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 망원경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여키스 천문대의 망원경.
굴절 망원경(屈折 望遠鏡)은 렌즈를 이용해서 빛을 모으는 망원경을 말한다. 보통 2매 이상의 렌즈를 조합하여 빛을 모으고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해서 보여주는데, 망원경의 양 끝이 밀폐된 구조의 경통을 가지므로 반사 망원경에 비해서 안정된 상(像)을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빛이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될 때 색수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큰 구경의 렌즈 제작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굴절망원경의 색수차는 굴절률이 다른 두 개 이상의 렌즈를 복합해서 만들면 거의 해결이 된다.) 렌즈의 구성에 따라 볼록 렌즈 두 개로 되어있는 케플러식 망원경과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로 되어있는 갈릴레이식 망원경이 있다.
종류[편집]
케플러식 망원경[편집]
케플러식 망원경은 1611년에 요하네스 케플러가 발명한 망원경으로, 갈릴레오의 망원경을 발전시킨 것이다. 케플러식 망원경은 갈릴레오의 망원경이 접안 렌즈에 오목 렌즈를 사용한 것과 달리 볼록 렌즈를 사용했다.
갈릴레이식 망원경[편집]
갈릴레이식 망원경은 1608년 네덜란드의 안경제조업자인 한스 리페르셰이가 발명한 망원경으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망원경과 같은 원리이다. 리페르셰이는 우연한 기회에 두 개의 렌즈를 적당한 간격으로 두었을 때 멀리 있는 물체를 확대해 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 사실을 들은 갈릴레이는 이듬해 자신이 직접 망원경을 제작하게 되는데, 대물렌즈를 볼록렌즈로, 접안렌즈를 오목렌즈로 구성해 망원경을 만들었고, 이를 갈릴레이식 망원경이라 부른다. 장점:오목렌즈와 볼록렉즈를 쓰기때문에 정립상으로 보인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