프랑스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는 이에 대해 지리 이해에 문제가 있거나 중국 대사의 발언이 유엔 헌장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답했다. [43] 오멜첸코 대사는 또한 "블라디보스토크의 주인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중국대사에게. [44] 이후 중국 정부는 루샤예의 발언과 거리를 두며 이를 "개인적인 발언"이라고 묘사하고 "중국은 소련 붕괴 이후 주권 국가로서 회원국의 지위를 존중한다"고 말했습니다. [45]

2023년 4월 26일, 시 주석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있은 지 한 달여 만에 젤렌스키에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46]

2023년 9월, 중국 오페라 가수 왕팡(Wang Fang)은 2022년 공습 으로 수백 명이 사망한 우크라이나 마리우폴 드라마 극장 에서 소련 노래 ' 카츄샤 '를 부른 뒤 외교적 논란을 촉발시켰다 [47] 왕 씨는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동부를 방문한 중국 대표단 중 한 명이었습니다. 올렉 니콜렌코 우크라이나 외무부 대변인은 "중국 대표단의 점령지 우크라이나 방문은 불법"이라며 "중국 오페라 가수 왕팡의 '카츄샤'가 마리우폴 유적지에서 공연됐다"고 밝혔다. 러시아 군대가 600명 이상의 무고한 사람들을 죽인 드라마 극장은 완전한 도덕적 타락의 예입니다." [48]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앞으로 중국 블로거의 방문을 금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49]

2024년 5월, 영국 국방장관은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치명적인 지원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50]

무역관계[편집]

두 나라는 특히 2008년 이후 강력한 무역 관계를 구축해 왔습니다. [4] 중국은 2019년에 우크라이나의 최대 무역 파트너가 되었으며, [51] 2020년 무역액은 154억 달러였으며, 그 중 우크라이나의 상품 수출액은 71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총 무역 회전율은 2001년 우크라이나 GDP 의 2%에서 2020년 11%로 증가했습니다. [4] 양국은 1998년 중국이 우크라이나 항공모함 Varyag 를 구매하고 2012년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인 Liaoning을 구입하는 등 군사 기술 분야와 우주 산업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해 왔습니다. . [4] [12] 2018년까지 우크라이나는 미국을 대신해 중국에 대한 최대 옥수수 수출국이 되었으며 중국에 군용 항공기용 현대식 제트 엔진을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52] [53]

2009년 우크라이나 독감 유행 당시 중국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진단 장비, 안면 마스크, 안경, 장갑 및 기타 보호 수단을 공급하기 위해 총 350만 위안 (50만 달러) 상당의 무료 지원을 할당했습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의 우크라이나 투자는 5천만 달러에서 2억 6천만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전체 외국인직접투자 (FDI)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5%로 적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투자 증가율은 전체 FDI 증가율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54] 주로 중국 국영 기업은 우크라이나 국영 기업에 투자합니다. [54] 대출은 일반적으로 국영 은행에서도 제공됩니다. [54] 중국 기업은 주로 에너지 부문과 농업 분야에서 우크라이나 기업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54]

2023년 4월 우크라이나 부패 방지국은 중국의 Xiaomi Corporation을 "국제 전쟁 후원자"로 지정했습니다. [55] 2023년 6월에 이 기관은 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 Ltd. (일반적으로 Geely 로 알려진 중국의 주요 자동차 회사)를 국제 전쟁 후원자 목록에 추가했습니다. [56] 이 목록에는 Great Wall Motor, China State Construction Engineering Corporation, Hikvision, Dahua Technology, [57]Alibaba Group 과 같은 중국 기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58]

여론[편집]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 )의 2019년 여론조사에서 우크라이나인의 57%가 중국에 대해 호의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반면, 14%는 비우호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59]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중국에 대한 대중의 태도가 바뀌었습니다. Razumkov Center 가 2023년 2월~3월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우크라이나인의 60%가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

중앙 유럽 아시아 연구소에서 실시한 2022년 3월 인터넷 설문 조사에 따르면 중국 응답자의 46%는 우크라이나를 부정적으로 인식했습니다. 중국 응답자들에게 우크라이나에 대한 견해를 묻는 여론 조사는 거의 없었지만 러시아의 침공 이전에는 우크라이나의 여론이 그 반대보다 중국에 대해 훨씬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1]

2022년 3월부터 4월 사이에 실시된 카터 센터 온라인 설문 조사에서 중국 응답자의 75%는 "러-우크라이나 분쟁"에서 러시아를 지원하는 것이 중국의 국익에 부합한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61%는 중국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는 러시아에 대한 도덕적 지원이라고 답했습니다. [62] [63] 같은 기간 캘리포니아대 샌디에고 캠퍼스가 실시한 인터넷 조사에서는 러시아 지지 40%, 반대 25%, 중립 35%로 나타났다. 실제 위치입니다. [64] [65]

자매결연[편집]

[[분류:우크라이나의 양국 관계]] [[분류:중국의 양국 관계]] [[분류:우크라이나-중국 관계]]

  1. Lin, Jun (1995). “中国与乌克兰历史上的联系及十月革命前旅乌华工” [Historical ties between China and Ukraine and the Chinese workers in Ukraine before the October Revolution]. 《Seeking Truth》 (중국어) 5: 80–85. doi:10.19667/j.cnki.cn23-1070/c.1995.05.017.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2. China, Ukraine agree to enhance cooperation 보관됨 2009-10-30 - 웨이백 머신, UNIAN (October 28, 2009)
  3. “中国同乌克兰的关系” [China's relations with Ukrain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년 8월 1일. 2017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4. “The China-Ukraine Partnership: Surviving a Deteriorating Strategic Environment”. 《Institut Montaigne》 (영어).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5. “China starts evacuating citizens from Ukraine: Reports | The Straits Times”. 《The Straits Times》 (영어). 2022년 3월 1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6. “Ukrainians in China: far from home but close to the conflict”. 《South China Morning Post》 (영어). 2022년 2월 26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7. Koval, Oleksii (2022년 12월 15일). “An encyclopedia about Ukrainians in China”. 《The Encyclopedia Herald of Ukraine》 (영어) 14: 73–80. doi:10.37068/evu.14.8. ISSN 2706-9990. 
  8. 胡斐穎 (2013년 6월 1일). “烏克蘭與中華民國─從橘色革命運動圍巾談起” (PDF). 《國史研究通訊》 (6): 199. 2018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11일에 확인함. 
  9. 于振起 (2009년 5월 28일). 孙琳, 편집. “驻外札记5:卫生部长挨批”. 《天津日报》 (中国共产党新闻网党史频道). 2018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 
  10. Kaczmarski, Marcin; Kuhrt, Natasha (2022년 2월 25일). “Ukraine invasion: why China is more likely to support Russia than in the past”. 《The Conversation》 (영어).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1. Vasylenko, Volodymyr (2009년 12월 15일). “On assurances without guarantees in a "shelved document". 《The Day》. 2017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2. Goncharuk, Andrey; Hobova, Evgeniia V; Kiktenko, Viktor; Koval, Alex; Koshovy, Serhiy (2016). Betliy, Olena, 편집. 《Foreign Policy Audit: Ukraine-China》. Kyiv: Institute of World Policy.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3. Gertz, Bill. “Putin's war tests China's nuclear pact with Ukraine”. 《The Washington Times》 (미국 영어).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4. Conroy, Christian (2014년 1월 26일). “China's Nuclear Parasol”. 《The Diplomat》 (미국 영어).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5. “World Reaction to the Invasion of Ukraine | Wilson Center”. 《Wilson Center》 (영어). 2022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6. “China's Muddled Ukraine Response Feeds Rare Domestic Debate”. 《Bloomberg.com》. 2022년 2월 28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7. “Посол Китаю в Україні Фань Сяньжун: Політична взаємодовіра – основа міцної китайсько-української дружби”. 《www.ukrinform.ua》 (우크라이나어). 2022년 1월 4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8. “China confirms non-recognition of attempted annexation of Crimea and ban on contacts with occupation authorities”. 《www.ukrinform.net》 (영어). 2021년 4월 16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19. 牛弹琴 (2022년 3월 4일). “联大谴责俄罗斯 为什么这35个国家投了弃权票?” [The UN General Assembly condemns Russia. Why did these 35 countries abstain from voting?]. 《Phoenix Television》. 2022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 Nichols, Michelle; Pamuk, Humeyra (2022년 2월 26일). “Russia vetoes U.N. Security action on Ukraine as China abstains”. 《Reuters》 (영어). 2022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21. “China will not come to Russia's rescue: US official over Ukraine crisis”. 《The Times of India》 (영어). 2022년 2월 27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22. “Ukraine crisis poses dilemma for China but also opportunity”. 《the Guardian》 (영어). 2022년 2월 22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23. “Weibo a new 'battlefield' of words in Russia-Ukraine crisis”. 《SHINE》 (영어).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24. “乌克兰华人接到噩耗痛哭:好朋友为国牺牲,同学弟弟奔赴战场” [Ukrainian Chinese cried bitterly after receiving the bad news: good friends sacrificed for the country, classmates and younger brothers rushed to the battlefield]. 《NetEase》. 2022년 2월 27일. 2022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7일에 확인함. 
  25. “西安生活7年的乌克兰留学生发声引热议:俄没资格为乌做决定” [A Ukrainian student who has lived in Xi'an for 7 years speaks out: Russia is not qualified to make decisions for Ukraine]. 《NetEase》. 2022년 2월 27일. 2022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7일에 확인함. 
  26. Hille, Kathrin (2022년 3월 2일). “Chinese people stranded in Kyiv become target of Ukrainian anger”. 《Financial Times》.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27. “中国网友不当言论引起乌克兰"排华浪潮"?我驻乌大使馆"跑路"?警惕流言,擦亮双眼!_政务_澎湃新闻”. 《The Paper》. 2022년 2월 27일. 2022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7일에 확인함. 
  28. Rising, David (2022년 3월 11일). “China amplifies unsupported Russian claim of Ukraine biolabs”. 《Associated Press》. 2022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1일에 확인함. 
  29. Mozur, Paul; Myers, Steven Lee; Liu, John (2022년 4월 11일). “China's Echoes of Russia's Alternate Reality Intensify Around the World”.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2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7일에 확인함. 
  30. Aisha, Majid (2022년 3월 21일). “How China uses Facebook to promote disinformation about Ukraine”. 《Press Gazette》 (미국 영어). 2022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7일에 확인함. 
  31. “CGTN video rehashes baseless claim about U.S. biolabs in Ukraine”. 《Health Feedback》 (미국 영어). 2023년 4월 14일. 2023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25일에 확인함. 
  32. Gold, Ashley (2022년 3월 9일). “China's state media buys Meta ads pushing Russia's line on war”. 《Axios》. 202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0일에 확인함. 
  33. Wen Liu, Tracy (2022년 3월 23일). “Chinese State Media Is Pushing Pro-Russian Misinformation Worldwide”. 《Foreign Policy》. 202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34. “China will never attack Ukraine, ambassador assures”. 《www.ukrinform.net》 (영어). 2022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35. “Ukraine calls on China to condemn Russia's invasion”. 《Al Jazeera》 (Al Jazeera). AL Jazeera. 2022년 3월 19일.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0일에 확인함. 
  36. Tucker, Maxim (2022년 4월 1일). “China accused of hacking Ukraine days before Russian invasion”. 《The Times》 (영어). ISSN 0140-0460. 2022년 4월 1일에 확인함. 
  37. “Mystery of alleged Chinese hack on eve of Ukraine invasion”. 《BBC News》 (영국 영어). 2022년 4월 7일. 2022년 4월 8일에 확인함. 
  38. “Zelensky: Ukraine is fine with China's position on war with Russia”. 2022년 5월 25일. 2022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39. “Ukrainian MP: "China is not our friend". 《Axios》. 2022년 9월 23일. 2022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0. “China's current stance on Russian war more beneficial to Ukraine - Kuleba”. 《Ukrinform》. The National News Agency of Ukraine. 2022년 9월 30일. 2022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5일에 확인함. 
  41. LCI. (트윗) https://twitter.com/.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번호=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날짜=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42. “China's ambassador to France says former Soviet countries have 'no status in international law'. 2023년 4월 22일. 2023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22일에 확인함. 
  43. “Посол дорікнув дипломату Китаю у Франції, для якого "не все просто" зі статусом України і Криму” (우크라이나어). 2023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22일에 확인함. 
  44. OmelchenkoVadym. (트윗) https://twitter.com/.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번호=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날짜=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45. “China disowns ambassador's remarks questioning Ukrainian independence”. 《BBC》. 2023년 4월 24일. 2023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23일에 확인함. 
  46. “China's Xi calls Ukraine's Zelenskyy, after weeks of intensifying pressure to do so”. 《National Public Radio》. 2023년 4월 26일. 2023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26일에 확인함. 
  47. “Chinese opera singer sparks fury after performing in bombed Ukrainian theater”. 《CNN》. 2023년 9월 9일. 2023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9일에 확인함. 
  48. “Chinese star sings Russian war ballad in Mariupol theatre ruins”. 《The Times》. 2023년 9월 9일. 2023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9일에 확인함. 
  49. “Chinese bloggers arrive in Mariupol: Foreign Ministry wants to ban all "touring" Chinese bloggers from Ukraine”. 《Ukrainska Pravda》. 2023년 9월 8일. 2023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9일에 확인함. 
  50. Macaskill, Andrew (2024년 5월 22일). “UK defence minister says China working to supply lethal aid to Russia”. 《Reuters. 2024년 5월 22일에 확인함. 
  51. “War Puts Billions of Dollars in Ukraine-China Trade at Risk”. 《VOA》 (영어). 2022년 2월 25일. 2022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52. Ramani, Samuel (2015년 7월 24일). “Hey, Putin, have you seen how much China is investing in Ukraine?”. 《www.washingtonpost.com》 (WaPo). 2015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5일에 확인함. 
  53. Genin, Aaron (2018년 8월 23일). “Kiev's New Partner: A Betrayal of U.S. Interests”. 《The California Review》. 2020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16일에 확인함. 
  5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678157UkrChi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55. “China's Xiaomi says opposed to Ukraine adding it to 'international sponsors of war' list”. 《Reuters》. 2023년 4월 14일. 2023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15일에 확인함. 
  56. “НАЗК внесло до переліку міжнародних спонсорів війни китайського виробника автомобілів Geely [The NACP adds Chinese automotive manufacturer Geely to the list of international sponsors of war]”. 《National Agency on Corruption Prevention》 (우크라이나어). 2023년 6월 23일. 2023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23일에 확인함. 
  57. “Міжнародні спонсори війни [International sponsors of war]”. 《National Agency on Corruption Prevention》 (우크라이나어). 2023년 8월 8일. 2023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8일에 확인함. 
  58. “The NACP included the owner of AliExpress in the list of international sponsors of the war”. 《National Agency on Corruption Prevention》. 2023년 8월 18일. 2023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18일에 확인함. 
  59. “Attitudes toward China”. 《Pew Research Center》. 2019년 12월 5일. 2023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7일에 확인함. 
  60. Yakimenko, Yuriy (2023년 4월 5일). “Зовнішня політика України в умовах війни: стан, особливості та пріоритети [Ukrainian foreign policy in wartime: current state, nuances and priorities]”. 2023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5일에 확인함. Негативне ставлення найчастіше висловлюється до росії – 94%, білорусі – 81%, Ірану – 73,5%, Китаю – 60%, Угорщини – 46,5%. 
  61. Turcsányi, Richard (2022년 5월 11일). “Chinese views of the world at the time of the Russia-Ukraine war” (PDF). 《Central European Institute of Asian Studies》. 2023년 4월 7일에 확인함. In turn, other very negatively perceived countries included India (56%), Japan (54%), Vietnam (48%), South Korea (47%) and Ukraine (46%).[15] Few if any previously published polls have asked Chinese respondents their views of Ukraine, but prior to Russia’s invasion, Ukrainian opinion appears to have been far more positive towards China than the reverse. [16] 
  62. Liu, Yawei (2022년 4월 19일). “Chinese Public Opinion on the War in Ukraine”. 《US-China Perception Monitor》. 2023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7일에 확인함. 
  63. Cerny, Michael (2022년 11월 22일). “The War in Ukraine in Chinese Public Opinion”. 《The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for Defence and Security Studies》. 2023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13일에 확인함. 
  64. Roberts, Molly; Doshay, Harris (2022년 5월 25일). “How Do Chinese Citizens View Russia's Invasion of Ukra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23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13일에 확인함. 
  65. “China from the Ground Up”.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17. 2024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