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포털:천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stronomy Portal
여기는 위키백과 천문학 포털입니다 · 천문학 · 위키프로젝트 천문학 · 분류:천문학

천문학이란

천문학(天文學)은 항성, 행성, 혜성, 은하계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우주의 진화, 물리학, 화학, 운석, 천체의 운동, 형성과 발전(진화) 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은 자연과학 가운데 비교적 일찍 시작된 학문으로, 천체를 관측하여 방위를 알고 항해의 원리에 이용하는 등의 목적으로 크게 발전되어 왔다.

은하의 충돌.
은하의 충돌.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문학은 '더 멀리' 볼 수 있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발전된 역학, 전자기학상대성이론과 같은 현대 물리학의 업적은 천문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인간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에서 우주를 관찰·탐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천문학은 천체물리학이라는 특수 연구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천체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알찬 글

가니메데(Ganymede, 목성 III)는 목성의 위성으로, 태양계위성들 중 가장 크다. 목성에서 평균 거리 순으로 일곱 번째이고, 갈릴레이 위성 중에선 세 번째에 위치한다. 공전 주기는 약 7일이며, 유로파와 2:1, 이오와 4:1의 궤도 공명을 일으킨다. 가니메데는 지름 5,262km로 행성인 수성보다 8% 길지만, 질량은 수성의 45%에 불과하다. 태양계의 위성 중 두 번째로 큰 토성의 위성 타이탄보다 지름은 2% 더 크며, 질량은 10% 무겁다. 지구의 과 비교하면 지름은 51% 더 크며, 질량은 2.02배이다.

가니메데는 규산염 암석얼음이 거의 같은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는 잘 분화되어, 중심의 철이 풍부한 액체 상태의 핵, 얼음과 지하 바다가 번갈아가며 여러층을 이루고 있는 바깥 부분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니메데의 표면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어두운 부분은 40억 년 전에 생긴 충돌구와 함께 위성 표면의 삼분의 일 가량을 덮고 있다. 그보다 덜 오래된 듯한, 광범위한 균열과 능선이 가로지르고 있는 밝은 부분이 나머지를 덮고 있다. 밝은 지역의 균열과 능선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조석 가열에 의한 판의 이동 때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주의 천체

카노푸스용골자리의 알파별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南極)老人星이라 함)이다. 실시등급 -0.72등급으로, 하늘에서는 태양을 제외하면 시리우스에 이어 두 번째로 밝은 별이다. 표면온도는 7500℃, 지구(地球)에서 310광년(光年) 떨어져 있다.

동양에서 이 별은 잘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별로 믿었다. 옛 기록에 따르면, 남부 지역에서 이 별을 보았을 경우 나라에 그것을 고하도록 했으며, 매우 경사스러운 징조로 여겼다. 또 이 별을 보게 되면 오래 산다는 말도 있다.

이 별은 약 1만 2000년 뒤에는 남극성(南極星)이 될 것이다.

이주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프레더릭 윌리엄 허셜 경, KH (Sir Frederick William Herschel, 1738년 11월 15일 - 1822년 8월 25일)은 독일에서 태어난 영국천문학자이다.

독일 하노버에서 음악가의 아들 빌헬름 프리드리히 허셀(Wilhelm Friedrich Herschel)로 태어나 7년 전쟁에 종군하였다가 탈주하여 영국으로 건너갔다. 1766년 런던 교외의 작은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있으면서, 천문서적을 탐독하여 천문학에 관한 실력을 쌓았다.

허셜은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관측에 열중하여 1781년 3월 13일 천왕성(天王星)을 발견하였으며, 이외에도 2,500개의 성운·성단과 800개의 이중성을 발견하였다. 항성 고유의 연구로부터 태양계의 운동도 발견하고 은하계의 모양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로서 성운천문학의 바탕을 굳건히 하여 항성천문학의 시조(始祖)로 불리고 있다.

천문학 관련 새 소식

오늘의 그림

파일:CentaurusA.jpg
강력한 라디오 전파원 센타우루스 A 은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