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르키우

하르키우
Харків
Kharkiv-town-flag.svg Coat of arms of Kharkiv.svg
시기 휘장
하르키우은(는) 우크라이나 안에 위치해 있다
하르키우
하르키우
북위 50° 00′ 16″ 동경 36° 13′ 53″ / 북위 50.004444° 동경 36.231389°  / 50.004444; 36.231389
행정
나라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지역 하르키우주
역사
설립 1654년
인구
인구 1,439,036명 (2014년)
인구밀도 4,500 명/km2
광역인구 1,732,400 명
지리
면적 350 km2
해발 152 m
기타
시간대 UTC+2
우편번호 61001—61499
하르키우 자유 광장
하르키우의 위치

하르키우(우크라이나어: Харків, 러시아어: Харьков 하리코프[*], 영어: Kharkiv 카르키프[*], 문화어: 하리꼬브)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도시이고 하르키우주의 주도이다. 인구는 1,430,885명(2014년 기준)으로 인구에서는 키이우에 이어 우크라이나에서 2번째로 큰 도시이다. 주민은 우크라이나인 70%, 러시아인 29%, 유대인 1%이다.

우크라이나의 공업의 중심지로 구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모스크바, 레닌그라드의 뒤를 잇는 제3의 공업 도시였다. 농업기계(트랙터 등), 기관차·터빈·공작기, 광업용 기계 제조, 식료품 공업이 성하다.[1] 1805년에 대학교가 세워진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하르키우는 17세기 중반에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건설되었다. 보통 1820년대와 1830년대에는 하르키우의 대학교를 중심으로 근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가 탄생하였다고 본다. 우크라이나가 소비에트 연방에 합쳐진 1917년부터 1934년까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다 (이 도시가 우크라이나 인민소비에트 공화국의 수도였으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을 거쳐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소련군과 나치 독일군을 오가며 하르키우는 제1차 하리코프 전투 등 여러 차례 격전지로 변했다.

교통[편집]

대중교통수단으로 3개의 지하철 노선이 있다.

인구[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1660[2] 1,000
1788[3] 10,742
1850[4] 41,861
1861[4] 50,301
1901[4] 198,273
1916[5] 352,300
1917[6] 382,000
1920[5] 285,000
1926[5] 417,000
1939[7] 833,000
1941[5] 902,312
1941[8] 1,400,000
1941[5][9] 456,639
1943[10] 170,000
1959[4] 930,000
1962[4] 1,000,000
1976[4] 1,384,000
1982[3] 1,500,000
1989 1,593,970
1999 1,510,200
2001[11] 1,470,900
2014[12] 1,430,885

기후[편집]

하르키우 (1981−2010)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최고 기온 기록 °C (°F) 11.0
(51.8)
14.6
(58.3)
21.8
(71.2)
30.5
(86.9)
34.5
(94.1)
36.8
(98.2)
37.6
(99.7)
39.8
(103.6)
33.7
(92.7)
29.3
(84.7)
20.3
(68.5)
13.4
(56.1)
39.8
(103.6)
평균 최고 기온 °C (°F) −2.2
(28.0)
−1.6
(29.1)
4.3
(39.7)
14.0
(57.2)
20.8
(69.4)
24.3
(75.7)
26.4
(79.5)
25.7
(78.3)
19.4
(66.9)
12.0
(53.6)
3.6
(38.5)
−1.1
(30.0)
12.1
(53.8)
일 평균 기온 °C (°F) −4.6
(23.7)
−4.5
(23.9)
0.7
(33.3)
9.2
(48.6)
15.6
(60.1)
19.3
(66.7)
21.3
(70.3)
20.3
(68.5)
14.4
(57.9)
7.9
(46.2)
0.9
(33.6)
−3.5
(25.7)
8.1
(46.6)
평균 최저 기온 °C (°F) −7.0
(19.4)
−7.3
(18.9)
−2.4
(27.7)
4.6
(40.3)
10.3
(50.5)
14.2
(57.6)
16.2
(61.2)
14.9
(58.8)
9.8
(49.6)
4.3
(39.7)
−1.5
(29.3)
−5.9
(21.4)
4.2
(39.6)
최저 기온 기록 °C (°F) −35.6
(−32.1)
−29.8
(−21.6)
−32.2
(−26.0)
−11.4
(11.5)
−1.9
(28.6)
2.2
(36.0)
5.7
(42.3)
2.2
(36.0)
−2.9
(26.8)
−9.1
(15.6)
−20.9
(−5.6)
−30.8
(−23.4)
−35.6
(−32.1)
평균 강수량 mm (인치) 36
(1.4)
33
(1.3)
33
(1.3)
34
(1.3)
50
(2.0)
61
(2.4)
61
(2.4)
43
(1.7)
45
(1.8)
45
(1.8)
40
(1.6)
36
(1.4)
517
(20.4)
평균 강우일수 10 8 10 13 14 15 13 10 12 13 13 12 143
평균 강설일수 19 18 12 2 0.1 0 0 0 0.03 2 9 18 80
평균 상대 습도 (%) 86 83 77 66 61 65 65 63 70 78 86 87 74
평균 월간 일조시간 51 65 108 162 238 263 273 247 185 124 47 31 1,794
출처 1: Pogoda.ru.net[13]
출처 2: NOAA (sun only 1961–1990)[14]

자매 도시[편집]

우호 도시[편집]

각주[편집]

  1.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하리코프
  2. Л.И. Мачулин. Mysteries of the underground Kharkov. — Х.: 2005. ISBN 966-8768-00-0 (러시아어)
  3. Kharkov: Architecture, monuments, renovations: Travel guide. Ed. А. Лейбфрейд, В. Реусов, А. Тиц. — Х.: Прапор, 1987(러시아어)
  4. N. T. Dyachenko (1977). Улицы и площади Харькова [Streets and squares of Kharkov]. 《dalizovut.narod.ru》 (러시아어). 2015년 3월 31일에 확인함. 
  5. А.В. Скоробогатов. Kharkov in times of German occupation (1941–1943). – X.: Прапор, 2006. ISBN 966-7880-79-6(우크라이나어)
  6. Oleksandr Leibfreid, Yu. Poliakova. Kharkov. From fortress to capital. – Х.: Фолио, 2004(러시아어)
  7. State archives of Kharkov Oblast. Ф. Р-2982, оп. 2, file 16, pp 53–54
  8. Colonel Н. И. Рудницкий. Военкоматы Харькова в предвоенные и военные годы.(러시아어)
  9. In reference to the German census of December 1941; without children and teenagers no older 16 years of age; numerous city-dwellers evaded the registration(러시아어)
  10. Nikita Khrushchev. Report to ЦК ВКП(б) of August 30, 1943. History: without «white spots». Kharkiv izvestia, No. 100–101, August 23, 2008, page 6(러시아어)
  11. Ukrainian Census (2001)
  12. “Major Cities in Ukraine by Population (2014)”. World Population Review. 2014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4일에 확인함. 
  13.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Kharkiv” (러시아어).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14. “Har'Kov (Kharkiv)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